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진 국민의힘 의원이 22일 ‘전기차 화재 대응을 위한 안전관리방안’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에서는 전기차 배터리 안전 관리 대책 및 소방 관련 대응 능력 제고 방안이 논의됐다.
권 의원은 이날 최근 인천에서 발생한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사고와 관련해 안전관리 대책을 시급히 마련하기 위해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에서 "최근 전기차 화재사고 발생 이후 아파트 지하주차장 진입 허용 여부, 전기차 충전 제한 등에 관한 처방과 대책이 제각각이라 혼란이 있을 수 있다"며 "국민적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의 종합대책이 절실하고 시급한 상황이다"이라고 말했다.
토론회에는 정부 측 관계자들이 참여해 전기자동차 화재 예방 및 대응 현황과 계획을 소개했다.
김은정 국토교통부 자동차정책과장은 "지난 22년부터 전기차 안전 강화를 위해 배터리 사전 인증·배터리 이력관리제도를 준비를 해왔고 시행 예정"이라며 "배터리관리시스템(BMS) 고도화 기능이 탑재된 차량에 안전도 점수를 높게 부여하는 등 제작사의 자발적 노력을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재정 산업통상자원부 배터리전기전자과장은 "BMS를 통한 해결 방법이 가장 확실한 답"이라며 문제는 자동차 업체가 일정 성능 이상을 가진 BMS를 탑재하도록 하는 것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금 뜨는 뉴스
소방장비 등 보강에 관한 논의도 나왔다. 김수환 소방청 장비총괄과장은 "전기차 화재진압용 장비를 소방청이 충분히 보유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분야별로 기술·장비 및 여러 가지 대응 체계에 관련된 사항들이 정립되면 제도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고병용 한국토지주택공사 공공주택시설처 팀장은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스프링클러의 작동 성능과 신뢰성을 높이고, 공동주택의 소방시설을 적절히 운영할 수 있는 안전관리자의 역량 함양, 정밀점검 시스템 강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