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5년부터 7급 공무원 시험에도 '지역인재' 선발 확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교육부, '지방대학 육성방안' 발표...2015학년도부터 지방대학 '지역인재전형' 도입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2015학년도부터 지방대학에서 해당 지역의 우수 인재를 일정비율 선발할 수 있도록 '지역인재전형'을 도입한다. 또 지방대 졸업생들에게 우수한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인재 채용할당제도 강화돼 2015년부터는 공무원 7급 채용에서도 지방인재 채용목표제가 확대 도입된다.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방대학 육성방안'을 31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우수 인재의 수도권 대학 집중과 지역에서 기른 인재의 지역이탈현상이 심각한 수준"이며 "이 같은 현상이 지방대학과 지역 발전에 악영향을 미쳐 국가차원의 균형발전을 저해한다는 문제 의식 아래 지방대학 육성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안에 따라 이르면 2015학년도부터 지방대학에 한해 '지역인재전형'이 도입된다. 현재도 일부 지방대학에서는 지역인재 선발 전형을 실시하고 있지만 2014학년도부터 대학교육협의회에서 공정성 등에 위배된다는 이유로 금지하고 있다. 교육부는 이번 방안으로 지역인재전형의 법적 근거를 마련한 데 의의를 두고 있다. 지역인재의 지역 범위, 모집 단위 및 비율은 대학이 자율적으로 정한다.


지방대 졸업생들의 취업 기회도 확대한다. 특히 공무원의 경우 현재 5급에서 실시하고 있는 지방인재 채용목표제를 2015년까지 7급 채용에도 확대 도입한다. 지역인재 7급 추천 채용목표는 올해 80명에서 2017년에는 120명이 되도록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비수도권 지역의 인재 채용 여부를 수시로 점검해 지역인재 채용을 권장할 계획이다.

또 지방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우수대학은 지원하고 부실대학은 구조조정한다. 2014년부터는 '지역선도대학 육성사업'을 시작해 지역 거점 역할을 수행할 지방대학을 선정, 육성한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구조개혁위원회를 출범해 교육이 질이 부실한 대학에 대해서는 강력한 구조조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대학 재정지원사업도 새롭게 개편된다. 교육역량강화 사업은 지방대학특성화, 지역선도대학 육성 사업으로 전환된다. 학부교육선진화 선도대학(ACE) 지원 사업과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사업, 지역혁신인력양성 사업, BK21사업 등은 확대 추진하는 동시에 지방대의 비중은 늘려 나간다.


지방대는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외 지역에 있는 대학을 일컬으며 전국에 129개교, 총 139만여명의 학생들이 재학 중에 있다. 전체 대학 중에서는 63%를 차지한다.


교육부는 이번 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해 최종안을 다음 달 확정 발표한다. 또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 지역선도대학 육성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추진 계획은 12월 말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조민서 기자 summe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