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랜딩기어 왜 안 내려왔나, 조류 충돌로 설명 힘들어"…해외전문가 진단

시계아이콘01분 1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해외전문가들 사고원인 진단
"조류충돌로 랜딩기어 손상? 가능성 낮아"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원인으로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이 지목되고 있지만, 해외 항공안전 전문가들은 조류 충돌을 유일한 사고 원인으로 보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30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원인과 관련 해외 전문가들은 다양한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랜딩기어 왜 안 내려왔나, 조류 충돌로 설명 힘들어"…해외전문가 진단 30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유류품을 탐색하고 있다. 강진형 기자
AD

전문가들은 먼저 기체가 동체 착륙하는 장면을 봤을 때 사고 원인을 조류 충돌만으로 단정 짓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영상 속 사고 장면을 보면 기체가 착륙할 때 속도를 줄이는 주요 브레이크 시스템인 랜딩기어(비행기 바퀴 등 이착륙에 필요한 장치), 플랩(고양력장치), 엔진 역추진 모두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동체 착륙 이후에도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활주로 끝 콘크리트 구조물과 충돌했다는 설명이다.


독일 항공사 루프트한자의 파일럿이자 항공 안전 전문가인 크리스티안 베케르트는 조류 충돌이 아직 내려오지 않은 랜딩기어에 손상될 가능성은 작고, 이미 랜딩기어가 내려온 상태에서 조류 충돌이 일어났다면 다시 올리기는 더욱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랜딩기어는 독립된 시스템으로 작동하고 대체 시스템도 있다"며 "이를 내리지 못하는 것은 매우 드물고 이례적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랜딩기어 왜 안 내려왔나, 조류 충돌로 설명 힘들어"…해외전문가 진단 30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유류품을 탐색하고 있다. 강진형 기자

이탈리아 공군사관학교 교관 출신 항공 전문가인 그레고리 알레지도 조류 충돌만으로 이번 재난 규모를 설명하기 어렵다고 짚었다. 그는 "물론 조류 충돌이 있었을 수도 있지만, 그 결과가 너무 심각하다"며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어째서 사고 기체의 속도가 그렇게 빨랐을까. 어째서 플랩은 작동하지 않았을까. 어째서 랜딩기어는 내려오지 않았을까"라고 의문을 표했다.


동체 착륙 후 충돌까지 사건이 급박하게 전개된 것 역시 조류 충돌을 단일 사고원인으로 보기 어려운 이유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사고 여객기는 무안공항 관제탑으로부터 조류 충돌 경고를 받은 지 1분 만에 조난 신호인 '메이데이' 선언을 하고, 이후 불과 4분 만에 사고가 났다.


호주 전문가인 제프리 델은 기체의 엔진에 새가 빨려 들어갔다고 하더라도 즉시 엔진이 멈추는 게 아니기 때문에 조종사들에게 대응할 여유는 생기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전했다.


영국 버킹엄셔 뉴 대학교 항공운항과 교수인 마코 챈은 "상당히 늦게 착륙 방향을 반대로 바꾼 것이 (조종사의) 업무에 부하를 준 면도 있어 보인다"며 "현재로서는 상당한 수수께끼"라고 말했다.



호주의 항공 컨설턴트 트레버 젠슨은 당시 무안국제공항에서 동체 착륙에 대비한 소방 및 구조대가 준비돼 있지 않았다며 "갑작스럽게 이뤄진 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