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 경제사 개관' 배포
일제강점기 미화·6월 항쟁, 수출 악화 주장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 단체가 '대한민국은 일제 식민지 시절로 빠른 산업화와 경제 성장을 이룩했다'는 내용을 담은 책이 교육부 산하기관을 통해 발간되면서 해당 저자인 김재호 전남대 교수의 교수직 사퇴와 폐간을 촉구했다.
시민모임 등 4개 단체는 2일 규탄 성명을 내고 "교육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지난해 11월 '한국 경제사 개관'이란 제목으로 전 세계에 배포한 영문판 원서 내용에 충격을 금할 수 없다"며 "이 책을 출판한 저자가 전남대 김재호 교수라는 사실은 광주·전남 시·도민과 함께 참담함을 금할 길 없다. 김 교수 주장대로라면 한국은 광복을 하지 말고 계속 일제 식민지로 남았어야 한다는 말이냐"고 꼬집었다.
단체는 "일제 식민지가 좋았다고 주장하는 것은, 반대로 안중근·윤봉길·이봉창 의사와 같이 조국 광복을 되찾기 위해 목숨을 바쳐 싸웠던 선열들이 의로운 독립지사가 아니라, 좋은 시절을 방해하기 위해 ‘미친 짓’을 한 사람들이라는 말인가"라며 "현대사 내용도 어처구니없기는 마찬가지다. 책에서는 '1987년 민주화는 급속한 경제성장을 가능하게 했던 제도적 틀을 무너뜨렸고, 그 결과 수출 경쟁력이 약화됐다'고 주장했는데, 이 주장대로면 군부정권 박정희·전두환·노태우 독재 시절로 계속 남았어야 했다"고 되물었다.
이들은 "더욱 어처구니없는 것은 식민지를 미화하고 군사정권의 개발독재를 옹호하는 이러한 주장들이 버젓이 국민 혈세로 제작돼 배포되고 있다는 것이다"며 "이런 해괴망측한 작태는 윤석열 정권이 지난해 친일 뉴라이트 인사들을 잇달아 국책연구기관장이나 독립기념관장에 임명할 때부터 예견돼왔던 일이다"고 지적했다.
지금 뜨는 뉴스
또한 "보훈부는 올해 ‘이달의 독립운동’ 12건을 선정했는데, 안중근·윤봉길·이봉창 의사의 의거나 청산리대첩 같은 대표적인 해외 독립운동조차 쏙 빼놓고, 김활란·김성수 등 친일파 인사들이 활동했던 사건을 포함했다"며 "김낙년 한국학중앙연구원장과 저자 김재호 전남대 교수는 즉각 사퇴하고, 배포된 책은 즉시 수거해 폐기 처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호남취재본부 민찬기 기자 coldai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