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수능 시험 앞으로 한달…최종 마무리는 어떻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8초

30일간의 계획 실천하며 불안감 극복
가장 많이 공부한 익숙한 교재로 마무리


수능 시험 앞으로 한달…최종 마무리는 어떻게?
AD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다음달 17일 치러지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남은 한 달만 잘 관리해도 실질적인 점수 상승을 꾀할 수 있기에 수험생들은 마지막까지 단 1점이라도 더 올리겠다는 각오로 수능 총력을 기울여야 할 때다. 이제부터는 누가 끝까지 집중력 있게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느냐도 관건이다.


막판 수능성적 향상을 위한 실전 지침들을 안내한다.

◆EBS 연계문제·공부했던 책 위주로= 지난 6월과 9월 모의평가에 나온 EBS 연계문제와 출제경향을 잘 분석하고 물음 구조, 출제 의도 등을 세세히 파악하면서 수능 문제 유형에 익숙해져야 한다.


국어와 영어영역의 경우 EBS 교재의 문제 자체를 학습하기보다는 지문과 제재를 꼼꼼히 분석하는 학습을 해야 한다. 수학영역의 경우는 개념과 원리에 충실한 학습이 제일 중요해져 EBS 연계문항은 물론 고배점 고난도 문항까지 해결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이다. 이와 함께 영역별 출제의 방향성, 특징적인 변화의 흐름 등을 잘 살펴서 마무리 학습을 해야 한다.


점수 상승의 가장 큰 원동력은 바로 취약 단원 정복이다. 이제는 부족한 부분을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공략해야 한다. 남은 기간 동안 가장 많이 봤던 익숙한 책으로 취약 단원의 기본개념을 다지는 것이 중요하다.


모의평가 문제 중 틀린 문제나 헷갈리는 문제는 기본개념부터 풀이방법까지 샅샅이 훑어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마무리 시기라고 해서 문제 풀이에만 매달리기보다는 핵심 개념 중심으로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문제만 많이 푸는 습관은 무조건 버리는 대신 한 문제를 풀더라도 문제를 정확히 읽고 출제의도를 파악하는 전략적인 학습에 집중해야 한다.


◆지원대학의 수능반영 영역 집중공략= 수능이 다가올수록 심리적인 압박감과 초조함으로 불안해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남은 기간 자신의 학습 패턴에 따라 매일매일 할 것들을 정리해 30일짜리 계획표를 만들어 시간 관리를 하자.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다 보면 수험생들의 불안감 극복에도 도움이 된다.


수시모집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 미달로 불합격하는 사례가 많은 만큼 자신이 지원한 대학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성적 향상 가능성이 높은 과목을 마지막까지 손에서 놓지 말아야 한다. 또 정시모집의 경우 대학별로 수능 영역별 반영 비율이 다르므로 가중치를 고려해 중점적으로 학습해야 한다.


주요 대학 인문계열의 경우 국어, 수학, 영어영역을 동일한 비율로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상위권 대학 자연계열은 수학과 영어영역의 반영 비율이 높거나 고려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연세대, 한양대 등과 같이 수학과 과학탐구영역에 가중치를 부여하기도 한다.


서울대는 수학영역, 서강대는 수학과 영어영역처럼 특정 영역에만 가중치를 부여하는 대학도 있다. 즉, 대부분 수학에 가중치를 두면서 일부는 탐구영역, 일부는 영어영역에 가중치를 두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중위권 이하 대학의 경우에는 인문계열은 국어와 영어영역, 자연계열은 수학과 영어영역에 가중치를 두는 곳이 대부분이므로 이들 영역 학습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최근 수능의 문제 출제 경향을 보면 모든 영역을 막론하고 시사성 있는 문제가 출제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영역별로 관련 이슈에 관심을 두는 한편, 시사적 소재에 대해 간단한 개념과 의미를 알아두고 나름의 생각을 정리해 둔다면 수능 뿐 아니라 대학별 고사를 대비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주변 상황에 흔들리지 않는 '평정심'…실전훈련에 집중= 수능까지 남은 기간에는 실제 수능 시험을 본다고 가정하고 문제풀이에 걸리는 시간을 꼼꼼히 체크해 정해진 시간 내에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연습해야 한다. 이 때 자신이 어느 부분에서 시간이 부족한지 체크하고 보완하는 것이 좋다.


일주일에 적어도 한 번은 실제 수능처럼 시간을 정해 전 과목 모의고사 문제를 순서대로 풀어보는 연습도 필요하다. 국어 80분, 수학 100분, 영어 70분, 한국사 30분, 탐구 60분 등 영역별로 주어진 시간 내에서 문제를 풀고 OMR 작성까지 완벽하게 마친다.


또 연습을 할 때에도 모르는 문제는 과감하게 넘기고 쉬운 문제부터 푸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이러한 실전 연습을 통해 실제 수능에서 어려운 문제가 나왔을 때 여분의 시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긴장감을 체험할 수 있는 여러 번의 실전 훈련을 통해 수능시험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다.


수능시험이 임박한 시점에 친구의 성적 향상 여부, 수시 합격 여부 등을 비교하고 있다면 이러한 행동들이 시험에 대한 불안감을 높이고 공부 의욕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시험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서 스스로가 이겨내야 할 대상은 바로 옆의 친구가 아니라 시험이 얼마 남지 않은 현재의 상황이다. 평정심을 갖고 현재의 상황을 차분히 받아들이되 어떻게 대처하는가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


수업, 자율학습, 학습장소, 식사 패턴 등 일상 생활에 갑작스러운 변화를 주지는 말아야 한다. 막판 일부 수험생들이 불안한 마음에 공부에 집중이 잘 되지 않는다며 학습장소 등에 변화를 주려 하지만 갑작스러운 변화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만큼 시간 낭비가 될 수 있다.


(도움말: 남윤곤 메가스터디 입시전략연구소장, 이종서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