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 해외직구시장 44조 규모…무역장벽에도 연평균 83% 급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최근 중국 정부가 한국산 제품의 수입을 불허하는 등 무역장벽 조치가 잇따르는 가운데서도 우리나라 제품에 대한 해외 직접구매는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산업연구원의 '중국의 해외직접구매 정책 변화와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해외직접구매 규모는 2015년 기준 2590억위안(약 44조원)으로 최근 3년간 평균 83% 늘었다.

2013년 770억 위안에서 2014년 1550억 위안으로 100% 이상 증가했고, 2015년에도 전년대비 67%의 높은 증가세를 지속했다.


중국의 해외직구족이 선호하는 나라는 미국(48.0%), 일본(45.3%)에 이어 한국(37.8%) 순으로 파악됐다. 이에 힘입어 우리나라 전체 전자상거래 B2C(기업과 소비자 간 상거래)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46.9%에서 2015년 68.7%로 늘었다.

보고서는 "중국 소비자들도 해외직접구매 시 미국과 일본 다음으로 한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중국은 우리 기업의 B2C 수출에서 더욱 중요한 시장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정부는 해외 직구에 대한 혜택이 중국 내 제조·무역업체에 상대적으로 불리하게 적용된다는 지적에 따라 지난해 3월 24일 해외 직구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내용의 세제 개편을 공표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년 2분기와 3분기 대(對) 중국 전자상거래 B2C 수출액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102%와 152% 늘어 세제 개편에도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품목별로 보면 지난해 2∼3분기 음식료는 27.6% 줄었지만, 화장품은 167%, 의류는 47.3% 증가했다.


산업연구원 측은 "최근 한한령(限韓令·한류 금지령) 등으로 대중국 수출에 어려움이 있지만, 해외 직송 방식의 수출은 면세 혜택을 누리려는 중국 소비자에게 여전히 매력적인 선택지"라면서 "중국의 직구족은 배송비용 및 기간과 제품의 품질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물류시스템을 개선하고 중국 정부의 각종 인증을 획득하면 중국의 직구족 수요를 더욱 늘릴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