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나 오래된 '사랑 견제장치'의 고고학
질투라는 감정은 인간만 느낄 수 있는 것일까. 질투는 '짝'을 지키기 위한 본능적인 전술의 하나로 보는데, 동물에게도 이런 전략은 있다. 귀뚜라미 수컷은 원래 큰 소리로 울지만 암컷에게 다가갈 때는 다른 수컷이 눈치 채지 못하도록 소리를 낮춘다고 한다. 자신만이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서이다. 또 어떤 벌레는 교미를 하고 난 뒤에 암컷의 생식기 입구를 막아버린다. 다른 수컷의 정액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인간의 질투는 구석기시대의 감정이 거의 변형되지 않고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는 것이라고 진화심리학자들은 얘기한다. 구석기의 원시인들은 먹이를 구하고 짝짓기를 하고 자식을 기르는 문제를 해결하는 노하우를 신경회로망에 기록해 뇌 속에 새겨놓았다. 이분들이 직면했던 상황에 기초하여 만들어 놓은 사랑의 원리들을 현대인들이 지금도 실천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는 얘기다. 미국의 데이비드 버스는 1994년 '욕망의 진화'라는 책에서 6개 대륙 37개 문화권의 성 의식을 분석하고 남녀관계에서 발생하는 질투심에 대해 이렇게 진단을 해놓았다.
인류의 선조들은 남녀관계에 대한 외부의 위협에 대해 상대방이 긴장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된 '감정'을 개발했는데, 이것이 질투심이라는 것이다. 남녀 간에 질투를 느끼는 횟수나 강도에는 차이가 없다. 그러나 질투의 목적이나 내용은 조금 다르다고 한다. 남자들은 여자가 임신한 아이가 자신의 자식이 아닐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 질투한다. 즉 중복관계로 친자임을 확신할 수 없는 것을 두려워한다. 자기 자식이 아닌 존재에게 '투자'하는 것이 삶을 낭비하는 것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여자들은 남자들의 성적인 투자처가 바뀌는 상황 자체에 대해 질투한다. 자신의 삶의 안정감이 사라지고 기존에 낳은 자식을 부양할 수 있는 조건도 위협을 받기 때문이다.
버스는 2006년에 낸 '위험한 열정. 질투'라는 책에서 이 같은 감정의 차이를 이렇게 분석해 놓았다. 남자는 씨를 가능한 한 널리 뿌리려는 성적 전략을 지니고 있고, 여자는 좋은 씨를 제대로 받아 자식을 생산하려는 성적 전략을 지니고 있다. 특히 한번 임신을 하면 양육기간까지 포함해 몇 년을 투자해야 하기에 여성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관계를 중시한다. 이렇게 서로 다른 욕망과 성적 전략을 지닌 가운데 남녀가 서로 속고 속이며 발전시켜온 감정 체계가 바로 질투라는 것이다. 질투라는 심리적 도구를 이용해 상대방이 외도할 가능성을 줄여왔다.
최대한 많은 여성을 상대하려는 남자와 한 남성을 오래 붙잡아 두려는 여자 사이에서 각자의 목적에 맞게 견제하기 위해 질투를 활용한다. 질투는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상대방의 외도를 견제할 수 있는 힘을 발휘한다. 이 지혜야말로 수천 년 전 구석기 선배들이 개발하고 활용했던 '감정 장치'라는 것이다. 남녀 사이의 질투는, 변형된 사랑의 양상이기도 하지만 자기의 사랑을 지키기 위해 '부정적인 감정'을 활용하는 오래된 지혜였다.
이상국 기자 isomi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