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캠페인 안 해도 에스컬레이터 두 줄로 타야 하는 이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2분 12초

최근 연 1000여건씩 사고 나고 고장도 잦아...국민안전처, '두 줄 서기' 캠페인 효과 없자 '안전 수칙 홍보'로 방향 바꿔..."이용수칙 미준수시 불이익 줄 것"

캠페인 안 해도 에스컬레이터 두 줄로 타야 하는 이유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캠페인 안 한다고 에스컬레이터 두 줄 서기 하지 말라는 얘기가 아닌데…."

국민안전처가 지난 20일 발표한 에스컬레이터 안전 대책이 엉뚱한 반향을 불러 일으키면서 논란이다. 그동안 정부는 가장 확실한 안전 탑승 방법인 두 줄 서기 캠페인을 꾸준히 펼쳐 왔지만 한 줄 서기를 선호하는 사람들의 습관을 고치지 못했다. 이에 두 줄 서기 대신 구체적인 안전 이용 수칙 홍보로 사실상 '포장'만 바꿨다. 그런데 마치 두 줄 서기를 안 해도 되는 양 알려지면서 "안전 관리를 포기한 것 아니냐"는 비판 여론까지 일고 있다. 안전처는 성미가 급해 뛰어 올라가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잘못된 이용 습관으로 사고ㆍ인명피해ㆍ예산 낭비 등을 초래하고 있다며 재차 안전한 이용을 당부하고 나섰다.


21일 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전국 지하철ㆍ빌딩ㆍ쇼핑센터 등에 에스컬레이터 설치가 늘어나면서 사고·고장으로 인한 인명피해·예산 낭비가 늘어나고 있다.

지하철 역사 내 에스컬레이터 고장건수는 서울에서만 연간 1000건 가까이 발생하고 있다. 지하철 1~4호선에 설치된 총 502대의 에스컬레이터의 고장 건수는 2012년 191건, 2013년 127건, 2014년 478건로 급증했다. 5~8호선(총1808대)도 2012년 541건, 2013년 492건, 2014년 478건의 고장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서울지하철에서만 예산이 약 30억원 가량 수리 비용으로 지출되고 있다.


사고도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399건이 발생했다. 사망 8명, 중상 403명, 경상 143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48.4%), 50대(19.7%) 등 동작이 민첩하지 않은 노인들이 주로 사고를 당했다.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의 '한 줄 서기', 즉 한 쪽엔 사람들이 서 있고, 다른 한 쪽으로는 분주히 사람들이 오르 내리며 움직이는 습관이 사고 발생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실제 사고 중 뛰거나 걷다가 넘어진 게 315건(79%)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끼임 51건(13%), 오동작 6건(1.5건), 역주행 2건(0.5%)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기준 승강기 중대사고 70건 중 49건이 에스컬레이터에서 발생했다.


이에 따라 안전처는 올해 초 에스컬레이터 사고를 줄이기 위해 안전기술 TF팀을 운영하는 한편 여론조사ㆍ관련 기관 합동 토론회 등을 거쳐 안전 대책을 마련해 다음 달 1일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이 방안의 핵심은 그동안 두 줄 서기ㆍ걷거나 뛰지 않기 등 두 방향으로 홍보해왔던 에스컬레이터 안전 이용 캠페인의 내용을 '걷거나 뛰지 않기', '손잡이 잡기', '안전선 안에 탑승하기' 등 안전 수칙을 알리는 것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두 줄 서기가 실한 에스컬레이터 안전 탑승의 실천 방법이지만 시민들이 전혀 걷지 못하도록 강요를 받는다는 느낌을 받는 데다 '빨리 빨리' 문화로 인해 워낙 한 줄 서기에 익숙해 거부감이 강했다. 그동안의 꾸준한 홍보ㆍ계도에도 불구하고 정착하지 못하고 있다. 외국에서도 한 줄 또는 두 줄 서기 캠페인을 하는 국가를 찾기 어렵다는 점도 감안했다.


안전처는 대신 구속력이 없었던 두 줄 서기 캠페인과 달리 '걷거나 뛰지 않기 등 이용자 안전 수칙'은 구속력을 둘 계획이다. 안전 수칙을 지키지 않다가 발생한 사고의 경우 이용자 과실로 판정해 관리 주체에게 통보, 보상 등에 참고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안전처는 이와 함께 걷더라도 안전한 에스컬레이터를 만들기 위해 디딤판 및 체인의 안전율(실제 하중 대비 파손되는 하중의 비율)을 현행 5에서 8로 강화하기로 했다.


2018년까지 모든 에스컬레이터에 역주행방지장치를 달도록 할 계획이다. 역주행 방지 장치는 부품 파손 등으로 인한 어떤 사고가 일어나더라도 역주행을 막아 주는 장치다. 2014년 7월 이후에는 의무 설치되고 있으나 이전 에스컬레이터 중에는 설치된 곳이 드물다.


안전처는 또 지하철 등에서 에스컬레이터에서 뛰는 이용자가 발생하면 계도 및 경고 방송을 하도록 했다. 혼잡한 역사는 분당 30미터로 운전하되 노인이 많은 곳은 분당 25미터로 느리게 운전하도록 한다. 위생을 이유로 손잡이 잡기를 꺼려하는 사람들을 위해 청소ㆍ소독도 더 자주하도록 했다. 국토교통부ㆍ철도운영기관 등과 승강기 안전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안전처 관계자는 "두 줄 서기 캠페인을 안 한다는 것이 안전 관리를 안 하겠다는 의미가 아닌 데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고 항의 전화를 걸어 오고 있다"며 "두 줄 서기가 가장 실천적인 안전 이용 방법이긴 한데 워낙 시민들 사이에서의 정착이 안 되고 있어 구체적인 안전 이용 수칙 알리기로 방점을 옮겼을 뿐이며, 말만 다르지 사실상 같은 내용으로 미 준수시 불이익을 주도록 한 점에서 보면 훨씬 강화된 것"이라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