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017년까지 180조원 투자해 대기질 개선 계획 발표…환경부·서울시와 정책 교류 강화
[아시아경제 이혜영 기자] "바로 옆 사람의 얼굴조차 선명하게 보이지 않아요." "마스크나 옷으로 입을 막아도 효과가 없어요."
영화인지 현실인지 분간이 가지 않을 정도의 뿌연 공기가 연일 온 나라를 휘감고 있는 중국. 수감기간이 언제까지인지 알 수 없는 상태로 중국 국민은 스모그와 미세먼지의 감옥 속에 갇힌 채 살고 있다. 이달 초에는 스모그가 심해지면서 고속도로가 폐쇄되고 항공편이 취소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 '감옥'이 유독 겨울만 되면 더욱 심하게 중국 국민을 옥죄는 이유는 뭘까? 답은 '석탄'에 있다. 본격적인 난방을 시작하는 겨울이 다가오면 석탄 사용량이 급격히 늘어 대기오염 정도는 한층 심해진다. 화석연료인 석탄을 땔 때 나오는 각종 유해물질이 대기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석탄으로 '따뜻한 공기'를 얻은 대신 목숨을 위협하는 '더러운 공기'를 마셔야 하는 셈이다.
중국의 석탄 소비량은 전 세계의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지난해 기준 석탄 소비량은 38억t 수준으로 매년 증가추세에 있다. 중국 정부는 대기오염 상황이 점차 심각해지자 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베이징시는 '2013~2017 공기정화 행동 계획'을 발표하고 대기질 개선을 위해 5년간 약 1조위안(180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난방 연료를 천연가스 등으로 교체하고, 전기자동차를 보급하는 등의 정책으로 2017년까지 초미세먼지(PM2.5) 농도를 2012년보다 25% 이상 낮추는 것이 목표다.
그러나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4분의 3을 차지하는 석탄 이용을 어떻게 줄일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방안은 아직 찾지 못한 상태다. 아직은 외부에서 고기를 굽지 못하게 하는 등 1차원적인 규제 정책에 머물러 있다.
이를 찾기 위해 중국이 주목한 곳은 서울. 인구밀도가 높고 차량이 많은 서울은 다른 도시보다 대기오염이 심하고 분지형태로 돼 있어 대기 확산에도 불리한 조건을 갖고 있지만, 2005년 58㎍/㎥을 기록하던 미세먼지 농도가 지난해 41㎍/㎥으로 낮아졌다.
우선 서울시는 생활 속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해 경유자동차 저공해화 사업을 추진했다. 매연저감장치를 부착하고 조기폐차 유도, 경유엔진을 LPG엔진으로 개조하는 작업 등을 통해 올해 1만5300대를 교체했다. 시가 지금까지 교체한 누적 차량은 26만4099대로 내년 27만8061대 수준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매연이 거의 배출되지 않는 압축천연가스를 사용하는 CNG 버스의 보급도 늘렸다. 올해 기준 1만396대가 보급됐고, 매년 300여대 안팎으로 교체되고 있다. 소각장이나 발전소 등 대기오염 물질이 집중적으로 배출되는 대형 사업장 18곳에 대해서는 총량관리를 실시해 배출 규모를 6.4%가량 낮췄다. 4계절 분진흡입 청소차도 지난해 27대에서 올해 10대를 늘렸고 내년까지 47대를 확보해 도로에서 나오는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데 속도를 높일 예정이다.
또 가정용 보일러가 환경오염의 한 주범임에 주목해 이를 친환경 보일러로 바꾸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친환경보일러는 환경오염 물질인 녹스(NOx)의 배출농도가 40ppm이하로 일반 보일러의 3분의 1 수준이다. 올해는 임대주택의 노후 보일러 800대에 대한 교체를 지원했고 2015년부터 전 가구를 대상으로 본격 보급할 예정이다.
중국 정부는 서울시의 정책이 일정 부분 효과를 거둔 것으로 판단하고 지난 11~12일 환경부와 시 관계자 등을 초청해 대기오염을 줄이는 방안을 협력하고 정기적인 대화 채널을 마련하기로 협의했다. 우리 정부 역시 중국의 도움 없이는 대기오염 질 개선에 한계가 있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지난 5일에는 중국의 영향으로 서울에 사상 첫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됐다. 이날 서울시는 오후 4시를 기점으로 초미세먼지 농도가 93㎍/㎥을 기록했다. 시는 초미세먼지 농도가 60㎍/㎥ 이상 2시간 지속되면 주의보 예비단계, 85㎍/㎥ 이상이면 주의보, 120㎍/㎥ 이상이면 경보를 발령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2000년부터 대기오염에 대응하기 위해 연간 1조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왔지만 중국이라는 외부 변수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중국이 이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공유하고 있는 만큼 서울시가 추진한 정책 등을 교류해 대기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혜영 기자 itsm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