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내각부 전문가 검토회 추정치
'규모9' 난카이 대지진 발생 가정
피난민 1230만명·2900조원 피해
일본에서 향후 30년 이내 발생 확률이 80% 정도로 예상되는 난카이 해곡 대지진이 현실화하면 인명 피해가 30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치가 새로 제시됐다.
교도통신과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31일 일본 내각부 전문가 검토회는 난카이 해곡에서 규모 9.0의 강진이 발생한다고 가정했을 때, 29만8000명이 사망하고 피난민은 1230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피해 추정치를 발표했다.
난카이 해곡은 수도권 서쪽인 시즈오카현 앞바다에서 시코쿠 남부, 규슈 동부 해역까지 이어진 바닷속 깊은 골짜기를 말한다. 이 지역에서는 100∼150년 주기로 대형 지진이 발생했는데, 가장 최근에는 발생한 대지진은 1946년이었다. 이후 80여년이 흐르고, 최근 난카이 해곡에서 잇따라 지진이 발생하면서 다시 대지진의 공포가 커지고 있다.
내각부 전문가 검토회가 이번에 발표한 예상 피해 규모는 규슈 미야자키현 앞 해역인 휴가나다에서 규모 9.0 강진이 발생했을 때 쓰나미 높이와 침수 면적 등을 계산해 추정한 결과다.
검토회는 오키나와현에서 후쿠시마현에 걸쳐 넓은 면적에 높이 3m 이상의 쓰나미가 도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고치현 일부 지역에는 최고 약 34m의 쓰나미가 덮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이로 인해 높이 30㎝ 이상 침수되는 지역만 약 1151㎢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아울러 사망자 중 21만5000명은 쓰나미에 의해 희생될 것으로 예상됐다. 사망 추정자 수를 지역별로 보면 시즈오카현이 10만1000명으로 가장 많고, 미야자키현 3만3000명, 미에현 2만9000명으로 제시됐다.
이재민은 1230만명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는데, 이는 전체 인구의 10%에 해당하는 수치다.
경제 피해 규모는 건물 235만채가 완파되는 것을 비롯해 직접 피해만 최대 225조엔(약 2223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경제활동 저하와 인프라 기능 중단 등까지 따지면 292조3000억엔(약 2889조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지난해 약 609조엔인 일본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절반에 가까운 수준이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일본 정부 지진 조사위원회는 지난 1월 향후 30년 이내에 규모 8∼9의 난카이 대지진이 발생할 확률을 '80% 정도'로 제시한 바 있다. 일본 정부는 이번에 새로 나온 추정치를 기초로 기존의 난카이 해곡 대지진 방재 기본 계획을 수정할 방침이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