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안전진단 실시
소장자료 8만점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 이전
안전관리자 선임 배치
지난 1일 서울 용산구 소재 국립한글박물관(한글박물관)에서 발생한 화재 후속 조처로 한글박물관 수장고에 보관·관리 중인 8만여점의 소장품이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로 이전될 예정이다.
3일 한글박물관이 밝힌 응급 복구와 국가유산 안전관리 대책에 따르면 한글박물관은 화재원인 조사와 외부 전문기관의 정밀 구조안전진단 실시 후 공사 범위와 일정을 결정할 계획이다. 현재 수장고에 보관·관리 중인 8만여 점의 소장 자료도 소산계획을 수립하고 국립중앙박물관 등 관련 기관과 협의해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앞서 화재 당일 국가지정문화유산 26건 257점은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로 이동·격납 조치됐다. 9000여점은 국립민속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아울러 향후 복구·증축 공사 때는 안전관리자를 선임·배치해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안전교육 및 현장점검 등 안전대책도 마련할 방침이다. 한글박물관 관계자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에 따르면 50억원 미만 공사는 안전관리자 선임 의무가 없지만 관리 강화 차원에서 선임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강정원 국립한글박물관 관장은 “이번 화재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려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화재 피해 수습과 문화유산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화재는 지난 1일 오전8시40분경 박물관 증축 공사 현장에서 발생했다.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를 없었지만, 한글박물관 3층 한글놀이터(약576㎡)와 복도가 피해를 입었다. 정확한 사고 경위는 경찰 등 관계기관에서 조사 중이며, 화재진압 소방용수로 인한 피해 등도 파악 중이다.
서믿음 기자 fait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