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LG전자가 직원들의 건강과 복지를 위해 적극적으로 금연 정책을 확대하고 있지만 업무효율 저하와 노조 반발 등 일부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어 고민 중이다. 최근에는 금연구역으로 지정한 일부 사업장 내에 다시 흡연장을 설치하는 등 금연 정책에 균열이 생겼다.
30일 LG전자에 따르면 이 회사 창원공장은 최근 사업장 내부 주차장 근처에 임시 흡연장을 만들었다. LG전자는 지난해 12월 창원공장 전지역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했지만 반년 만에 이를 철회한 것이다.
당시 LG전자 창원사업장은 26개 사내흡연장을 모두 폐쇄해 사원 쉼터로 바꾸고 흡연을 원하는 직원들은 공장 밖으로 나가서 담배를 피우게 했다. 이를 통해 오는 2015년까지 흡연율을 10% 이하로 낮춘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전체 임직원 중 20%가 넘는 인원이 흡연을 하기 위해 수시로 공장 밖으로 나가야 하다 보니 불편을 겪는 것은 물론 업무 효율까지 떨어져 이번에 사측에서 임시로 흡연장을 만들게 됐다. 특히 노조에서 사내 임시흡연장 설치를 적극적으로 요구해 사측에서 이를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상치 못한 사태가 벌어지자 LG전자는 금연사업의 강도를 두고 고민에 빠졌다. 금연사업 확대를 이어나간다는 방침은 변함이 없지만 흡연자를 위한 배려와 노조의 반발 역시 무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LG전자 관계자는 “창원공장 내부에 임시 흡연구역을 만들기는 했지만 금연사업의 취지가 꺾인 것은 아니다”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금연정책을 시행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LG전자는 금연을 권장하는 사회 분위기에 따라 10여년 전부터 전 사업장을 대상으로 금연캠페인을 펼쳐왔다.
금연 희망자들이 일정 금액을 내고 펀드를 만들어 금연에 성공할 시 더 많은 돈을 돌려받는 금연펀드 제도를 수년째 실시 중인 것은 물론 금연 클리닉과 금연 서약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임직원들의 금연을 유도하고 있는 중이다.
이창환 기자 goldfis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