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효진 기자, 오종탁 기자] '박근혜 대선캠프'의 정책위원회 구성이 묘하다. 경제민주화와 관련해 '미스매치'가 엿보이는가하면 김대중ㆍ노무현 정부에서 내각이나 청와대 고위직을 거친 인사들이 뒤섞여 있다.
일각에서는 '박근혜 정책라인'의 정체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경제민주화 기조가 대선을 향해가면서 다소 누그러지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있다.
표면적으로는 김종인 전 청와대 경제수석이 공동선거대책위원장과 정책위원장을 겸임하면서 경제민주화가 확실한 기조로 자리잡은 분위기다.
경제민주화의 뿌리는 김종인 위원장이 1987년 국회 개헌특위 경제분과위원장일 때 신설한 헌법 119조 2항이다.
이는 '경제의 민주화를 위하여 경제에 관한 규제와 조정을 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새누리당이 지난 총선 이후 진행하고 있는 '반(反)대기업 입법'의 근간이기도 하다.
김 위원장만 보면 이런 흐름이 계속될 듯하지만 다른 위원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궁금증이 커진다.
김 위원장과 함께 정책위에 들어간 현명관 전 삼성물산 회장은 이건희 회장 비서실장, 전경련 부회장, 대한상의 부회장, 한국무역협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고 노무현 정부에서 민족화해범국민협의회 상임의장으로도 일했다.
현 전 회장은 2008년 '삼성특검' 당시 에버랜드 전환사채 의혹과 관련해 기소됐으나 2009년 무죄 확정판결을 받았다.
박근혜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의 싱크탱크 '국가미래연구원' 김광두 원장은 박 전 위원장이 2007년 대선경선에서 주창한 친시장ㆍ친기업 성장공약 '줄푸세(세금은 줄이고 규제는 풀고 법질서는 바로세운다)' 추진위원장이었다. 박 전 위원장이 '좌클릭ㆍ반대기업 균형잡기'를 시도했다는 추측이 그래서 나온다.
윤병세 전 외교통상부 차관보는 김대중 정부에서 외교부 북미국 심의관, 제네바 공사 등을 지내고 노무현 정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정책조정실장,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수석을 거쳤다.
외교부 차관보도 참여정부에서 지냈다. 윤 전 차관보는 2010년 국가미래연구원 외교안보분야 발기인으로 박근혜 전 위원장과 인연을 맺었다.
김장수 전 새누리당 의원은 노무현 정부에서 국방부 장관으로 일했고 2008년 18대 총선에서 당시 한나라당의 공천으로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됐다. 정책위는 이들과 강석훈ㆍ안종범 의원 등 모두 7명으로 구성됐다.
친박(親박근혜)계의 한 관계자는 "정책위 구성은 민생 중심의 정책 밑그림을 효과적으로 짜기 위한 것 외에 다른 포석이나 목적은 없다"면서 "구성원들의 과거 행적이나 출신에 지나치게 의미를 부여하지 말아달라"고 말했다.
김효진 기자 hjn2529@
오종탁 기자 tak@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