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경기침체·부동산 규제 탓
인구이동 이유 42.9%는 '주택'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지난해 거주지를 옮긴 인구가 1979년 이후 36년 만에 가장 적었다.
이동이 많은 2030세대가 줄어드는 고령화 여파 속에서 경기마저 침체되면서 거주지를 선뜻 옮기지 못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보면 지난해 이동자수는 737만8000명으로 전년 대비 4.9% 감소했다.
연간 이동자수가 730만명대 아래로 내려간 것은 1979년 7312만4000명을 기록한 이후 처음이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수 비율인 인구이동률도 지난해보다 0.8%포인트 내린 14.4%를 기록, 1973년(14.3%) 이후 최저치로 내렸다. 시도내 이동률은 9.6%, 시도간 이동률은 4.8%로 전년대비 각각 0.6%포인트, 0.2%포인트 줄었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이동성향이 높은 20,30대 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며 경제성장률 둔화와 교통통신 발달로 개인 이동이 줄었다"며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강화로 주택거래가 감소하고 공공이관 지방이전도 완료되고 세종시 이동도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이 과장은 "인구 이동이 활발하다는 것은 경기가 호황인 상황"이라며 "타지역 이동은 리스크 동반하기 때문에 경기에 영향을 받게 되고 또 직업에 의한 이동이 늘어나는 경우도 경기 호황일때 많이 발생한다"고 덧붙였다.
연령별 이동률은 20대와 30대에서 가장 높고 70대가 가장 낮았지만, 전 연령층에서 이동률이 지난해보다 줄었다. 성별 이동률은 남자 14.7%, 여자 14.2%로 남자가 여자보다 0.5%포인트 높았다.
전출자보다 전입자가 많아 순유입을 보인 시도는 세종(13.2%), 제주(2.3%), 경기(1.1%) 등 8개 시도이며, 전입자보다 전출자가 많은 순유출 시도는 서울(-1.4%), 대전(-0.7%), 울산(-0.7%) 등 9개 시도였다.
서울 전출자의 62.4%는 경기로 이동했으며, 세종 전입자의 34.8%는 대전에서 들어왔다. 서울과 인천, 강원, 충북, 충남, 전북 6개 시도의 전입·전출 1순위 지역은 모두 경기였다.
인구이동 사유는 주택이 42.9%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가족(23.6%), 직업(21.0%) 순으로 나타났다.
시도내 이동사유는 주택(51.9%)이 가장 많은 반면, 시도간 이동사유는 직업(33.3%)이 가장 많았다.
순유입률이 높은 세종, 제주, 충남의 주된 사유는 직업이었으며, 경기는 주택이었다. 반대로 순유출률이 높은 서울, 대전의 주된 사유는 주택이며, 부산은 직업이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은 순유출 1000명으로 전년대비 순유출 3만2000명 감소해 2013년 이후 순유출이 가장 적었다.
중부권은 순유입 4만1000명으로 4대 권역 중 유일한 순유입 권역이었다.
호남권과 영남권은 순유출 1만6000명, 4만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순유출 2배 수준이었다.
전국 228개 시군구 가운데 93개 시군구는 순유입, 135개는 순유출을 보였다.
순유입률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 하남시(23.3%), 부산 강서구(13.0%), 대구 달성군(11.8%) 순이었으며, 순유출률이 높은 곳은 경기 과천시(-8.5%), 전남 장흥군(-6.0%), 서울 강동구(-3.7%) 순이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