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12일 철강·알루미늄 25% 추가 관세
반도체·항공기·기계류 부품까지 넣어
"알루미늄 소재 한정해도 타격 불가피"
미국이 다음 달 12일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추가 관세 정책을 시행하는 가운데, 알루미늄 추가 관세 대상에 반도체 제조 장비 부품·소재, 항공 부품 등 파생 상품까지 포함되면서 일본 기업의 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는 보도가 나왔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21일 미 상무부 통계를 인용해 일본의 반도체 제조 장비의 부품·제조에 사용되는 소재 관련 대미 수출액이 2000억엔(1조9200억원)을 넘는다고 보도했다. 항공기 부품액 수출액은 2300억엔(2조2000억원), 컴퓨터 관련 부품은 70억엔(700억원)에 달한다. 이 중 알루미늄 소재에 한정해 추가 관세를 매기겠다는 게 미 정부의 방침이지만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이다.
앞서 미국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포고문에 따른 부속서를 연방관보에 게재했다. 여기에는 철강 파생제품 총 167개, 알루미늄 파생제품 123개를 관세 대상 품목에 추가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알루미늄의 경우 HS코드 76으로 분류되나, 이에 해당하지 않는 전기·전자·기계류·자동차·항공·반도체 부품 등 기타 파생상품까지 모두 포함됐다.
다만, 알루미늄의 경우 철강과 비교해 수출금액이 많지 않아 상대적으로 여파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현재 미국의 10% 관세 부과 대상인 알루미늄 잉곳과 판, 호일 등의 일본발 대미 수출 금액은 300억엔(2900억원) 수준으로 철강 3000억엔(2조8800억원)에 비해 적은 편이다. 이번에 대상 항목이 늘어남에 따라 일본 경제산업성은 대상 품목들을 특정하는 한편, 자국 기업 수출실적과 영향을 조사하는 중이라고 닛케이는 전했다.
미국 산업계 요청에 따라 품목이 확대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대통령 포고문이 이번 부속서에 포함되지 않은 철강·알루미늄 파생제품도 추후 관세 적용 품목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여지를 남겼기 때문이다. 포고문은 "장관은 이 선언일로부터 90일 이내에 명시된 관세 범위 안에서 추가 파생 알루미늄 물품을 포함하는 절차를 수립해야 한다"면서 "국내 생산자 또는 산업 협회로부터 요청받은 경우 요청일로부터 60일 이내에 포함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지금 뜨는 뉴스
한국 산업계도 우려스럽긴 마찬가지다. 한아름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 현지 업체의 요청에 따라 관세 대상 품목이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관세 대상 품목 확대 기조와 관련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