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화지처럼 큰 문신…보기 싫다"
"위화감 느껴"vs"패션의 일부" 의견 대립
국내서 '노 타투 존' 등장하기도
한 누리꾼이 "수영장에 문신이 있는 사람이 들어오는 것이 싫다"며 입장을 제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지난 24일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에는 '수영장 다니는데 문신충이 너무 많아 진짜 짜증 나요'라는 제목의 글이 게시됐다. 작성자 A씨는 "수영장에 자녀를 데리고 간다. 그런데 수영장에 문신충이 너무 많다"고 운을 뗐다. '문신충'이란 문신에 벌레 충(蟲) 자를 붙여 문신을 한 사람을 비하하는 의미로 쓰이는 표현이다.
A씨는 "이레즈미(일본의 정통 문신) 스타일도 많고, 문신이 무슨 도화지 크기처럼 큰 사람들도 많다"며 "몸에 잉어 문신을 하고 물에서 헤엄치는 꼴을 보면 그냥 민물강에 박아버리고 싶다"고 격한 감정을 드러냈다. 이어 "애들도 보는 샤워실에서 문신을 드러내고 씻는 모습이 눈살을 찌푸리게 만든다"며 "우리나라도 일본처럼 문신이 있는 사람들은 노출을 불가피하게 해야 하는 장소에 못 오게끔 막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문신충을 사람으로 취급해 주니 여기저기서 활개를 친다. 너무 보기 싫다"며 "이놈들은 씻었는지, 때가 묻은 건지 알 수도 없다. 씻어도 지워지지 않을 만큼 더러워 보인다"고 거부감을 표하기도 했다.
실제로 일본 유후인 등 유명 온천 관광지에서는 '몸에 문신이 있는 사람의 입욕을 금지한다'는 안내문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몸에 문신이 가득한 야쿠자(일본의 폭력단체 일원)들이 다른 손님들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내도 지난 3월경 목욕탕, 호텔, 수영장 등을 중심으로 몸에 문신이 있는 사람의 출입이 제한되는 '노 타투 존'이 등장했다. 노 타투 존으로 헬스장을 운영하는 한 업주는 "다른 고객에게 위협감을 조성할 수 있기에 문신 노출 제한을 권고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지금 뜨는 뉴스
누리꾼들은 문신에 대한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몸에 문신이 가득한 사람을 보면 위화감이 느껴져 멀리하고 싶다", "헬스장 같은 곳에는 좀 가리고 들어오길 바란다", "불량함의 상징이었던 만큼 좋지 않은 시선을 감수해야 한다" 등 A씨의 의견에 공감하는 이들이 많았다. 반면 "문신은 이제 패션의 일부일 뿐이다", "연예인들도 많이들 하는데 뭐가 문제냐", "문신으로 뭐라 하는 건 고리타분한 생각이다" 등 문신을 옹호하는 사람들도 다수 존재했다.
정예원 인턴기자 ywju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