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3분기 건축 허가 면적 전년比 15.9% 감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2013년 3분기 건축 허가면적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9% 감소했다. 착공면적은 2.0% 감소했고, 준공면적도 5.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3분기 건축 허가면적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9% 감소한 3176만9000㎡로 집계됐다. 착공면적은 2.0% 감소한 2478만4000㎡, 준공면적은 5.1% 감소해 2735만8000㎡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의 허가면적이 543만2000㎡(28.2%) 감소했고, 착공면적은 93만7000㎡(10.4%) 증가했으며 준공면적은 2386㎡(16.9%) 줄었다.


지방은 허가와 착공면적이 57만3000㎡(3.1%) 144만4000㎡(8.9%) 각각 감소했고, 준공면적은 92만9000㎡(6.3%) 증가했다.

전년 동기대비 건축물 용도별 현황은 건축허가 면적의 경우 주거용이 189만2000㎡(13.4%) 감소한 반면 상업용 32만㎡(4.1%), 공업용 103만6000㎡(26.2%), 문교사회용은 21만4000㎡(8.3%) 증가했다.


착공 면적은 주거용 70만8000㎡(7.3%), 문교사회용이 13만8000㎡(6.9%) 감소한 반면, 상업용 63만9000㎡(11.1%) 공업용은 65만4000㎡(19.1%) 증가했다.


준공 면적은 주거용 79만㎡(9.0%) 상업용이 27만4000㎡(3.8%) 감소한 반면 공업용 5000㎡(0.1%) 문교사회용은 19만4000㎡(6.8%) 증가했다.


전년 동기대비 건축 허가면적은 수도권(28.2%)이 지방(3.1%)보다 크게 감소했다. 특히 수도권은 문교사회용(11.5%), 상업용(10.5%)의 감소가, 지방은 공업용(30.9%), 문교사회용(24.7%)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주거용 허가면적의 경우 아파트, 연립주택은 2년 연속 감소했으며 단독주택, 다가구주택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로 돌아섰다.


상업용 허가면적의 경우 업무시설은 감소(29.4%)하고, 판매시설은 크게 증가(77.9%)했다.


업무시설의 경우 수도권은 감소(57.9%)한 반면 지방은 증가(34.1%)했으며 판매시설은 수도권(100.9%) 지방(36.7%) 모두 증가했다.


오피스텔 허가면적의 경우 2010년부터 3년 연속 증가했으나 올해 처음으로 감소(5.5%)했다.


착공면적 또한 2010년부터 3년 연속 증가하다가 올해 처음으로 감소(24.8%)했다. 준공면적은 2010년 부터 4년 연속 증가했다.


규모별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3.3%인 2만4708동, 100~200㎡ 건축물이 1만275동(18.0%), 300~500㎡ 건축물이 7988동(14.0%) 순으로 나타났다.


건축물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2만1172동으로 전체의 44.6%, 100~200㎡ 건축물이 8267동(17.4%), 300~500㎡ 건축물이 6855동(14.5%) 순이었다.


멸실현황을 용도별로 보면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이 각각 144만8000㎡, 74만7000㎡, 22만2000㎡, 8만1000㎡ 멸실됐다.


주거용은 아파트(54.7%) 단독주택(4.5%)만 증가했으며 상업용은 판매시설(61.7%), 제1종근린생활시설(10.0%) 제2종근린생활시설(9.2%) 업무시설(5.8%) 모두 증가했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