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굿모닝 증시]한국증시와 브렉시트

시계아이콘01분 5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 전날 코스피는 브렉시트(Brexit,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관련 불확실성 이어지며 하락 출발했다. 개인의 순매수 확대와 장 후반 연기금의 순매수 확대에 추가 낙폭 제한되며 1970선은 회복했으나 중국 A주의 MSCI(모건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 EM 편입 발표와 한국시간 16일 새벽 미국 FOMC 회의 결과 및 같은 날 BOJ 통화정책회의 결과 발표 등 주요 이벤트를 앞둔 경계감에 약세 흐름 지속하며 전일대비 0.36% 하락한 1972.03에 마감했다.


마찬가지로 코스닥은 브렉시트 우려뿐 아니라 국제유가도 약세 흐름을 지속하며 투자심리가 위축돼 하락 출발했다. 개인의 순매수 확대에 낙폭 일부 축소하긴 했으나 주 중 주요 이벤트에 대한 경계감에 반등폭은 제한되며 전일대비 0.38% 하락한 692.94에 장을 마쳤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당분간 글로벌 증시는 브렉시트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 조정 압력에 노출될 것이다. 한국 주식시장 역시 동일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증시 변동성이 확대될 뿐만 아니라 외국인 투자자금의 유출도 발생할 것이다.


이미 코스피200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VKOSPI는 연초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상승했다. 달러·파운드 환율의 옵션 변동성도 2008년 금융위기 수준까지 근접했다. 공포심리가 시장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추후 옵션 변동성이 30%를 상회해 공포심리가 절정으로 항해갈 것인지, 아니면 위축된 투자심리가 진정 국면에 진입할 것인지는 브렉시트 여부에 달려 있다.

남은 9일 동안 영국발 소식을 주의깊게 살필 필요가 있다. 23일 브렉시트 국민투표에서 영국이 EU 잔류를 선언한다면, 시장은 과거 불확실성 해소 국면에서 종종 확인된V자 형태의 반등을 보여줄 것이다. 이는 6월 조정을 뒤로하고 상승 추세로의 진입을다시 시도한다는 의미다.


물론 이러한 전망은 외국인 투자자금의 유입 여부에 달려 있다. 한국은 타국보다 투자매력도가 높기 때문에 외국인 자금을 끌어오는 어려움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브렉시트만 없다면 증시 분위기는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을 반영해 긍정적으로 전환될 것이다. 언제나 그랬듯이 우리 시장에서 외국인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는 상황이다.


◆안현국 신한금융투자=브렉시트 현실화 시 파운드화, 유럽 증시 등 금융시장의 단기 충격은 불가피하다. 중장기적으로 유럽연합 회원국들의 잇따른 탈퇴 가능성, 영국 내 해외 자금 유출 가속화, 무역 장벽에 따른 경제 침체 우려 등이 증시 악재로 오르내릴 가능성이 높다.


ECB(유럽중앙은행) 드라기 총재는 지난 2일 통화정책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브렉시트 투표와 관련해 "어떠한 결과에도 준비돼 있다" 라고 언급했다. 브렉시트 시 추가 부양책에 대한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발언이다. 브렉시트가 발생하면 각국의 부양노력으로 'V'자 반등을 기대할 수 있겠으나 저점 확인이 필요하다.


그동안 우리는 PBR(주가순자산비율) 1배 하회 시 적극적 주식 확대 전략을 주장해왔다. 브렉시트 현실화 때는 다르다. 금융시장 충격이 실물 경기 악화로 이어질 수 있고 무엇보다 여태 없었던 일이기에 충격의 크기를 가늠하기 쉽지 않다. PBR 1배(우선주 포함)를 적극적 매수의 기준선으로 보기 힘든 이유다.


적극적 매수의 기준선을 PBR 1배가 아닌 최근 두 번의 코스피 저점에서의 PBR로 하향한다. 지난해 8월 중국 경기 둔화 우려로 PBR은 한때 0.96배까지 하락한 바 있다. 올해 초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증시 조정 때도 저점은 0.96배였다. 이번 조정에서 주식 매수의 기준선은 PBR 0.96배인 1860이다.


영국이 유럽연합에 잔류하게 되면 전반적인 글로벌 위험 자산 선호 심리 회복으로 글로벌 증시의 강한 반등이 이어질 수 있다. 탈퇴 시에는 단기 충격이 불가피하다. 찬반 투표일 전까지 결과를 장담할 수 없기에 2000 이하에서는 분할 매수, 1860 하회 시 적극적 주식 비중 확대 전략이 적절하다. 어느 때보다 어려운 상황이지만 탈퇴가능성보다 잔류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위안이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