3월 CPI 상승률 예상 밖 둔화
근원 CPI도 2021년 3월 이후 최저
휘발유 하락·주거비 상승률 둔화 영향
미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예상보다 둔화하며 4년여 만에 가장 낮은 상승폭을 나타냈다. 인플레이션이 안정되고 있다는 점에선 긍정적 신호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본격적으로 발효되기 전의 지표란 점에서 향후 물가가 반등할 가능성은 남아 있다.
10일(현지시간) 미 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3월 CPI는 전년 동기 대비 2.4% 올랐다. 이는 2021년 2월 이후 4년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지난 2월(2.8%) 수치는 물론 시장 전망치(2.5%)를 모두 밑돌았다. 전월 대비로는 0.1% 하락해 직전월 수치(0.2%)와 예상치(0.1%) 둘 다 하회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CPI 역시 전년 동기 대비 2.8% 오르는 데 그쳐 직전월(3.1%)과 전망치(3.0%) 모두 밑돌았다. 2021년 3월 이후 4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전월 대비로는 0.1% 상승해 직전월(0.2%)과 시장 예상치(0.3%) 둘 다 하회했다. 근원 CPI는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Fed가 가장 눈여겨보는 물가 지표다.
휘발유 가격이 크게 하락하고 주거비 상승폭이 둔화되면서 물가 상승률 둔화에 기여했다. 품목별로는 휘발유가 전월 대비 6.3% 내리면서 전체 에너지 비용이 2.4% 떨어졌다. CPI 산정 시 가중치가 3분의 1로 가장 큰 주거비는 전월 대비 0.2% 상승하는 데 그치며 CPI 상승률 둔화를 견인했다. 주거비는 전년 대비로는 4% 올라 2021년 11월 이후 상승폭이 가장 적었다. 중고차는 0.7% 하락했고 항공료와 자동차 보험료는 각각 5.3%, 0.8%씩 내렸다. 처방약은 2% 하락했다. 식품 가격은 0.4% 올랐는데 이 중 식료품 구입비는 0.5%, 외식비는 0.4% 상승률을 나타냈다. 계란값은 전월 대비 5.9% 올랐고, 1년 전보다는 60.4% 상승했다.
지금 뜨는 뉴스
3월 CPI 발표로 고물가 고착화 우려는 완화됐지만 변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자정 직후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효한 후 13시간여 만에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해 관세를 90일 유예했다. 하지만 10%의 기본관세는 그대로 유지했고, 대중 관세율은 125%로 상향해 즉각 발효했다. 또 지난달 철강·알루미늄, 이달 자동차 수입품에 25% 관세를 발효한 데 이어 향후 반도체, 의약품, 목재에도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 앞으로 인플레이션이 재점화할 가능성이 작지 않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