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베이징=김혜원 특파원] 중국이 미국산 대두와 자동차, 화공품 등 14개 분야, 106개 품목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 1300개 품목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힌 당일 즉각적으로 보복 칼날을 빼든 것이다.
4일(현지시간) 중국중앙(CC)TV와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이날 미국산 대두와 자동차, 화공품 등 14개 분야, 106개 품목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이 지정한 106개 품목에는 대두와 자동차 외에도 항공기가 포함됐다고 보도했다.
중국 상무부가 발표한 관세 부과 품목 명단에는 대두(황대두, 흑대두) 외에도 옥수수, 옥수수 분말, 수수, 미가공 면화, 신선 소고기, 냉동 소고기, 담배 등 농산품이 대거 포함됐다.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수입하는 국가로, 대두의 경우 전체 생산량의 3분의1을 수입한다. 중국은 지난해 미국산 대두 3200여t을 수입했으며 금액으로는 140억달러(약 14조8750억원)에 달한다.
자동차는 지난해 미국으로부터 100억달러(약 11조원)를 수입해 캐나다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항공기는 지난해 보잉의 전 세계 항공기 인도 물량의 26%(202대)를 중국이 인도했으며 보잉은 향후 20년 동안 7240대, 1조1000억달러(약 1200조원)의 항공기를 중국에 판매할 예정이다.
관세세칙위원회는 이번 조치의 시행 시기에 대해서는 "미국 정부의 중국산 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 상황에 따라 추후에 공표하겠다"고 전했다. 미국과의 협상 의사가 남아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중국 정부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폭탄에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방식의 맞대응 보복을 거듭 강조하면서도 대화의 여지를 남겨뒀다는 뜻을 밝혔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이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의 기회를 또다시 놓쳤다"면서 "보호무역주의는 반드시 쓴맛을 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금 뜨는 뉴스
겅 대변인은 "대화와 담판의 대문은 언제나 열려 있으며 중·미는 소통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대화와 협상을 통한 무역 갈등 해결에서 중국은 충분히 성의를 보였고 많은 일을 했지만 미국이 또다시 절호의 기회를 놓쳤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은 이성을 가지고 조속히 일방주의와 보호무역주의를 지양해야 하며 양측의 대화와 협상은 국제법을 준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화통신은 이날 '남을 해치면 결국 자신을 해치게 된다'라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비판 대열에 합류했다. 신화통신은 "미국의 조치는 자신에게도 백해무익한 일방주의적 행위"라며 "결국에는 반드시 자신을 해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국내법에 근거해 301조 조사를 진행하는 것은 매우 공정하지 않고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라며 "이는 세계무역기구(WTO) 원칙과 정신을 위반함과 동시에 세계 자유무역 체제에 대한 엄중한 도전이자 훼손"이라고 강조했다.
베이징 김혜원 특파원 kimhy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