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특허청이 ‘2021년 공공기관 보유특허 진단지원 사업’을 시행한다. 이 사업은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특허를 분석·진단, 기관별로 맞춤형 특허관리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3일 특허청에 따르면 대학과 공공연은 연구실적과 성과평가를 위해 등록특허를 장기간 보유하는 경향 때문에 특허활용률이 저조(2019년 기준 25.8%)하고 특허유지 부담은 크다.
이에 특허청은 한국특허전략개발원의 특허 전문가와 특허분석기관을 전담팀으로 구성해 대학·공공연의 전략적 특허 관리를 지원하는 ‘공공기관 보유특허 진단지원 사업’을 시행한다.
앞서 특허청은 2016년~2019년 이 사업으로 55개 기관에 유망특허 활용전략을 제시함으로써 1284건의 특허가 기술 이전돼 213억원의 기술료 수입을 창출했다. 또 특허처분전략으로 2844건의 특허 권리유지를 포기시켜 119억원의 특허비용 절감효과를 가져왔다.
올해는 15개 대학·공공연을 대상으로 맞춤형 특허 관리전략을 지원하고 온라인상에서 보유특허를 스스로 진단할 수 있는 보유특허 자가진단 시스템을 하반기부터 무상으로 서비스 할 계획이다.
특허청의 ‘공공기관 보유특허 진단 지원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은 이달 23일까지 한국특허전략개발원에 신청하면 된다.
지금 뜨는 뉴스
기타 자세한 내용은 특허청 홈페이지 및 한국특허전략개발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