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충남지역 경제 위협하는 ‘초고령화 사회’ 눈앞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충남 복지정책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합동토론회’…2030년엔 65세 이상 고령인구비율 20% 웃돌아 2명이 노인 1명 부양해 세대갈등 깊어질 전망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2013년말 기준 지역내총생산(GRDP) 약 96조8000억원으로 서울시, 경기도에 이어 3위를 한 충남도가 ‘초고령화 사회’를 눈앞에 두고 있어 대책마련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충남도에 따르면 최근 내포 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충남 복지정책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합동토론회’ 때 65세 이상 고령인구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화 사회’가 곧 올 것이란 내용이 발표돼 눈길을 모았다.

김용현 충남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저출산·고령화 문제와 충남도의 대응방안’ 주제발표에서 “2013년 기준, 충남도의 65세 이상 고령화비율은 16.0%로 전국평균(12.2%)보다 높다”며 “전남(21.4%), 전북·경북(17.5%), 강원(16.4%)에 이어 전국 5위”라고 밝혔다.


김 책인연구원은 “16.0%인 고령인구비율이 ‘초고령화 사회’인 20%를 넘는 건 시간문제”라며 “지난해 말 기준 청양 30.9%, 서천 29.8%로, 주민 4~5명 중 1명이 65세 이상 노인”이라고 진단했다.

김 책임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부여(28.0%), 금산(25.4%), 태안(25.2%), 예산(24.8%) 등 충남지역 군 단위지역은 고령화비율이 20%를 넘어서 곧 고령사회(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 14% 이상)와 초고령사회가 시·군의 주를 이룰 전망이다.


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도 적잖아 충남지역 생산가능 인구(15∼64세)가 꾸준히 줄어 저축, 소비, 투자가 움츠려들어 발전의 걸림돌이 될 것으로 김 책임연구원은 지적했다.


특히 노인부양부담이 늘어 2005년엔 생산가능 인구 5명이 노인 1명을 부양했지만 2020년엔 3명이, 2030년엔 2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하는 등 세대갈등이 깊어질 전망이다.


김 책임연구원은 “충남도 차원에서 1~2차례 ‘노인복지 5개년 계획’을 세우고 있으나 고령화는 노인복지만의 문제가 아니다”며 “소득·복지, 의료·보건, 산업·노동·주거·여가·교육 등 종합적·체계적 대응이 필요하지만 충남도는 그런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고령자들이 건강하고 여유로운 농촌생활을 할 수 있게 보건·복지인프라를 갖추면서 다양한 여가생활지원을 늘릴 필요가 있다”며 “경험 있고 건강한 노인인력을 위한 봉사활동을 체계적으로 도와 고령화부담을 줄여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토론회장엔 안희정 충남도지사와 도·시·군 복지담당공무원, 전문가 등 120여명이 참석했다.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