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뉴스의눈]잡스는 어떻게 '불멸의 아이콘'이 되었나

시계아이콘02분 26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산업사회 인류에게 나타난 가장 창의적인 혁신가, 5년전 오늘 타계

[아시아경제 이상국 기자]어쩌다 보니 스티브 잡스에게 구도자의 이미지가 덧씌워져 있긴 하지만, 그는 인간의 한 측면을 강하고 풍부하게 가진 사람이 아닐까 싶다. 그 측면은, 산업사회 인류에게 상당한 충격을 준, '낯선 무엇'이었다. 자본주의 기업의 탐욕스럽고 전투적인 생리를 그는 꿰뚫고 있었지만, 전장(戰場)이 거기에 있지 않음을 알았다. 소비자의 마음과 눈길이 향하는 곳, 그곳에 캠프를 차렸다. 많은 반대와 회의적 의견들이 있었지만 결국 그는 거기로 갔고 불가능해보이던 것들을 실천하고 이뤄냈다.


[뉴스의눈]잡스는 어떻게 '불멸의 아이콘'이 되었나 아시아경제, 잡스 타계일(2011.10.5)의 1면 지면.
AD


잡스가 죽던 날 아시아경제는 1면 전면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지면에 그의 확신에 찬 미소 사진을 실었고 헤드라인을 '불멸'이라고 달았다. 사람의 죽음 앞에서 불멸을 말한 것은 패러독스처럼 보이지만, 아무도 그것에 이의를 달지는 않았다. 그가 인류에게 남긴 것은 '창의'의 힘이었다. 그 창의는 인간의 원초적인 미감과 스타일과 편리함이 작고 단순하게 결집되어 거부할 수 없는 유혹을 발산하는 것이었다. 얇고 납작하며 모서리가 둥근 작은 물건은 이전의 많은 것을 한꺼번에 담아냈지만, 단순하며 직관적이며 새로웠다. 인류는 이 작은 물건 앞에서, '창의'가 무엇인지를 놀랍게 경험했다. 그 경험의 기억은 불멸이다. 헤드라인은 그것을 품고 있었다.


그날의 잡스 지면을 축소하여, 기자 책상의 머리맡에 붙여놓았다. 까칠한 수염을 기른 대머리 잡스가 나보다 50센티 정도 승천한 채 내려다보는 거기서, 늘 글을 쓰고 생각을 하고 잠을 잔다. 잡스처럼 되겠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잡스가 걸어간 창의의 독보(獨步)는 마음 속에서 늘 꿈틀거리며 전진을 명령한다. 나는 잡스처럼 기업을 하는 것도 아니고, 기계를 만드는 일을 하는 것도 아니다. 미래지향의 새로운 산업을 개척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이제 뉴욕타임즈도 두 손을 들고 있는, 신문 언론에서 나는 내 남은 머리와 가슴과 뱃심을 모아 새로운 장(章)을 펼칠 야심을 불태운다. 노을에 서서 지구의 시간을 거꾸로 돌리려는 만용을 의욕이라 할 순 없다. 하지만 이 땅의 미디어에도 잡스가 필요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신문을 뒤집어, 이탈하고 있던 독자의 마음 속으로 매혹적인 무엇이 되어 재진입하는 꿈을 꾼다. 그것이 무엇인지, 아무도 모를 것이다. 창의는 그것이 눈앞에 나타나는 순간에라야 갈채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잡스'라는 영화를 뒤늦게 보았다. 감독은 잡스를 비사회적인 기인(奇人)으로 묘사하고 있다. 동료들과 충돌하고 양보없이 고집을 부리며 자신의 것을 표절한 경쟁사에 대해 증오를 불태우는 다혈질적인 천재. 그런 일면이 있었지만, 그게 그를 대표하는 특징일까. 하나의 삶을 그려내는 스토리텔링이란, 한 인간에 대한 심각한 오독이거나 부실한 이해이기 쉽다는 것을 여기서도 본다. 영화를 보면 스티브 잡스가 자신의 회사 주차장에 차를 대는 장면이 두번쯤 나온다. 그런데 장애인용 주차 장소에 서슴없이 파킹한다. 주차장이 텅 비었는데도 굳이 장애인 공간에 차를 세우는 까닭은 뭘까? 스스로를 장애인이라 생각한 걸까?


이 장면은, 그의 일화에서 따온 것이다. 사장이었던 잡스는 애플사 주차장에 차를 세우러갔다가 빈 자리가 전혀 없어서 빙빙 돌다가 마침 비어있는 장애인용 주차칸을 발견하고는 거기에 주차하고 사무실로 올라간다. 주차 관리인이 나와서 사장의 차가 장애인용에 파킹되어 있는 것을 보고는, 이렇게 썼다. '다르게 주차하세요(Park Different).' 물론 이 구절은 잡스가 창안한 애플의 슬로건인 '다르게 생각하세요(Think Different)의 멋진 패러디였다. 하지만 이 일화는 잡스가 장애인 주차장에 차를 세우는 습관이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게 아니라, 세계 최고 기업의 CEO가 운전기사도 없이 출퇴근하며 그것도 지정주차장을 갖고 있지 않는, 그 특이한 점에 잡스스러운 데가 있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었다. 주차 관리원의 농담을 보라. 이건희회장의 차에다 그런 유머센스의 스티커를 붙여놓을 수 있는 배짱을 지닌 주차요원이 삼성에 있을까. 권위나 특권의 존재가 아니라 리더로서의 빼어난 역할자인 잡스. 하지만 영화는 그걸 담지는 못했다.


기존의 것을 되풀이하는 디자이너에게 '이 쓰레기를 날마다 만들어내면서 아직까지 여기 있는 이유는 뭔가'라고 묻던, 잡스의 삼엄한 질문은 내가 나에게 불쑥불쑥 묻는 말이다. 그는 자동차의 번호판을 달고 다니지 않았다. 차의 흰색과 번호판의 옅은 살색, 그리고 그 글자색이 전혀 어울리지 않아 그의 미감의 눈쌀을 찌푸리게 했다고 한다. 그런데 어떻게 번호판을 달지 않을 수 있었을까. 혹자는 잡스가 어떤 이유로 특권을 누렸을 거라는 짐작을 내놓고 있다. 그런데 현지에 살았던 어떤 사람이 이런 해답을 내놨다. "자동차를 6개월마다 새 차로 바꿔 등록하면 된다." 주 행정부에서는 신차에 대해 6개월간 번호판을 달지 않는 것을 허용하는 규정을 이용한 것이다. 이렇게 성가신 일을 감수하면서까지 스스로의 스타일을 고집하는 그 성격이, 애플의 제품들에 숨어들어가 있는 셈이다.


오늘 잡스가 눈 감은지(10.5) 5년째 되는 날이다. 국내에선 삼성의 라이벌로 기억되는 기업의 CEO였지만, 그를 기리는 것은 그의 마음 속에 불타고 있던 불멸의 창의와 선구적인 용기를 기리는 것이다. 고개를 들어 그 미소를 우러른다.






이상국 기자 isomi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