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조합장 해임 후 새 집행부 구성
공사 답보…사업 정상화 난항 전망
조합원들 "하루라도 빨리 추진되길"
텅 빈 땅이 펼쳐졌다. 부지는 정리됐지만, 남은 둔덕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다. 새로 난 도로는 선명했지만, 지나는 차량은 없었다. 철거가 끝난 자리엔 공사가 아닌 적막이 자리 잡고 있었다.
27일 오후 신가동 재개발 사업지는 조용했다. 높게 둘러쳐진 펜스가 출입을 막고 있었고, 안쪽에는 유일하게 남은 건물 한 채가 덩그러니 서 있었다. 사라진 건물들이 남긴 자리는 평탄하게 다져졌지만, 그 이상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인근에서 부동산을 운영하는 한 중개인은 "진작 공사가 시작됐어야 하는데…"라며 말끝을 흐렸다. 그는 "철거 초반엔 기대하는 사람도 많았는데, 사업이 지연되면서 지켜보는 분위기도 달라졌다"고 했다.
조합원들은 답답함을 감추지 못했다. 조합원 A씨는 본지와 통화에서 "해임이 됐으면 사업이 곧바로 진행될 줄 알았는데, 여전히 멈춰 있다"고 말했다. 이어 "조합 내부 문제도 있지만, 시공사와 협상이 어떻게 풀릴지가 더 걱정이다"고 했다.
신가동 재개발 사업은 분양가 협상을 두고 조합과 시공사가 갈등을 빚으며 표류하기 시작했다. 조합이 원하는 가격과 시공사가 제시한 조건이 맞지 않았다. 결국 협상은 무산됐고, 대체 시공사 선정도 두 차례 유찰됐다.
조합원들은 새로운 체제로의 전환이 순조롭게 이뤄지길 바라면서도, 이후 절차가 원만하게 진행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현재 조합 이사 9명 중 7명이 해임되면서 업무대행 이사 2명만이 남아 있는 상태다. 이 가운데 한 명은 해외 체류 중으로, 28일 귀국해 업무 인수인계를 진행할 예정이다.
전 조합장 측은 해임총회 효력정지 가처분을 신청한 상태다. 법원의 판단이 나오는 데는 약 20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조합원 C씨는 "새 집행부가 조합원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하루라도 빨리 사업을 정상화해야 한다"며 "이전처럼 답보 상태에 머물러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22일 열린 조합장 해임 총회에서 조합장과 이사·감사 해임안이 가결됐다. 서면결의서를 제출한 조합원과 현장 투표자까지 총 849명이 참여한 가운데 찬성 836표, 반대 3표로 해임안이 통과됐다. 해임된 조합장 측은 법원에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으며, 이에 대한 판단은 20일 이내에 나올 예정이다.
지금 뜨는 뉴스
신가동 재개발 사업은 2011년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후 1조8,000억원 규모로 추진돼 왔다. 2020년 관리처분 인가를 받았지만, 이후 진전이 없었다. 철거는 끝났지만, 공터만 남은 신가동 재개발 부지는 여전히 멈춰 있다.
호남취재본부 송보현 기자 w3t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