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청년실업-中企 인력난, 두 과녁 함께 뚫자

시계아이콘00분 59초 소요

대학졸업 이상 학력의 비경제활동인구가 지난달 304만명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전문대 졸업자가 103만명, 4년제 대학 졸업자가 201만명이다. 우리 사회의 고질병인 학력 인플레 현상으로 고학력자는 빠르게 늘어나는데, 이들이 원하는 일자리 자체가 부족하거나 인력을 필요로 하는 기업과의 연결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비경제활동인구란 취업도 실업도 아닌 어정쩡한 상태의 사람들을 일컫는다.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사유가 가사나 육아, 연로, 심신장애, 학교에 다니기 때문인 경우는 현실적으로 어쩌기 힘들다. 문제는 대학을 졸업한 신체 건강한 젊은 청년들이다. 비경제활동인구의 약 4분의 1이 청년층이라니 줄잡아 76만명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1월 공식 청년 실업자 31만1000명(청년실업률 7.5%)의 두 배를 넘는 규모다. 그 대부분이 고시원을 다니거나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취업 준비생이거나 연거푸 입사원서를 내도 계속 떨어지는 바람에 구직을 포기했거나 아예 그냥 쉬는 경우 등이다.

대학을 나와야 행세할 수 있다는 믿음에 연간 1000만원에 이르는 등록금을 내고 다녔는데도 백수 신세로 전락할 판이다. 현실적으로 이들이 모두 공무원이 되거나 공기업에 들어갈 수 없다. 대기업과 금융회사 등 대졸자들이 원하는 일자리도 한정돼 있다. 결국 해답은 중소기업 일자리에서 찾아야 한다.


하지만 대학을 나온 젊은이들은 중소기업 취업을 꺼린다. 구직자의 기대치와 중소기업이 지급할 수 있는 급여나 근무환경에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기업이 원하는 기술 숙련도와 구직자가 할 수 있는 능력의 차이도 있다. 구직자들이 중소기업에 취업하고 싶어도 300만여개 중소기업 가운데 미래를 맡길 만한 비전을 갖춘 곳이 어디인지 판단할 만한 정보 부족도 원인이다.

이와 같은 '대졸 청년들의 구직난 속 중소기업 구인난'이라는 인력수급 미스매치 현상을 정부가 적극 나서서 풀어야 한다. 그래야 한국 경제의 미래가 보이고, 사회 안정도 가능하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선거 때부터 '중소기업 중심경제'를 강조했다. 고용률을 70%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 했다. 대졸자더러 눈높이를 낮추라고만 하지 말고 스스로 중소기업을 선택할 수 있는 유인책을 제시해야 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