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지역, 도시지역, 농촌지역 등에 구축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은 10일 기후 위기 대응 및 2045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도내 7개소에 온실가스 관측망을 구축하고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온실가스 관측망은 지역 특성을 고려해 내포측정소를 비롯해 산업지역 3곳(보령·서산·당진), 도시지역 2곳(천안·아산), 농촌지역 2곳(논산·홍성) 등에 구축됐다
측정 물질은 연료 연소 과정이나 산업 공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와 폐기물·에너지·농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메탄이다.
연구원은 충남 대기환경측정망 종합정보시스템(TMS)과 연계해 실시간 측정 자료를 관리하는 만큼 지역단위 농도 평가와 배출원 감시 등 과학적인 기후감시 기반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금희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지역 특성을 반영한 실측 온실가스 관측 자료는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경제특별도 정책 이행에 중요한 기초자료”라며 “온실가스 관측망을 더욱 확대하고 연구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2045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전국 온실가스 관측망은 서울 4개소, 경기지역 2개소, 제주도에 1개소가 각각 설치 운영돼 충남도의 7개소 설치 운영은 전국에서 최대 규모다.
충청취재본부 유환동 기자 yhdong5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