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주의 전시]이헌정 '달을 닮은 항아리에게 아름다움을 묻다'·방앤리 '카나리아 배포' 外

시계아이콘02분 33초 소요
뉴스듣기 글자크기
편집자주이주의 전시는 전국 각지의 전시 중 한 주간 만나볼 수 있는 다양하고 매력적인 전시를 정리해 소개합니다.

▲이헌정 개인전 '달을 닮은 항아리에게 아름다움을 묻다' = 리모델링 후 최근 새롭게 문을 연 박여숙화랑은 첫 전시로 이헌정 개인전 '달을 닮은 항아리에게 아름다움을 묻다'를 개최한다.

[이주의 전시]이헌정 '달을 닮은 항아리에게 아름다움을 묻다'·방앤리 '카나리아 배포' 外 이헌정 작가 '항아리' [사진제공 = 박여숙 화랑]
AD

전시는 한국적 아름다움의 표상 ‘달 항아리’를 중심으로 관습적 경계를 넘어서고, 또 건너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작가의 달항아리 16점을 포함 100여점의 백색작품을 선보인다.


도예에서 출발해 도조, 도자가구, 도자 벽화, 도자 건축, 영상, 설치 등 다양한 작업과 체험을 통해 도예의 본질, 예술의 근본을 스스로 물어 온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오롯이 흙과 불로 돌아와 ‘아름다움’에 관해 묻는다.


작가는 달항아리를 통해 우리의 '기억 문화'로 상징되는 것의 사회구조, 즉 공동체가 집단으로 보유한 기억으로 가치 있게 여기고 만들어진 절대적 신념에 이의를 제기한다. 동시에, 이렇게 형성된 강요된 아름다움, 혹은 이미 아름답다고 규정된 아름다움을 분석하고, 종합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아름다움을 형성하는 근본에 대해 묻는다.


[이주의 전시]이헌정 '달을 닮은 항아리에게 아름다움을 묻다'·방앤리 '카나리아 배포' 外 이헌정 개인전 전시 전경. [사진제공 = 박여숙 화랑]

그는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한 국가 또는 사람이 자신의 공동체를 견고하게 유지하고 결속하는 도구로서 ‘전통’을 활용하는 것을 지적하고, 자신의 문화적 우월성과 독창성을 설명하면서 자신의 문화가 지닌 ‘아름다움’만을 강조하는 오만을 꼬집는다.


"'완벽하게 둥근 달항아리'를 만들어 내는 것은 그 형태 자체를 외워버린 것일 뿐"이라고 규정한 작가는, "굽다가 일그러지면 일그러진 대로 받아들인다. 예술은 이미 만들어진 가치를 재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질문을 던지는 것,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상상력을 부여해주는 것이 예술가의 일이다"라고 말했다.


아름다움에 대한 정의가 이미 고착화돼 있음을 '폭력'이라 정의하는 작가의 시선은 깨지고 일그러진 형태의 달항아리들 속에 살아있는 시대정신으로 오롯이 숨 쉬고 있다. 전시는 12월 20일까지, 서울시 용산구 소월로38길 박여숙화랑.


[이주의 전시]이헌정 '달을 닮은 항아리에게 아름다움을 묻다'·방앤리 '카나리아 배포' 外 한나 허 개인전 전경. [사진제공 = 두산갤러리]

▲한나 허 개인전 '한나 허: 8' = 미국 로스앤젤레스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한나 허(Hanna Hur)의 개인전 '한나 허: 8'이 서울 종로구 두산갤러리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에서 대형 회화 연작을 공개하는 작가는 작품을 전시장 네 개의 벽 안팎에 등을 맞대어 걸어 하나의 설치 작업처럼 공개한다. 이를 통해 마치 설계한 공간이 회화와 연동해 관객에게 ‘보는 행위’와 ‘신체적 경험’을 동시에 제공하게 한다.


안과 밖이 공존하는 벽에 명확한 순서 없이 걸린 작품을 통해 관람객을 자발적 행위자로 변모시키는 것. 작가는 이러한 ‘상황(situation)’을 연출하면서 관객이 자신의 움직임만으로 외부와 내부를 정의하도록 유도한다. 검은 바탕의 바깥에 걸린 그림들은 보이지 않는 반대편 기둥에 걸린 그림과 맞닿아 있다.


반면, 안에 걸린 그림들은 빨간색 그림이다. 네 개의 그림을 중앙으로 가로지르는 하얀색 막대는 점점 넓어진다. 바깥의 그림들이 암흑 속 바다와 같다면, 안쪽의 그림들은 혈류같이 따뜻한 분위기를 품고 있다.

[이주의 전시]이헌정 '달을 닮은 항아리에게 아름다움을 묻다'·방앤리 '카나리아 배포' 外 전시장 외벽 윈도우갤러리에 한나 허가 초청한 동료 작가 나미라(Na Mira)의 신작 'Chord'(2024)가 설치된 모습. 이번 전시를 위해 나미라는 한나 허 작업의 주재료가 되는 시각적 효과와 색상 모티프를 참조하여 새로운 설치 작업을 제작했다. [사진제공 = 두산갤러리]

그림은 ‘Threshold(문턱, 한곗값)’라는 제목을 공유하고, 일종의 ‘사이 상태(In-betweenness)’. 즉 변화 가능성을 암시한다. 끊임없이 인식 경계가 흐트러지는 전시공간에서 관람객이 작품을 온전히 경험하기 위해서는 인식의 한계에 도전해야 한다. 이 과정은 새로운 신체적 경험의 ‘문턱’(threshold)에 서는 수순과 같다.


비워지고 채워짐이 반복되는 현상학적 공간에서 작가는 인식의 경계를 끊임없이 흐트러뜨리고 여닫으며, 관람객은 이를 초월한 순간 비로소 자신만의 자유로운 정신적 세계에 다다르게 된다. 전시는 12월 21일까지, 서울시 종로구 종로33길, 두산갤러리.


[이주의 전시]이헌정 '달을 닮은 항아리에게 아름다움을 묻다'·방앤리 '카나리아 배포' 外 방앤리 '카나리아 배포: 모든 거짓말에 대한 증명' 설치 전경. [사진제공 = 노화랑]

▲방앤리(Bang & Lee) 개인전 '카나리아 배포: 모든 거짓말에 대한 증명(Canary Release: Proof Against All Lies)' = 노화랑은 뉴미디어그룹 방앤리 전시 '카나리아 배포: 모든 거짓말에 대한 증명(Canary Release: Proof Against All Lies)'을 진행한다. ‘방앤리(Bang & Lee)’는 방자영과 이윤준이 2006년 결성한 2인 작가 그룹으로, 뉴미디어·리서치·디자인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작업을 소화하고 있다.


정식 출시 전, 소프트웨어를 일부 사용자에게 미리 공개해 정상 작동되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뜻하는 '카나리아 배포'를 제목으로 한 이번 전시는 ‘워킹 시뮬레이터(Walking Simulator)’ 형식을 빌려 기획됐다. 플레이어의 '걷기와 보기'를 중심으로 그 주변의 이야기를 탐색하는 게임 장르인 워킹 시뮬레이터에 미술 전시를 결합하고 싶었다는 이들은 진실과 거짓의 경계를 탐구하고, 사회 전반에 만연한 위기와 재난을 게임 형식으로 풀어낸다.

[이주의 전시]이헌정 '달을 닮은 항아리에게 아름다움을 묻다'·방앤리 '카나리아 배포' 外 방앤리, '브로드웨이 애비뉴'(2024) [사진제공 = 노화랑]

작품 중 직접적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물리적 장치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설치, 회화, 영상 작품 곳곳에 게임 요소가 드러나면서 전시공간 전체가 '카나리아 배포: 모든 거짓말에 대한 증명(Canary Release: Proof Against All Lies)'을 타이틀로 하나의 줄거리를 갖춘 게임처럼 평면 회화, 텍스트, 입체, 영상을 통한 가상현실 등을 아우르며 다차원적 작업을 구현해낸다.


전시는 방앤리가 지난 2008년 캐나다 여행 중 실제 겪었던 사건으로 관객을 초대한다. 당시 협업하던 한 미국인 작가가 방자영 작가의 컴퓨터를 몰래 훔쳐 도망치자, 이를 되찾기 위해 이윤준 작가가 캐나다 위니펙의 말버러 호텔, 브로드웨이 애비뉴, 대평원, 사막 지대 등을 여행하며 남긴 기록을 고스란히 화폭에 옮겨 작품이 완성됐다.


AD

굳게 믿었던 동료 작가의 배신, 그리고 선진국이라 믿었던 캐나다 곳곳에서 직접 목격한 환경문제. 아마도 두 사람이 느꼈을 거짓말은 이 단순한 이반(離叛) 너머의 허무와 혼란, 분노가 아니었을까. 전시는 12월 2일까지.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노화랑.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4.0609:01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관 전원일치 8 대 0으로 파면됐다. 한국 정치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대통령이 파면됐다. 불행한 역사다. 지난 4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이상돈 전 의원은 "국민의힘이 플랜B가 없다"며 변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터뷰 전문은 아래 영상을 통해 볼 수 있다. 윤 대통령이 8:0으로 파면됐다.영어로 표현하면 심플 앤드 클리어다.

  • 25.04.0608:00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최근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권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간의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홍콩 재벌 리카싱 회장이 양국의 압력 속에서 곤란한 상황에 놓였다. 리카싱이 이끄는 CK 허친슨 그룹은 파나마 운하 항구 2곳의 운영권을 미국 투자기업 블랙록에 매각하려 했으나, 중국 정부의 강력한 압박으로 최종 계약 단계에서 보류하게 되었다. 이는 단순한 비즈니스 거래를 넘어 글로벌 해양 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치열한 경쟁의

  • 25.04.0508:00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중국이 6개월 만에 대만 포위 훈련을 재개하면서 동북아시아의 군사적 긴장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이번 훈련은 미국이 전 세계를 향해 상호 관세를 발표한 시점과 맞물려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은 라이칭더 대만 총통을 '독충'으로 표현하며 대만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대만군에 따르면, 자국 해안 일대에서 발견된 중국 함선은 군함 13척, 경비정 4척을 포함해 총 71척에 달했다. 또한

  • 25.04.0110:59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지 고작 2개월여 만에 3연임 도전에 나설 것임을 시사해 미국 정계에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연임이 가능한 방법이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 헌법의 대통령 임기 제한 조항을 우회할 수 있다며 자신감까지 내비쳤다. 미국의 대통령은 수정헌법 22조에 따라 3연임을 금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2016년 대선에서 승리해 한 차례 대통령직을 수행했고, 이후 조 바이든

  • 25.03.3008:01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지난 28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1시간 동안 출연했다. 인터뷰 전문과 영상은 2일 오전 9시 공개될 예정이다. 이 전 총리는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는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5개 재판 중 가장 간명했던 것이 공직선거법 관련 재판이다. 5개 재판 중 죄질로 보면 가장 가볍다. 그것 하나 고등법원 판단이 나왔다고 사법 리스크가 끝났다는 것은 이재명 대표나

  • 25.04.0814:57
    은행장도 벌벌 떤다… '금융판 중대재해법'
    은행장도 벌벌 떤다… '금융판 중대재해법'

    #시중 은행 고위 임원 A씨는 올해 들어서 전국의 지점에서 올라오는 크고 작은 문제들을 매일 보고 받는 중이다. 책무구조도를 도입하면서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의 작은 지점에서 벌어지는 1000원 단위의 작은 계산 착오 문제까지 본인에게 책임이 돌아올 수 있는 상황이라 신경 써야 할 일이 배로 늘었다. #정부 고위 관계자 B씨는 최근 금융사 최고경영자(CEO)들을 만날 때마다 책무구조도와 관련된 하소연을 듣는 일이 많아

  • 25.04.0806:10
    ④신한·우리, 내부통제 실효성 강화…농협·하나, 내부통제 문화 정착
    ④신한·우리, 내부통제 실효성 강화…농협·하나, 내부통제 문화 정착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은행장도 벌벌 떤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금융판 중대재해법①
    은행장도 벌벌 떤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금융판 중대재해법①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②"밑에서 몇백억 떼먹어도 책임지는 경영자 없어"
    ②"밑에서 몇백억 떼먹어도 책임지는 경영자 없어"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③해외선 이미 도입된 제도…"차등규제" 목소리도
    ③해외선 이미 도입된 제도…"차등규제" 목소리도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609:01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관 전원일치 8 대 0으로 파면됐다. 한국 정치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대통령이 파면됐다. 불행한 역사다. 지난 4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이상돈 전 의원은 "국민의힘이 플랜B가 없다"며 변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터뷰 전문은 아래 영상을 통해 볼 수 있다. 윤 대통령이 8:0으로 파면됐다.영어로 표현하면 심플 앤드 클리어다.

  • 25.04.0608:00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최근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권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간의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홍콩 재벌 리카싱 회장이 양국의 압력 속에서 곤란한 상황에 놓였다. 리카싱이 이끄는 CK 허친슨 그룹은 파나마 운하 항구 2곳의 운영권을 미국 투자기업 블랙록에 매각하려 했으나, 중국 정부의 강력한 압박으로 최종 계약 단계에서 보류하게 되었다. 이는 단순한 비즈니스 거래를 넘어 글로벌 해양 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치열한 경쟁의

  • 25.04.0508:00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중국이 6개월 만에 대만 포위 훈련을 재개하면서 동북아시아의 군사적 긴장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이번 훈련은 미국이 전 세계를 향해 상호 관세를 발표한 시점과 맞물려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은 라이칭더 대만 총통을 '독충'으로 표현하며 대만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대만군에 따르면, 자국 해안 일대에서 발견된 중국 함선은 군함 13척, 경비정 4척을 포함해 총 71척에 달했다. 또한

  • 25.04.0110:59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지 고작 2개월여 만에 3연임 도전에 나설 것임을 시사해 미국 정계에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연임이 가능한 방법이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 헌법의 대통령 임기 제한 조항을 우회할 수 있다며 자신감까지 내비쳤다. 미국의 대통령은 수정헌법 22조에 따라 3연임을 금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2016년 대선에서 승리해 한 차례 대통령직을 수행했고, 이후 조 바이든

  • 25.03.3008:01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지난 28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1시간 동안 출연했다. 인터뷰 전문과 영상은 2일 오전 9시 공개될 예정이다. 이 전 총리는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는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5개 재판 중 가장 간명했던 것이 공직선거법 관련 재판이다. 5개 재판 중 죄질로 보면 가장 가볍다. 그것 하나 고등법원 판단이 나왔다고 사법 리스크가 끝났다는 것은 이재명 대표나

  • 25.04.0814:57
    은행장도 벌벌 떤다… '금융판 중대재해법'
    은행장도 벌벌 떤다… '금융판 중대재해법'

    #시중 은행 고위 임원 A씨는 올해 들어서 전국의 지점에서 올라오는 크고 작은 문제들을 매일 보고 받는 중이다. 책무구조도를 도입하면서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의 작은 지점에서 벌어지는 1000원 단위의 작은 계산 착오 문제까지 본인에게 책임이 돌아올 수 있는 상황이라 신경 써야 할 일이 배로 늘었다. #정부 고위 관계자 B씨는 최근 금융사 최고경영자(CEO)들을 만날 때마다 책무구조도와 관련된 하소연을 듣는 일이 많아

  • 25.04.0806:10
    ④신한·우리, 내부통제 실효성 강화…농협·하나, 내부통제 문화 정착
    ④신한·우리, 내부통제 실효성 강화…농협·하나, 내부통제 문화 정착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은행장도 벌벌 떤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금융판 중대재해법①
    은행장도 벌벌 떤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금융판 중대재해법①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②"밑에서 몇백억 떼먹어도 책임지는 경영자 없어"
    ②"밑에서 몇백억 떼먹어도 책임지는 경영자 없어"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③해외선 이미 도입된 제도…"차등규제" 목소리도
    ③해외선 이미 도입된 제도…"차등규제" 목소리도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