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원 이상 거래시 의무 발급
신고시 미발급 금액의 20% 포상금 지급
국세청은 여행사와 스터디카페 등 13개 업종을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으로 새로 지정했다고 15일 밝혔다. 2025년부터 해당 업종은 10만원 이상 거래 시 소비자가 발급을 요구하지 않아도 현금영수증을 의무 발급해야 한다.
2025년부터 새롭게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으로 추가되는 13개 업종은 ▲의복 액세서리 및 모조 장신구 소매업 ▲실외 경기장 운영업 ▲스쿼시장 등 그 외 기타 스포츠시설 운영업 ▲여행사업 ▲스키장 운영업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리업 ▲기타 여행 보조 및 예약 서비스업 ▲종합 스포츠시설 운영업 ▲애완용 동물 장묘 및 보호서비스업 ▲앰뷸런스 서비스업 ▲수영장 운영업 ▲실내 경기장 운영업 ▲볼링장 운영업 등이다. 스터디카페는 내년부터 독서실 운영업에 포함돼 의무발행업종에 해당한다.
국세청은 자영업자 세원투명성을 확보하고 공정한 시장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2005년부터 현금영수증 제도를 도입했다. 2010년부터 일정 금액 이상 현금거래 시 현금영수증을 의무 발급하는 제도를 시행하여 매년 의무발행업종을 확대해 왔다.
2025년 새롭게 추가된 의무발행업종 사업자는 내년 1월1일부터 거래 건당 10만원 이상(부가가치세 포함) 현금거래 시 거래상대방이 현금영수증 발급을 요구하지 않더라도 반드시 발급해야 한다. 거래상대방의 인적사항을 모르는 경우에도 거래일로부터 5일 이내에 국세청 지정번호로 발급해야 한다.
현금영수증을 발급한 사업자는 부가가치세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고, 수취한 현금영수증을 통해 부가가치세 매입세액 및 종합소득세 필요경비로 인정받을 수 있다.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은 근로자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사용금액을 조회할 수 있고,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현금영수증을 미발급하는 경우 의무발행업종 사업자에게 미발급 금액의 20%에 해당하는 가산세가 부과된다.
지금 뜨는 뉴스
소비자는 증빙서류를 첨부해 국세청에 발급의무 위반 사실을 신고할 수 있으며 위반 사실이 확인되면 미발급 금액의 20%를 포상금으로 지급한다.
세종=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