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동개·김하녀·강호구·김토마스' 법원 개명 허가 20년 소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서동개·김하녀·강호구·김토마스' 법원 개명 허가 20년 소개
AD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구태놈, 양팔련, 홍한심, 송아지…' 개명 허가를 받기 전 사람들의 본명이다.

9일 대법원은 소식지 '법원사람들' 3월호를 통해 지난 20년 간 법원이 개명을 허가한 대표적 유형과 사례들을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출생신고서에 이름을 잘못 기재한 경우'는 단순 실수에서 비롯된 것이 많았다. 한자 넓을 홍(弘)을 큰물 홍(洪)으로, 형통할 형(亨)을 누릴 향(享)으로, 가죽 혁(革)을 풀 초(草)로 잘못 쓰거나 한글 이름 방그레를 방그래로 쓴 사례가 있었다.

'부르기 힘들거나 잘못 부르기 쉬운 경우'는 허가 건수가 많은 대표적인 사례다. 지하아민, 김희희, 윤돌악 등의 이름이 법원 허가를 통해 바뀌었다.


'의미나 발음이 나쁘거나 저속한 것이 연상되거나 놀림감이 되는 경우'도 대표적인 사례로 꼽혔다. 서동개, 김치국, 변분돌, 김하녀, 지기미, 김쟌카크, 이아들나, 경운기, 구태놈, 양팔련, 하쌍연, 홍한심, 강호구, 송아지 등의 이름이 소개됐다.


또 '악명 높은 사람의 이름과 같거나 비슷한 경우', '성명철학 상의 이유로 개명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었다.


법원 허가를 받아 한자 이름을 한글 이름으로, 한글 이름을 한자 이름으로 각각 바꾸는 경우도 많았다. 외국식 이름을 한국식 이름으로 고친 사례들도 소개됐다. 한소피아아름, 김토마스, 윤마사꼬, 최요시에 등의 이름이 평범한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밖에 귀화 외국인의 한국식 개명도 적지 않다. 방송인 로버트 할리는 '하일'로, 러시아 출신의 학자·교수인 블라디미르 티호노프는 '박노자'씨로 활동 중이다.


과거에는 법원이 개명에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신청 건수나 허가율이 낮았다. 그러던 중 대법원이 1995년 '국민학교(현 초등학교) 아동에 대한 개명허가 신청사건 처리지침'을 1년간 한시적으로 시행, 많은 사람의 호응을 얻었다. 당시 7만3186명이 개명을 신청해 96%가 허가를 받았다.


그 이후 개명에 대한 사회의 인식이 바뀌면서 개명 신청이 크게 늘었고 법원 심사도 완화돼 허가율은 점차 높아졌다.


특히 대법원은 2005년 11월 개인의 성명권을 헌법상 행복추구권과 인격권의 한 내용으로 인정하는 판례를 내놓아 개명이 대중화되는 물꼬를 텄다.


지난 2007년은 허가 건수 10만건, 허가율 90%를 돌파해 개명 허가가 급증한 '분기점'으로 기록됐다.


대법 관계자는 "사회 분위기 변화에 따라 대법원도 2008년부터 새로운 심사기준을 도입한 '개명허가 신청사건 사무처리지침'을 만들어 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이슈팀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