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기청, 美서 2억弗 투자받아 2400억원 벤처펀드 조성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은 실리콘밸리 미국 투자자와 한국교포 등의 자금 2억달러(한화 2200억원)를 유치, 2억1000만달러(2400억원) 규모의 벤처펀드를 조성했다고 28일 밝혔다.


한국벤처투자는 27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블루런 벤처스, 포메이션 8, 알토스 등 3개 현지 운용사와 이같은 내용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빠르면 내달부터 본격 투자에 나선다.

블루런 벤처스는 펀드 규모가 약 1억6000만달러로 창업초기·성장 초기 단계의 인터넷·모바일·헬스케어 기업에 투자하며, 포메이션 8과 알토스의 펀드 규모는 각각 3000만달러, 2000만달러다.


이번 펀드는 외자유치를 통해 국내기업에 투자되는 최초의 펀드로 91%를 미국 등 해외자본으로 조성했으며, 조성된 펀드는 포트폴리오 구성을 위한 일부 재원을 제외하고 최소 1억4000만달러(67%, 한화 1600억원) 이상이 국내기업에 고스란히 투자된다.

중기청은 실리콘 밸리 내 미국 벤처캐피탈(VC)이 직접 펀드를 운용토록 해 벤처투자의 가장 선진국인 미국의 노하우를 활용하되, 한국정부의 자금이 출자된 점을 고려해 한국계 교포가 공동대표(Partner)로 있는 미국 VC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또 이들 VC의 역량을 활용해 피투자기업들의 현지시장 진출 등 글로벌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창업초기 단계 기업은 국내 시장에서 1~3년간 인큐베이팅하고 해외시장에 직접 진출하거나 경쟁하도록 지원하고, 국내시장에서 어느 정도 경쟁력을 확보한 성장초기 단계 기업들의 경우 구글, 페이스북 등 해외의 유명 거래처를 알선해 줄 예정이다. 피투자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시점에 맞춰 추가 해외투자 알선, 현지 법인설립 등도 지원한다.


벤처펀드의 주요 투자대상은 모바일, 앱, 소셜네트워크(SNS), 소프트웨어(S/W), 헬스케어 등 우리나라 기업의 강점으로 꼽히거나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의 창업초기·성장초기 단계 기업이다.


중기청은 지난 5월 '벤처창업 자금생태계 선순환 방안' 대책 수립 이후 중기청 관계자가 직접 미국을 방문하여 외자유치를 위한 현지 VC 간담회를 시도하는 등 투자유치 노력이 결실을 거둔 것으로 보고 있다.


김순철 중기청 차장은 "어려운 경제여건 하에서도 2억 달러 규모의 외자유치 벤처펀드를 조성한 것은 우리의 창업·벤처기업들이 해외투자자에게도 투자 가치가 있고 경쟁력이 있는 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이라며 "향후 코리아 벤처창업 투자센터를 통해 선진 자본이 국내 중소기업에 투자되도록 노력하고 VC 뿐만 아니라 엔젤 투자가 활성화되도록 전문엔젤 도입과 해외 엔젤투자자 유치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중기청은 외자유치 벤처펀드 조성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 벤처투자의 산실인 실리콘밸리 멘로파크(Menlo Park) 지역에 '코리아 벤처창업 투자센터'를 설치하고 지난 26일 현판식을 개최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