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K체인저스]⑭전세계 안방에 K콘텐츠 전파하는 뉴 아이디

시계아이콘02분 16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시아 최대 FAST 사업자 뉴 아이디
맨땅에서 시작…164개 채널 운영
콘텐츠 수명 늘리는 것이 기업 철학

세계인의 일상에 K콘텐츠로 파고든 기업이 있다. 안방에서 TV로 K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창구를 확보한 기업 ‘뉴 아이디’다. 아시아 최대 FAST 사업자인 뉴 아이디는 160여개의 FAST 채널을 통해 전세계 1억 가구에 K콘텐츠를 유통하고 있다. FAST(Free ad-supported streaming television)는 광고 기반의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다. 뉴 아이디 모든 채널을 합해 월 시청시간이 800만에 달한다. 음악, 드라마, 영화뿐만 아니라 먹방과 실시간 뉴스에 이르기까지 K콘텐츠의 모든 것을 24시간 내내 방영한다.

[K체인저스]⑭전세계 안방에 K콘텐츠 전파하는 뉴 아이디 박준경 뉴 아이디 대표(오른쪽)와 김조한 이사(사진제공=뉴 아이디)
AD

뉴 아이디는 콘텐츠 미디어그룹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NEW)의 첫 사내 벤처 회사다. 아시아 FAST 사업자 중에서 가장 많은 플랫폼(29개)에 가장 많은 채널(164개)을 운영 중이다. 인터넷이 연결된 TV만 있으면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유료 방송이 국내보다 5배 넘게 비싼 북미를 중심으로 인기다. 북미의 경우 FAST를 보는 가구가 70%에 달한다. FAST 광고 시장 규모는 지난해 39억달러(약 5조원)였다.


뉴 아이디는 지난해 무역의날 기념식에서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K콘텐츠의 디지털 유통망을 확장한 성과를 인정받은 것이다. ‘부산행’ ‘변호인’ 등 영화 배급사로 유명한 NEW는 드라마 제작과 음악 유통, 판권 유통에 이어 뉴 아이디를 통해 디지털 유통 영역까지 사업을 확장했다. NEW의 지난해 매출은 1556억원, 영업이익 72억원이다. 전년 대비 각각 10%, 320% 성장했다.

K콘텐츠의 세계여행을 돕는 곳
[K체인저스]⑭전세계 안방에 K콘텐츠 전파하는 뉴 아이디

뉴 아이디는 K콘텐츠 유통을 출입국 심사에 비유한다. 우리가 해외여행을 하려면 여권에 도장을 받듯이 K콘텐츠가 해외에 유통되기 위해서는 현지화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이다. 현지 언어로 된 자막을 따로 만들거나 PPL이나 음악 등 저작권에 민감한 요소도 자체 검수 절차를 거친다. 제작업계 용어인 ‘후반작업(실제 촬영이 모두 끝난 뒤에 이루어지는 생산 작업을 통틀어 뜻하는 말)’을 여권 도장 찍는 일에 비유한 것이다.


뉴 아이디는 NEW의 자체 콘텐츠뿐만 아니라 CP(콘텐츠제공사업자)와 PP(방송채널사업자)로부터 콘텐츠를 수급한다. K팝에선 YG와 SM 등의 파트너가 있으며 북미에서 인기인 ‘아기상어’의 더핑크퐁컴퍼니도 뉴 아이디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이렇게 모은 콘텐츠를 각 플랫폼의 규격에 맞게 수정작업을 한다. 일종의 가교 역할을 하는 것이다. FAST 채널 운영을 통해 얻은 광고 수익을 콘텐츠 파트너와 나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한 ‘환상의 듀오’
[K체인저스]⑭전세계 안방에 K콘텐츠 전파하는 뉴 아이디 뉴 아이디의 주요 운영 채널(사진제공=뉴 아이디)

FAST 사업은 아직 국내에선 걸음마 단계다. 뉴 아이디가 문을 연 2019년에도 국내에서 참고할 만한 사례도, 해외 플랫폼과의 네트워크도 없다시피했다. 뉴 아이디 공동 창업자인 박준경 대표와 김조한 이사는 세계 최대 방송장비박람회 ‘NAB SHOW’ 출장을 통해 FAST 사업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시장에 뛰어들었다. 당시 현장 관계자들이 “한국 사람을 처음 본다”고 할 정도로 FAST 사업에서 한국은 ‘비주류 국가’였다.


박 대표는 NEW의 영화 사업 부문 대표 등을 지낸 마케팅 전문가이며 김 이사는 SK브로드밴드와 LG전자 등을 거쳤던 플랫폼 전문가다. 각각 콘텐츠와 플랫폼을 잘 이해하고 있는 이들이 의기투합했다. 이후 ‘맨땅에 헤딩’을 해가며 사업을 확장했다. 국내 콘텐츠 사업자를 섭외하는 한편 해외 플랫폼 사업 담당자와 여러 차례 메일을 주고받으며 계약을 끌어냈다. 대면이 어려운 코로나 시기였기 때문에 비즈니스 미팅은 주로 ‘줌’을 통한 화상회의로 했다.


뉴 아이디는 2020년 미국 1위 케이블 사업자 컴캐스트 계열 ‘주모(XUMO)’에 처음 K팝 채널을 오픈한 것을 시작으로 삼성TV플러스, LG채널, 아마존 프리비, 로쿠, 파라마운트 글로벌의 플루토TV, 폭스의 투비 등 전세계 주요 FAST 플랫폼과 잇따라 계약을 체결했다. 이제는 FAST 시장에서 주목받는 사업자다. 미국 영화 전문매체 ‘버라이어티’는 백서를 통해 ‘FAST 사업을 알고 싶다면 알고 있어야 하는 사업자’ 50개를 꼽았는데, 그중에 한국 사업자는 뉴 아이디와 삼성TV플러스 단 둘뿐이었다.

올해는 양질전환의 해로 만들 것

양적인 성장을 이룬 뉴 아이디는 올해를 질적인 성장의 해로 삼고 있다. 지난해 한국투자파트너스, IBK투자증권 등으로부터 유치한 130억원 규모의 투자금을 기반으로 내실을 다질 예정이다. 콘텐츠 스트리밍, AI(인공지능) 미디어 솔루션, 시청 빅데이터 활용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마중물이다.


하반기에는 자체 FAST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이다. 플랫폼에 채널을 공급하는 역할에 그치지 않고 독자적인 유통망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오롯이 K콘텐츠만을 위한 플랫폼으로 꾸릴 예정이다. 이런 행보는 콘텐츠의 수명과 유통기한을 늘리겠다는 뉴 아이디의 기업 철학과 맞닿아있다. 콘텐츠의 유통망이 다양해질수록 좋은 콘텐츠가 더 오랫동안 더 많은 사람에게 사랑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AD

박준경 뉴 아이디 대표는 “지금까지 양적인 성장을 해왔다면 앞으로는 북남미,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 시청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콘텐츠 수요 기반의 질적인 성장을 추구할 것”이라고 했다.




오유교 기자 562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3.3008:01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지난 28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1시간 동안 출연했다. 인터뷰 전문과 영상은 2일 오전 9시 공개될 예정이다. 이 전 총리는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는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5개 재판 중 가장 간명했던 것이 공직선거법 관련 재판이다. 5개 재판 중 죄질로 보면 가장 가볍다. 그것 하나 고등법원 판단이 나왔다고 사법 리스크가 끝났다는 것은 이재명 대표나

  • 25.03.3007:00
    美 고위급 관리들 무더기 그린란드행…합병우려하는 주민들
    美 고위급 관리들 무더기 그린란드행…합병우려하는 주민들

    트럼프 대통령이 그린란드를 미국에 편입시키겠다고 공언한 가운데, 미국 고위 관료들의 잇따른 그린란드 방문이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인 트럼프 주니어의 방문 이후에도 미국 고위 인사들의 방문이 계속되고 있다. 방문단에는 JD 밴스 부통령과 아내 우샤 벤스, 마이크 월츠 국가안보보좌관,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 장관 등 고위급 인사들이 포함됐다. 이들의 방문 명분은 그린란드 내 미군 시설인 피투

  • 25.03.2907:00
    단톡방 배달사고로 뚫린 美 안보…'시그널게이트' 논란
    단톡방 배달사고로 뚫린 美 안보…'시그널게이트' 논란

    미국 정부가 민감한 외교·안보 정보가 담긴 고위 관료들의 메신저 대화방에 언론인을 실수로 초대하면서 군사 기밀이 유출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미국에서는 해당 메신저 이름인 시그널(Signal)을 본따 '시그널게이트'로 부르며 큰 파장이 일고 있다.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미국 고위 외교·안보 관료들의 비밀 대화방에 실수로 미국 시사지 '애틀랜틱'의 제프리 골드버그 편집장을 초대했다. 원래는 이름이 비슷한

  • 25.03.2616:50
    김경진 전 의원 "여야 대타협, 개헌해야"
    김경진 전 의원 "여야 대타협, 개헌해야"

    김경진 전 국민의힘 의원이 26일 오전 9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최근 <AI 패권전쟁>(인문공간)을 발간하는 등 'AI 홍보맨'을 자처하는 김 전 의원은 각종 방송에 활발히 출연하며 정치 패널로도 활약하고 있다. 그에게 AI에 대한 인식 변화와 정책적인 대전환을 주장하는 이유,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선고가 늦어지는 까닭 등에 대해 물었다. <AI 패권 전쟁> 내용은 무엇

  • 25.03.2508:59
    "머스크보다 코인 많은 북한"…김숙희·안다리엘 등 해킹으로 3조 탈취
    "머스크보다 코인 많은 북한"…김숙희·안다리엘 등 해킹으로 3조 탈취

    북한이 보유한 비트코인의 양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보다 많은 것으로 드러나면서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고 있다. 가상화폐 전문업체인 아캄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북한 해커 집단 라자루스가 보유 중인 비트코인은 1만3441개로 집계됐다. 이는 테슬라가 보유한 1만1509개보다 약 2000개 이상 많은 수치다. 이를 현재 시세로 환산하면 11억4000만달러(약 1조7000억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그동안 머스크 CEO가 세

  • 25.03.2507:00
    조성환 ISO 회장 "현대차 DNA는 목표 지향적 추진력"
    조성환 ISO 회장 "현대차 DNA는 목표 지향적 추진력"

    편집자주는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3위로 올라설 수 있었던 혁신 비결을 정리한 콘텐츠입니다. 예로부터 자동차 산업을 주도한 국가가 글로벌 경제의 패권을 장악했습니다. 제조업의 꽃인 자동차 산업은 기술 발전과 수출, 고용의 측면에서 전방위적인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과거 현대차가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였다면 이제는 산업을 이끄는 선두 주자(first mover)로 부상했습니다. 글로벌 취재

  • 25.03.1807:00
    '품생품사' 정몽구의 품질 경영…현대차, 글로벌 1위 '안전한 車' 초석
    '품생품사' 정몽구의 품질 경영…현대차, 글로벌 1위 '안전한 車' 초석

    편집자주는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3위로 올라설 수 있었던 혁신 비결을 정리한 콘텐츠입니다. 예로부터 자동차 산업을 주도한 국가가 글로벌 경제의 패권을 장악했습니다. 제조업의 꽃인 자동차 산업은 기술 발전과 수출, 고용의 측면에서 전방위적인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과거 현대차가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였다면 이제는 산업을 이끄는 선두 주자(first mover)로 부상했습니다. 글로벌 취재

  • 25.03.0108:00
    "美 수출 26만 3610대의 신화"…정주영이 허락한 1년, 역사를 바꾼 차 '포니'
    "美 수출 26만 3610대의 신화"…정주영이 허락한 1년, 역사를 바꾼 차 '포니'

    편집자주는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3위로 올라설 수 있었던 혁신 비결을 정리한 콘텐츠입니다. 예로부터 자동차 산업을 주도한 국가가 글로벌 경제의 패권을 장악했습니다. 제조업의 꽃인 자동차 산업은 기술 발전과 수출, 고용의 측면에서 전방위적인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과거 현대차가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였다면 이제는 산업을 이끄는 선두 주자(first mover)로 부상했습니다. 글로벌 취재

  • 25.02.2308:00
    한전 부지 인수, 그 후 10년…현대차 거버넌스 진단
    한전 부지 인수, 그 후 10년…현대차 거버넌스 진단

    2014년 현대차그룹은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 본사 부지 입찰의 최종 낙찰자로 선정됐다. 낙찰 가격은 무려 10조5500억원. 부지 감정가격의 3배에 달하는 그야말로 ‘통 큰 투자’였다. 현대차그룹은 이곳에 정몽구 명예회장의 숙원 사업인 통합 그룹 사옥을 건설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동시에 삼성동 일대를 대한민국 랜드마크로 개발하고 스마트 시티를 표방하는 혁신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하지만 시장의 반응

  • 25.02.1815:09
    역대급 실적인데…현대차 주식 저평가 왜
    역대급 실적인데…현대차 주식 저평가 왜

    편집자주는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3위로 올라설 수 있었던 혁신 비결을 정리한 콘텐츠입니다. 예로부터 자동차 산업을 주도한 국가가 글로벌 경제의 패권을 장악했습니다. 제조업의 꽃인 자동차 산업은 기술 발전과 수출, 고용의 측면에서 전방위적인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과거 현대차가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였다면 이제는 산업을 이끄는 선두 주자(first mover)로 부상했습니다. 글로벌 취재

  • 25.03.3008:01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지난 28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1시간 동안 출연했다. 인터뷰 전문과 영상은 2일 오전 9시 공개될 예정이다. 이 전 총리는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는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5개 재판 중 가장 간명했던 것이 공직선거법 관련 재판이다. 5개 재판 중 죄질로 보면 가장 가볍다. 그것 하나 고등법원 판단이 나왔다고 사법 리스크가 끝났다는 것은 이재명 대표나

  • 25.03.3007:00
    美 고위급 관리들 무더기 그린란드행…합병우려하는 주민들
    美 고위급 관리들 무더기 그린란드행…합병우려하는 주민들

    트럼프 대통령이 그린란드를 미국에 편입시키겠다고 공언한 가운데, 미국 고위 관료들의 잇따른 그린란드 방문이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인 트럼프 주니어의 방문 이후에도 미국 고위 인사들의 방문이 계속되고 있다. 방문단에는 JD 밴스 부통령과 아내 우샤 벤스, 마이크 월츠 국가안보보좌관,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 장관 등 고위급 인사들이 포함됐다. 이들의 방문 명분은 그린란드 내 미군 시설인 피투

  • 25.03.2907:00
    단톡방 배달사고로 뚫린 美 안보…'시그널게이트' 논란
    단톡방 배달사고로 뚫린 美 안보…'시그널게이트' 논란

    미국 정부가 민감한 외교·안보 정보가 담긴 고위 관료들의 메신저 대화방에 언론인을 실수로 초대하면서 군사 기밀이 유출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미국에서는 해당 메신저 이름인 시그널(Signal)을 본따 '시그널게이트'로 부르며 큰 파장이 일고 있다.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미국 고위 외교·안보 관료들의 비밀 대화방에 실수로 미국 시사지 '애틀랜틱'의 제프리 골드버그 편집장을 초대했다. 원래는 이름이 비슷한

  • 25.03.2616:50
    김경진 전 의원 "여야 대타협, 개헌해야"
    김경진 전 의원 "여야 대타협, 개헌해야"

    김경진 전 국민의힘 의원이 26일 오전 9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최근 <AI 패권전쟁>(인문공간)을 발간하는 등 'AI 홍보맨'을 자처하는 김 전 의원은 각종 방송에 활발히 출연하며 정치 패널로도 활약하고 있다. 그에게 AI에 대한 인식 변화와 정책적인 대전환을 주장하는 이유,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선고가 늦어지는 까닭 등에 대해 물었다. <AI 패권 전쟁> 내용은 무엇

  • 25.03.2508:59
    "머스크보다 코인 많은 북한"…김숙희·안다리엘 등 해킹으로 3조 탈취
    "머스크보다 코인 많은 북한"…김숙희·안다리엘 등 해킹으로 3조 탈취

    북한이 보유한 비트코인의 양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보다 많은 것으로 드러나면서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고 있다. 가상화폐 전문업체인 아캄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북한 해커 집단 라자루스가 보유 중인 비트코인은 1만3441개로 집계됐다. 이는 테슬라가 보유한 1만1509개보다 약 2000개 이상 많은 수치다. 이를 현재 시세로 환산하면 11억4000만달러(약 1조7000억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그동안 머스크 CEO가 세

  • 25.03.2507:00
    조성환 ISO 회장 "현대차 DNA는 목표 지향적 추진력"
    조성환 ISO 회장 "현대차 DNA는 목표 지향적 추진력"

    편집자주는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3위로 올라설 수 있었던 혁신 비결을 정리한 콘텐츠입니다. 예로부터 자동차 산업을 주도한 국가가 글로벌 경제의 패권을 장악했습니다. 제조업의 꽃인 자동차 산업은 기술 발전과 수출, 고용의 측면에서 전방위적인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과거 현대차가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였다면 이제는 산업을 이끄는 선두 주자(first mover)로 부상했습니다. 글로벌 취재

  • 25.03.1807:00
    '품생품사' 정몽구의 품질 경영…현대차, 글로벌 1위 '안전한 車' 초석
    '품생품사' 정몽구의 품질 경영…현대차, 글로벌 1위 '안전한 車' 초석

    편집자주는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3위로 올라설 수 있었던 혁신 비결을 정리한 콘텐츠입니다. 예로부터 자동차 산업을 주도한 국가가 글로벌 경제의 패권을 장악했습니다. 제조업의 꽃인 자동차 산업은 기술 발전과 수출, 고용의 측면에서 전방위적인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과거 현대차가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였다면 이제는 산업을 이끄는 선두 주자(first mover)로 부상했습니다. 글로벌 취재

  • 25.03.0108:00
    "美 수출 26만 3610대의 신화"…정주영이 허락한 1년, 역사를 바꾼 차 '포니'
    "美 수출 26만 3610대의 신화"…정주영이 허락한 1년, 역사를 바꾼 차 '포니'

    편집자주는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3위로 올라설 수 있었던 혁신 비결을 정리한 콘텐츠입니다. 예로부터 자동차 산업을 주도한 국가가 글로벌 경제의 패권을 장악했습니다. 제조업의 꽃인 자동차 산업은 기술 발전과 수출, 고용의 측면에서 전방위적인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과거 현대차가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였다면 이제는 산업을 이끄는 선두 주자(first mover)로 부상했습니다. 글로벌 취재

  • 25.02.2308:00
    한전 부지 인수, 그 후 10년…현대차 거버넌스 진단
    한전 부지 인수, 그 후 10년…현대차 거버넌스 진단

    2014년 현대차그룹은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 본사 부지 입찰의 최종 낙찰자로 선정됐다. 낙찰 가격은 무려 10조5500억원. 부지 감정가격의 3배에 달하는 그야말로 ‘통 큰 투자’였다. 현대차그룹은 이곳에 정몽구 명예회장의 숙원 사업인 통합 그룹 사옥을 건설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동시에 삼성동 일대를 대한민국 랜드마크로 개발하고 스마트 시티를 표방하는 혁신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하지만 시장의 반응

  • 25.02.1815:09
    역대급 실적인데…현대차 주식 저평가 왜
    역대급 실적인데…현대차 주식 저평가 왜

    편집자주는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3위로 올라설 수 있었던 혁신 비결을 정리한 콘텐츠입니다. 예로부터 자동차 산업을 주도한 국가가 글로벌 경제의 패권을 장악했습니다. 제조업의 꽃인 자동차 산업은 기술 발전과 수출, 고용의 측면에서 전방위적인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과거 현대차가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였다면 이제는 산업을 이끄는 선두 주자(first mover)로 부상했습니다. 글로벌 취재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