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배터리완전정복](32)ESS, 전기차 캐즘 극복할 돌파구될까

시계아이콘04분 27초 소요
뉴스듣기 글자크기
편집자주지금은 배터리 시대입니다. 휴대폰·노트북·전기자동차 등 거의 모든 곳에 배터리가 있습니다. [배터리 완전정복]은 배터리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일반 독자, 학생, 배터리 산업과 관련 기업에 관심을 가진 투자자들에게 배터리의 기본과 생태계, 기업 정보, 산업 흐름과 전망을 알기 쉽게 전달하기 위해 만든 코너입니다. 매주 토요일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배터리완전정복](32)ESS, 전기차 캐즘 극복할 돌파구될까
AD

LG에너지솔루션의 사내 독립 기업인 에이블(AVEL)은 지난 3월 제주도청과 한국전력으로부터 에너지저장장치(ESS·Energy Storage System) 발전소 인허가를 취득했다. ESS 발전소로 전기사업허가를 받은 첫 국내 첫 사례다.


에이블은 ESS를 연계한 재생에너지 전력망 통합 관리 사업을 위해 지난 2022년 10월 출범했다. 재생에너지가 급증하고 있지만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로 출력 제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불규칙한 날씨로 인해 발전량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배터리 기술로 해결하자는 취지로 시작했다.


출범 1년여 만에 구체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에이블은 제주도에서 단독형 ESS 발전소를 운영할 예정이다.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저장해 필요한 곳에 공급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에 배터리 용량 6.3메가와트시(MWh) 규모의 발전소를 구축할 계획이다.


에이블은 가상발전소(Virtual Power plant·VPP) 사업도 준비하고 있다. VPP는 정보기술(IT) 기술을 이용해 분산된 자원을 한곳에 모아 하나의 발전소처럼 관리하는 새로운 개념의 발전소다. 오는 6월 시행되는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을 계기로 VPP 사업자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VPP 사업에서도 ESS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전기차 성장세가 둔화하는 캐즘(Chasm) 시기를 맞아 ESS가 이차전지 업계의 새로운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가 급증함에 따라 ESS 시장도 고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주요국들도 정부 차원에서 ESS 장려 정책을 펼치고 있다. 국내 배터리 3사 역시 ESS 사업을 새로운 수익원으로 보고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와 단짝, ESS

한번 생산한 전기는 가둘 수 없다. 그래서 예전부터 전기가 남아돌 때 저장했다 부족할 때 쓸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찾기 시작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양수발전이다. 양수발전은 야간에 남는 전력을 이용해 물을 댐 위로 끌어 올린 뒤 전력 수요가 많은 낮 시간대에 물을 방류해 전기를 생산한다. 양수발전은 ESS의 가장 고전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차전지를 활용한 ESS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 등장 이후 거의 모든 ESS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이용하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다른 배터리에 비해 높은 에너지 밀도와 에너지 효율, 수명 사이클 측면에서 강점을 지니고 있다. 또 전기차의 확산으로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가격도 크게 낮아졌다.


리튬이온 배터리뿐 아니라 향후에는 바나듐 배터리, 나트륨이온 배터리, 나트륨황(NaS) 배터리 등 다양한 이차전지가 ESS에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


ESS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전기를 저장하고 방전하는 배터리 ▲배터리의 전압·전류·온도 등을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직류를 교류로 변환 후 전력을 공급하는 PCS(Power Conversion System·전력변환장치)▲배터리·PCS·BMS를 제어하는 운영 시스템인 EMS(Energy Management System)가 그것이다.

[배터리완전정복](32)ESS, 전기차 캐즘 극복할 돌파구될까 ESS 구성요소. 이미지출처=에너지인사이트, 대신증권리서치센터 재인용

ESS는 예전에는 비상전원장치(UPS)로 많이 쓰였다. 일시적 단전 등으로 인해 빌딩 등에 전력을 공급받을 수 없는 때 비상용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이다.


근래에는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보급과 함께 ESS가 신재생에너지의 품질을 높이는 용도로 많이 쓰인다. 신재생에너지는 생산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전압과 주파수가 불안정한데 이는 전력계통에 부담을 준다. 주파수가 급격히 변하면 전력 기기가 고장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ESS를 사용하면 주파수 및 전압을 조정해 전력 계통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ESS는 전력 수요를 분산시키는 역할도 한다. 전력 수요가 몰리는 피크 시간대에 ESS에 저장했던 전력을 공급한다면 그만큼 전력을 덜 생산할 수 있고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가정에서는 낮에 태양광으로 생산한 전기를 ESS에 저장했다 저녁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요금을 아낄 수 있다.


ESS는 신재생에너지의 급속한 확대로 발생하는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자원이 풍부한 곳에서는 낮에 필요 이상으로 많은 전력을 생산해 공급과 수요가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수급 불균형을 잘 보여주는 것이 이른바 '덕 커브(Duck Curve)'다.


덕 커브는 전력 수요에서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차감한 순수요(Net Demand)를 곡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때 낮 시간에 곡선이 밑으로 움푹 팬 모습을 띠게 되는데 마치 오리의 모양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배터리완전정복](32)ESS, 전기차 캐즘 극복할 돌파구될까

캘리포니아에서는 덕 커브 현상이 심해져 아예 계곡처럼 낭떠러지 모양을 나타내 '캐년 커브(Canyon Curve)''라는 말까지 나온다. 캘리포니아가 ESS 설치를 의무화하는 배경이다.


ESS는 이같은 재생에너지의 편중 현상을 누그러뜨릴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서부는 태양광, 중부는 풍력 자원이 풍부하다. 향후 재생에너지 비중이 증가할수록 재생에너지 자원이 많은 지역에서 초과 발전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이를 저장하거나 다른 지역으로 보낼 필요성이 증가하게 된다. ESS가 이같은 재생에너지의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美·中은 의무화하기도…전 세계 ESS 시장 2030년 53조원으로 성장

주요국들은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ESS 보급을 위해 설치 의무화, 보조금, 전력 시장 참여 유도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캘리포니아, 오레건, 매사추세츠, 뉴욕, 뉴저지 등 5개 주에서 ESS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또 2022년 8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도입 이후 투자세액공제(ITC)를 통해 ESS 설치 투자비에 대해 세액을 공제해주고 있다. 이와 함께 ESS가 전력 도매 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침을 제정했다.


중국은 2025년까지 ESS 설비 규모를 30기가와트(GW) 이상으로 확대하고 ESS 비용을 3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신규 유틸리티 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에 대해서는 ESS 연계를 의무화하고 있다. 또 설비 기준을 충족하는 ESS 설비에 대해 지방 정부에서 보조금을 지급한다.


유럽은 2023년 3월 ESS의 수익성 · 및 보급 확대를 위한 가이드라인(Recommendation on Energy Storage)을 발표했다. 독일과 호주는 가정용 ESS 위주로 보급중이다.


인도는 2032년까지 51~84GW 규모의 ESS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 또 전체 전력 수요에서 ESS로 충당하는 비중이 2030년까지 4%에 도달하도록 의무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배터리완전정복](32)ESS, 전기차 캐즘 극복할 돌파구될까

재생에너지 비중 증가와 각국의 정책 드라이브에 힘입어 ESS 시장은 급격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블룸버그NEF의 전망(2023년)에 따르면 ESS 설비 규모(양수발전 제외)는 2022년 91.5기가와트시(GWh)에서 2030년 1432GWh로 10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글로벌 ESS 연간 시장 규모는 2022년 152억달러에서 2030년 395억달러(약 53조4830억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역별로는 미국과 중국이 글로벌 ESS 보급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주요 선진국에게서도 보급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기술별로는 리튬이온 배터리 기반이 ESS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가운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비중이 점차 증가할 전망이다. 블룸버그NEF는 2022년을 기점으로 LFP 배터리가 삼원계(NCM·NCA) 배터리를 추월했으며 2030년까지 ESS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했다.


[배터리완전정복](32)ESS, 전기차 캐즘 극복할 돌파구될까

국내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인 SNE리서치는 올해 리튬이온 배터리 ESS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27% 성장한 235GWh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후 연평균 10.6% 성장하며 2035년에는 618GWh까지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금액 기준으로는 올해 400억달러에서 2035년 800억 달러 수준으로 2배가량 늘어날 전망이다. 지역별로는 중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어 북미가 지난해 55GWh에서 2035년 181GWh까지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배터리완전정복](32)ESS, 전기차 캐즘 극복할 돌파구될까
韓 보조금 축소·화재 영향 ESS 위축…배터리 3사는 '새 먹거리'

우리나라는 2022년 기준 4.1GW 규모의 ESS 설비를 보유해 세계 4위를 유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국내 ESS 신규 설치량은 2018년 3836MWh로 최대치를 기록했으나 2022년에는 252MWh로 15분의 1 규모로 축소됐다.

[배터리완전정복](32)ESS, 전기차 캐즘 극복할 돌파구될까

우리나라는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신재생에너지보급인증서(REC) 가중치 부여, 충전요금 할인, 설치비 지원 등 보급 정책이 축소됨에 따라 시장이 침체했다. 특히 2017년 이후 총 50건(2023년 9월 기준)의 화재 사고가 발생한 것도 시장이 급속도로 위축된 요인이 됐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에너지스토리지 산업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하지만 주요국에서 도입하고 있는 보조금, 설치 의무화 등의 강력한 정책은 포함하지 않았다. 다만 정부는 저탄소 중앙계약 시장, ESS 연계 재생에너지 입찰 시장 등 시장 제도에 기반해 ESS 보급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배터리 3사는 ESS 시장을 새로운 수익원으로 보고 적극 공략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LFP용 ESS를 강화하고 있다. 이 회사는 현재 오창과 중국 난징에서 ESS용 LFP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다.


[배터리완전정복](32)ESS, 전기차 캐즘 극복할 돌파구될까 LG에너지솔루션 애리조나 공장 조감도

LG에너지솔루션은 아예 ESS 전용 LFP 배터리 생산 라인도 갖출 예정이다. 4월에 착공한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는 원통형 배터리(36GWh)와 함께 ESS 전용 LFP 배터리(17GWh)를 생산한다. 준공 예정 시기는 2026년이다.


[배터리완전정복](32)ESS, 전기차 캐즘 극복할 돌파구될까 삼성SDI의 ESS 제품인 'SBB(삼성 배터리 박스)'의 모습.

삼성SDI는 울산과 중국 시안 공장에서 ESS를 생산하고 있다. 삼성SDI는 NCA 배터리 기반으로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을 강화한 일체형 ESS 시스템인 'SBB(삼성 배터리 박스)를 통해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AD

SK온은 2021년 북미 ESS 기업인 'IHI 테라선 솔루션'과 손잡고 미국 현지에서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ESS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참고문헌
대신증권, ESS, 에너지전환의 퍼즐을 채우다. 2023.8.17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스토리지(ESS) 산업 발전전략, 2023.10.31
전자신문, LG엔솔 사내독립기업 에이블, 국내 최초 ESS 발전소 인허가 취득…“차별적 고객가치 제공”, 2024.3.27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7.0508:00
    중국 뒤흔드는 시진핑 실각설…사그러들지 않는 이유
    중국 뒤흔드는 시진핑 실각설…사그러들지 않는 이유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실각설이 중국은 물론 전 세계 주요 매체들의 화두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이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오는 10월 경주에서 개최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시진핑 주석이 참석할지 여부도 관심사인 상황에서 실각설까지 불거져 나오면서 중국 내부 정세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시진핑 주석의 군부 측근들이 잇따라 실각하고 있는 상황이 단순한 소문만은 아닌 것 같다는 분석이 나

  • 25.07.0409:06
    '신춘문예 3관왕' 강유정 대변인[AK라디오]
    '신춘문예 3관왕' 강유정 대변인[AK라디오]

    3일 진행된 이재명 대통령 기자회견('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에서 사회를 본 사람은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다. 현재 대통령실에는 현역 국회의원직을 버리고 근무하는 이가 세 명 있다. 강훈식 비서실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그리고 강유정 대변인이다. 강 대변인은 민주당 비례대표 국회의원으로 있다가 지난 6월5일 대통령실 대변인으로 임명됐다. 대변인은 '대통령실의 얼굴'이다. 대통령의 메시지, 행사, 각종 결정

  • 25.07.0110:48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AK라디오]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AK라디오]

    6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은 기재부 장관 후보자로 구윤철 서울대 경제학부 특임교수를 임명했다. 기획재정부 예산실장·기획재정부 2차관·국무조정실장 등을 지낸 구 후보자는 '정무 감각이 있는 재정·예산 전문가'로 평가된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후보자로 연결되는 기획재정부 라인으로 경제팀 얼개를 짰다. 즉각적으로 경제 위기 상황에 대응하고 AI를 중심으로

  • 25.06.3010:54
    '종횡무진' 우상호 정무수석[AK라디오]
    '종횡무진' 우상호 정무수석[AK라디오]

    1962년, 강원도 철원 동송읍에서 태어난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원내대표에 비대위원장까지 지낸 전직 4선 의원이다. 대개 초·재선급이 역대 정무수석을 맡아 왔던 것을 돌이켜보면 이례적이다. 전직 3선 의원인 강훈식 비서실장(1973년생)보다 선수가 높고 나이도 11살 많다. 정치적인 체급이나 경험, 부드러운 성격 등을 종합해보면 우 수석은 대통령실 내에서 '큰 형님'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타협과 상

  • 25.06.3009:23
    양기대 "대통령에 맞춰 민주당도 달라져야"
    양기대 "대통령에 맞춰 민주당도 달라져야"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지난달 26일 저녁 비명계 전직 의원들의 모임인 '초일회'와 만찬을 가졌다. 2시 30분 동안 진행된 만찬에서 우 수석은 "힘을 합쳐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 노력하자"고 했고, 초일회 회원들은 "통합과 화합의 길을 걸어달라"고 당부했다. 아시아경제 시사 유튜브 'AK라디오'는 초일회 간사 양기대 전 의원을 27일 전화로 인터뷰했다. 어떻게 지내나.대학에서 강의도 하고 AI 등에 관해 공부하면서 미

  • 25.07.0407:16
    전문가들 "수탁자 책임·수급권 보호 강화해야"⑤
    전문가들 "수탁자 책임·수급권 보호 강화해야"⑤

    "기금형 지배 구조는 단순히 공격적인 운용으로 고수익만을 추구하는 기제가 아니다. 위험 조정, 수익 관점에서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다. 수익률 제고 관점에서 논의되는 여러 정책 수단이 효율적으로 작동할 제도적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제도 개편의 의의가 있다."(남재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기금형 퇴직연금을 도입하면 현행 퇴직연금 제도의 구조적 한계를 개선할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 25.07.0306:10
    '국민연금 등판' 평가 분분… "메기효과 기대" vs "다층체계 훼손"④
    '국민연금 등판' 평가 분분… "메기효과 기대" vs "다층체계 훼손"④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 논의 과정에서 국민연금공단 참여 여부를 두고 찬반 의견이 나뉘고 있다. '규모의 경제' 효과와 함께 시장에서 메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오는가 하면, 다층 연금 체계가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의 기금 운용 방식이 다르기에 참여가 부적절할 수 있다는 반대 주장도 나온다. 국민연금공단은 참여를 긍정적으로 내다보는 모습이다. 국민연금공단의 기금형 퇴직연금 참

  • 25.07.0206:10
    호주 등 영미권 수익률 3배↑…"韓 특성 맞게 제도 살펴야"③
    호주 등 영미권 수익률 3배↑…"韓 특성 맞게 제도 살펴야"③

    기금형 퇴직연금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호주와 영미권 사례가 주목받는다. 이들 국가는 사적 연금 제도가 발달한 곳으로, 우리나라처럼 퇴직연금 제도를 구성하는 데 있어 개인주의 특성을 보이는 곳이다. 전문가들은 퇴직연금 운용 투명성과 경쟁에 따른 수익률 향상, 수탁자 책임 강화 등의 해외 사례 이점을 국내 상황에 맞게 참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다양한 기금 경쟁하는 호주호주는 '슈퍼애뉴에이션(

  • 25.07.0106:10
    정부보다 국회가 앞서나…도입 법안 마련 '속도'②
    정부보다 국회가 앞서나…도입 법안 마련 '속도'②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 주목도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보다는 국회에서 관련 법안이 먼저 다듬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소규모 사업장을 위한 기금형 제도인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푸른씨앗)에 주목하는 모양새다. 전문가들은 퇴직연금 공공성을 높이고 운용 주체의 책임성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기금형 도입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1일 고용노동부와 더불어민주당 등에 따르면 새 정부가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에 별다른

  • 25.06.3008:40
    두번의 탄핵, 두번의 좌초…퇴직연금 10년 넘은 논의 마쳐야①
    두번의 탄핵, 두번의 좌초…퇴직연금 10년 넘은 논의 마쳐야①

    기금형 퇴직연금 제도를 도입하자는 논의가 10년이 넘게 이뤄지고 있지만 종착지를 찾지 못하고 있다. 기금형 도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때마다 대통령 탄핵과 정권 교체 등에 따른 정국 혼란으로 동력을 잃은 탓이다. 지난해 퇴직연금 적립금이 400조원을 처음으로 돌파하며 빠르게 몸집을 키우는 만큼 기금형 도입을 더는 늦추지 말아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연초 활발했던 기금형 논의…새 정부 들어 '잠잠' 지난 4일 새 정부

  • 25.07.0106:50
    ⑨‘달바 잭팟’ 터뜨린 HB인베, 1兆클럽 향해 순항중
    ⑨‘달바 잭팟’ 터뜨린 HB인베, 1兆클럽 향해 순항중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3006:50
    ⑧에이티넘인베스트, 메가펀드로 유니콘 장기 육성
    ⑧에이티넘인베스트, 메가펀드로 유니콘 장기 육성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2606:50
    ⑦올해는 AI 회수 집중…'엑시트 전문가' 스톤브릿지벤처스
    ⑦올해는 AI 회수 집중…'엑시트 전문가' 스톤브릿지벤처스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2506:50
    ⑥'퓨리오사AI의 그 회사' DSC인베스트먼트
    ⑥'퓨리오사AI의 그 회사' DSC인베스트먼트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2306:50
    ⑤'1호 VC' 아주IB투자, 올해 바이오 회수 눈길
    ⑤'1호 VC' 아주IB투자, 올해 바이오 회수 눈길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2407:00
    전문가 한목소리 "인사청문제도 이제는 바꿔야"
    전문가 한목소리 "인사청문제도 이제는 바꿔야"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 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 25.06.2307:00
    윤상현 "국가 백년대계 걸린 청문회, 초당적 개혁 나서야"
    윤상현 "국가 백년대계 걸린 청문회, 초당적 개혁 나서야"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 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 25.06.2010:01
    수치로 본 변화…'韓日 산업 파트너십 60년'
    수치로 본 변화…'韓日 산업 파트너십 60년'

    1965년 한일기본조약 체결로 국교가 정상화된 이후 60년 동안 양국 간 산업 협력은 양적·질적 전환을 거쳐왔다. 한국무역협회가 20일 발표한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업협력 보고서'에 따르면, 양국 교역 규모는 1965년 2억 달러에서 2024년 772억 달러로 352배 확대됐다. 1960년대 한국은 주로 원자재와 경공업 제품을 일본에 수출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을 수입하는 수직적 분업 구조에 있었지만, 최근에는 IT·중화학 제품을

  • 25.06.2009:51
    韓·日 뭉치면 세계 판도 바뀐다…"약점 채우는 최적의 조합"
    韓·日 뭉치면 세계 판도 바뀐다…"약점 채우는 최적의 조합"

    한국과 일본, 닮은꼴 두 나라가 나란히 변곡점에 섰다. 저출산과 고령화, 노동력 부족이라는 구조적 위기와 수출 중심 성장모델의 한계가 동시에 불거지며, 양국의 경제 시스템은 근본적인 전환을 요구받고 있다. 여기에 미·중 기술패권 경쟁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라는 외부 충격까지 더해지며 이제는 개별 대응이 아닌 '공동 시장'으로의 협력 전략이 절실해졌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양국의 경제 규모를 합치면 미국과

  • 25.06.2009:32
    "첨단·에너지·스타트업까지…구조적 '한일 협력' 시너지 절실"
    "첨단·에너지·스타트업까지…구조적 '한일 협력' 시너지 절실"

    "지난해 한국에 진출한 일본계 기업의 80.4%가 흑자를 기록했다. 반도체, 바이오헬스, 에너지, 탈탄소, DX(디지털 전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수요가 높다고 생각한다." 마에가와 나오유키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제트로) 서울소장은 20일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이 같은 교류가 단순한 거래를 넘어 구조적인 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봤다. 그는 2022년 8월 한국에 부임해 양국 산업계와 긴밀히 접촉해 왔다. 이처럼

  • 25.07.0508:00
    중국 뒤흔드는 시진핑 실각설…사그러들지 않는 이유
    중국 뒤흔드는 시진핑 실각설…사그러들지 않는 이유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실각설이 중국은 물론 전 세계 주요 매체들의 화두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이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오는 10월 경주에서 개최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시진핑 주석이 참석할지 여부도 관심사인 상황에서 실각설까지 불거져 나오면서 중국 내부 정세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시진핑 주석의 군부 측근들이 잇따라 실각하고 있는 상황이 단순한 소문만은 아닌 것 같다는 분석이 나

  • 25.07.0409:06
    '신춘문예 3관왕' 강유정 대변인[AK라디오]
    '신춘문예 3관왕' 강유정 대변인[AK라디오]

    3일 진행된 이재명 대통령 기자회견('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에서 사회를 본 사람은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다. 현재 대통령실에는 현역 국회의원직을 버리고 근무하는 이가 세 명 있다. 강훈식 비서실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그리고 강유정 대변인이다. 강 대변인은 민주당 비례대표 국회의원으로 있다가 지난 6월5일 대통령실 대변인으로 임명됐다. 대변인은 '대통령실의 얼굴'이다. 대통령의 메시지, 행사, 각종 결정

  • 25.07.0110:48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AK라디오]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AK라디오]

    6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은 기재부 장관 후보자로 구윤철 서울대 경제학부 특임교수를 임명했다. 기획재정부 예산실장·기획재정부 2차관·국무조정실장 등을 지낸 구 후보자는 '정무 감각이 있는 재정·예산 전문가'로 평가된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후보자로 연결되는 기획재정부 라인으로 경제팀 얼개를 짰다. 즉각적으로 경제 위기 상황에 대응하고 AI를 중심으로

  • 25.06.3010:54
    '종횡무진' 우상호 정무수석[AK라디오]
    '종횡무진' 우상호 정무수석[AK라디오]

    1962년, 강원도 철원 동송읍에서 태어난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원내대표에 비대위원장까지 지낸 전직 4선 의원이다. 대개 초·재선급이 역대 정무수석을 맡아 왔던 것을 돌이켜보면 이례적이다. 전직 3선 의원인 강훈식 비서실장(1973년생)보다 선수가 높고 나이도 11살 많다. 정치적인 체급이나 경험, 부드러운 성격 등을 종합해보면 우 수석은 대통령실 내에서 '큰 형님'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타협과 상

  • 25.06.3009:23
    양기대 "대통령에 맞춰 민주당도 달라져야"
    양기대 "대통령에 맞춰 민주당도 달라져야"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지난달 26일 저녁 비명계 전직 의원들의 모임인 '초일회'와 만찬을 가졌다. 2시 30분 동안 진행된 만찬에서 우 수석은 "힘을 합쳐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 노력하자"고 했고, 초일회 회원들은 "통합과 화합의 길을 걸어달라"고 당부했다. 아시아경제 시사 유튜브 'AK라디오'는 초일회 간사 양기대 전 의원을 27일 전화로 인터뷰했다. 어떻게 지내나.대학에서 강의도 하고 AI 등에 관해 공부하면서 미

  • 25.07.0407:16
    전문가들 "수탁자 책임·수급권 보호 강화해야"⑤
    전문가들 "수탁자 책임·수급권 보호 강화해야"⑤

    "기금형 지배 구조는 단순히 공격적인 운용으로 고수익만을 추구하는 기제가 아니다. 위험 조정, 수익 관점에서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다. 수익률 제고 관점에서 논의되는 여러 정책 수단이 효율적으로 작동할 제도적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제도 개편의 의의가 있다."(남재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기금형 퇴직연금을 도입하면 현행 퇴직연금 제도의 구조적 한계를 개선할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 25.07.0306:10
    '국민연금 등판' 평가 분분… "메기효과 기대" vs "다층체계 훼손"④
    '국민연금 등판' 평가 분분… "메기효과 기대" vs "다층체계 훼손"④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 논의 과정에서 국민연금공단 참여 여부를 두고 찬반 의견이 나뉘고 있다. '규모의 경제' 효과와 함께 시장에서 메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오는가 하면, 다층 연금 체계가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의 기금 운용 방식이 다르기에 참여가 부적절할 수 있다는 반대 주장도 나온다. 국민연금공단은 참여를 긍정적으로 내다보는 모습이다. 국민연금공단의 기금형 퇴직연금 참

  • 25.07.0206:10
    호주 등 영미권 수익률 3배↑…"韓 특성 맞게 제도 살펴야"③
    호주 등 영미권 수익률 3배↑…"韓 특성 맞게 제도 살펴야"③

    기금형 퇴직연금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호주와 영미권 사례가 주목받는다. 이들 국가는 사적 연금 제도가 발달한 곳으로, 우리나라처럼 퇴직연금 제도를 구성하는 데 있어 개인주의 특성을 보이는 곳이다. 전문가들은 퇴직연금 운용 투명성과 경쟁에 따른 수익률 향상, 수탁자 책임 강화 등의 해외 사례 이점을 국내 상황에 맞게 참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다양한 기금 경쟁하는 호주호주는 '슈퍼애뉴에이션(

  • 25.07.0106:10
    정부보다 국회가 앞서나…도입 법안 마련 '속도'②
    정부보다 국회가 앞서나…도입 법안 마련 '속도'②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 주목도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보다는 국회에서 관련 법안이 먼저 다듬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소규모 사업장을 위한 기금형 제도인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푸른씨앗)에 주목하는 모양새다. 전문가들은 퇴직연금 공공성을 높이고 운용 주체의 책임성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기금형 도입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1일 고용노동부와 더불어민주당 등에 따르면 새 정부가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에 별다른

  • 25.06.3008:40
    두번의 탄핵, 두번의 좌초…퇴직연금 10년 넘은 논의 마쳐야①
    두번의 탄핵, 두번의 좌초…퇴직연금 10년 넘은 논의 마쳐야①

    기금형 퇴직연금 제도를 도입하자는 논의가 10년이 넘게 이뤄지고 있지만 종착지를 찾지 못하고 있다. 기금형 도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때마다 대통령 탄핵과 정권 교체 등에 따른 정국 혼란으로 동력을 잃은 탓이다. 지난해 퇴직연금 적립금이 400조원을 처음으로 돌파하며 빠르게 몸집을 키우는 만큼 기금형 도입을 더는 늦추지 말아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연초 활발했던 기금형 논의…새 정부 들어 '잠잠' 지난 4일 새 정부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