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지난 10월 한달 간 도산한 기업이 900곳을 넘어섰다. 원재료비 상승 등을 판매가격에 반영하기 어려운 중소기업들을 중심으로 도산이 잇따르고 있다는 진단이다. 올 들어 10월까지 누계 기업 도산 역시 8300건을 돌파해 지난해 연간 수준에 육박하고 있다.
11일 도쿄상공리서치에 따르면 10월 기업 도산은 909건(부채액 1000만엔 이상)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4.62%, 전월 대비 12.63% 증가한 규모다. 10월 기준으로 월간 도산 건수가 900건을 넘어선 것은 2013년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10월 부채총액은 2529억1300만엔을 기록했다. 부채 총액 규모는 1년 전보다 17.88% 늘어났다.
도쿄상공리서치는 "부채 1억엔 미만의 도산이 77.1%를 차지하며 올 들어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며 영세 규모 기업들의 도산 증가세를 주목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역시 "음식업 등 노동집약형 산업의 도산이 눈에 띈다"며 "임금인상을 피할수 없지만 현금 흐름에 여유가 없는 기업들로서는 자금악화에 박차를 가해 경영이 막히는 요인이 된 것"이라고 전했다.
올 들어 1~10월 누계 기업 도산은 전년 동기 대비 17.6% 늘어난 8323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연간 도산 건수(8690건)에 육박한다.
지금 뜨는 뉴스
최근 일본에서는 오랜 기간 저금리 대출로 연명해온 이른바 '좀비기업'들을 중심으로 기업 퇴출 쓰나미가 현실화하고 있다. 일본은행(BOJ)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 종료 후 비용부담이 커지면서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한 기업들이 한계에 직면한 것이다. 기업 도산 건수는 지난 상반기 10년 만에 처음으로 5000건을 돌파한 데 이어 올해 연간 기준으로도 1만건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도쿄상공리서치는 "(기업 도산건수가) 11년 만에 연간 1만건 돌파가 현실화할 기미"라고 내다봤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