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IoT)과 스마트시티 부문의 국내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승인받았다. 이를 통해 향후 관련 기술의 글로벌 주도권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은 최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전기통신연합(ITU-T) 사물인터넷 및 스마트시티 연구반(SG20) 국제회의에서 ETRI 연구진이 주도적으로 개발한 기술 4건 중 2건을 국제표준으로 최종 승인받았다고 26일 밝혔다.
이외에도 ETRI는 2건을 국제표준으로 사전 채택 받고, 11건을 신규 표준화 과제로 채택 받는 성과를 거뒀다. 한국 대표단 전체의 성과로 확대하면, 회의에서 한국은 국제표준 승인 총 4건에 사전 채택 2건 그리고 신규 표준화 과제 채택 15건 등 성과를 올렸다는 게 ETRI의 설명이다.
이는 47개국의 전문가 336명이 국제표준 개발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얻은 결실이다.
ETRI에선 한국 수석대표인 김형준 박사를 포함해 총 18명의 표준전문가가 회의에 참석했다. 이들 연구진은 ITU-T에서 ▲차기 연구회기(2025~2028)의 SG20 활동 방향 ▲디지털 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스마트 농업 ▲스마트빌딩 ▲에너지 데이터 관리 등 주요 이슈에 대한 표준화 논의를 주도했다.
특히 ETRI 기술 중 국제표준으로 최종 승인된 ‘자율 배달로봇 표준’은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를 가속화하고, 스마트시티에서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두루 갖춘 물류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받았다.
ETRI 연구진이 주도해 개발한 ▲배달 로봇 연동 요구사항 ▲사물인터넷 기기 권한 위임 프레임워크 등 2건의 표준은 사전 채택됐고, ▲메타버스 기반 디지털트윈 상호연동 ▲스마트 농업에서의 작물 생장 모니터링 등 11건은 신규 표준화 과제로 채택됐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ETRI는 사물인터넷과 메타버스 기술의 표준화가 스마트시티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이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지금 뜨는 뉴스
ETRI 표준연구본부 이승윤 본부장은 “ITU-T의 차기 표준화 회기에서도 SG20 활동 주도해 사물인터넷과 스마트시티 분야의 국제 표준화 활동을 지속할 예정”이라며 “나아가 국내 산·학·연 간의 연계 협력을 강화해 정부 출연연구기관의 역할이 더욱 선명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