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정밀분석 결과
지난 1월 있었던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는 보조배터리 내부 합선으로 시작했을 것이란 조사 중간결과가 나왔다.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14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정밀분석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사고 직후부터 탑승객이나 승무원 사이에선 보조배터리 화재를 지목하는 목소리가 컸다. 증거물을 수거해 CT·현미경 검사 등 정밀분석 등을 거쳐 이를 잠정 결론 내린 것이다.
국과수 분석 결과 기내에서 발견된 보조배터리 잔해에서는 전기로 인한 녹은 흔적(용융흔)이 식별됐다. 이에 따라 배터리 내부에서 양극과 음극이 합선된 상태를 뜻하는 ‘절연파괴’가 발생하면서 최초 발화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다만 국과수는 배터리가 심하게 훼손돼 정확히 합선이 일어난 이유는 밝히기 어렵다고 봤다. 배터리가 아닌 항공기 내부 시설물에서 불이 시작했을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설명했다.
발화 위치는 왼쪽 30번 좌석 상단 선반 주변으로 추정됐다. 화재 발생 당시 승객이 촬영한 영상에서는 항공기 내부 좌측 30번열 상단 선반에서 처음으로 불길이 일었고, 불에 탄 보조배터리 잔해도 그 부근 바닥에서 발견됐다.
앞서 조사위원회와 국과수, 경찰 과학수사대, 소방은 지난달 3일 에어부산 화재 사고기에 대한 합동 화재감식을 했다. 이를 통해 객실 왼쪽 28열부터 32열까지의 좌석 부분에서 전기배선, 기내 조명기구, 보조배터리 잔해 등을 확보했다.
지금 뜨는 뉴스
위원회는 "현재까지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보조배터리에 의한 화재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계속 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라며 "사고조사 과정에서 안전 조치가 필요한 경우 항공사 등에 안전권고를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으며 추가적인 사고조사 현황은 향후 사고조사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공개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