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국민의힘 용산 집무실 불가론 힘실어
곧바로 집무해야 하는 보궐선거 특성 감안 주장도
청와대 이전 후 세종 이전 가능성까지
오는 6월3일 조기 대선이 확정되면서 차기 대통령의 집무실 문제가 관심의 초점으로 떠올랐다. 계엄의 그림자가 드리운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 들어가는 것은 국민 정서를 고려할 때 쉽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실제로 주요 대선 주자들은 물론이고 정치권 안팎의 인사들도 다른 곳으로 집무실을 옮겨야 한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세종시로 옮기는 데 적극적이다. 이른바 행정수도론은 충청권 표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안이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 역시 지난 대선에서 세종시에 대통령 집무실 설치를 공약한 바 있다. 김민석 민주당 최고위원은 8일 MBC 라디오에서 "어느 정당이 집권하느냐를 떠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대통령실 자리가 용산이어야 한다는 데 대부분 국민이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국민의힘 소속의 홍준표 대구시장과 안철수 의원도 마찬가지다. 어떤 형태로든 용산 대통령실 위상은 달라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다만 조기 대선의 특성상 대선일 다음 날인 6월4일부터 사실상 집무를 시작해야 한다는 점이 변수다.
세종 대통령실을 공약으로 내세우더라도 실행까지는 갈 길이 멀다. 대통령실 업무 공간 마련은 물론이고, 국민 여론의 호응과 수도권 민심의 공감 등 복합적인 고려 사항이 있다. 따라서 실현 가능성과 정치적 상징성을 모두 고려한 집무실 선택이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박수현 민주당 의원은 "당장 임시 집무실을 활용하더라도, 청와대로 일시 복귀한 뒤 세종시에 건설 중인 제2 집무실 등을 고려해 중장기 이전 계획을 차기 후보가 공약에 담아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장기적으로 세종 등으로 옮기는 것을 검토하되 현실적으로는 청와대를 활용해야 한다는 견해가 적지 않다. 당선 즉시 업무를 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청와대 인근의 정부 기관 건물을 활용하는 것도 아이디어로 거론된다.
지금 뜨는 뉴스
전 청와대 관계자는 "용산 대통령실은 군사적 측면에서도 부적합하다"면서 "초기에는 정부종합청사를 집무실로 활용한 뒤, (개방 공간이 된) 청와대 집무실 본관은 정비 등을 거쳐 다시 집무실로 사용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실 관저는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며 "집무실로는 정부종합청사 외에도 정부청사 창성동 별관 등 청와대 주변 정부 소유 건물 등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