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미국 광우병 정보 숨김 없이 공개해야

시계아이콘01분 03초 소요

6년 만에 광우병으로 불리는 소 해면상뇌증(BSE)에 걸린 젖소가 발견된 미국에서 허술한 쇠고기 검역 및 이력 추적 시스템과 동물성 사료 허용 문제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미국 최대 소비자단체인 소비자연맹은 미국 소의 안전성에 대한 3대 의문점을 지적하는 성명을 냈다. 첫째, 농무부의 광우병 검사 비율이 너무 낮다. 한 해 도축되는 소가 3400만마리인데 0.12%인 4만마리만 검사하고 있다. 둘째, 민간이 자신의 소에 대한 광우병 검사를 금지하는 농무부 조치를 납득하기 어렵다. 민간 기업도 광우병 검사에 참여하면 농무부 검사가 강화되고 쇠고기의 안전성에 대한 확신을 심어줄 것이다. 셋째, 소의 부산물을 돼지ㆍ닭의 사료로 쓰고 있어 광우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이 같은 문제는 올해 퓰리처상을 받은 인터넷 매체 허핑턴포스트가 더 날카롭게 짚었다. 소의 부산물을 닭에게 먹이고 이 닭의 배설물을 소의 사료로 쓰는 그릇된 '동물성 사료 사슬'이 광우병 전파 위험을 키울 수 있다면서 "식품의약국(FDA)이 낙농육우단체의 로비에 밀려 동물성 사료를 여전히 허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송아지들이 소의 혈액으로 만든 인공 우유로 사육되는 것도 문제라고 전했다.


워싱턴포스트 신문은 쇠고기 유통 과정을 확인하는 가축인식 시스템을 강제하지 않는 몇 안 되는 쇠고기 수출국 중 하나가 미국이라고 지적했다. 의원들도 의회에 계류 중인 가축인식 시스템을 강화하는 법안의 통과를 촉구했다. 로사 드라우라 하원의원은 "운 좋게 이번 경우를 확인했다"며 가축인식 시스템 강화를 주장했다. 이 와중에 26일 인도네시아가 미국산 쇠고기의 수입을 중단했다.


미국은 많이 팔려 들기 이전에 자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에 대한 믿음을 심어 주어야 한다. 수입을 유지하는 국가에 감사한다거나 수입을 중단한 국가에 수입 재개를 압박하는 식은 곤란하다. 문제의 광우병 젖소가 언제 어디서 태어나 무엇을 먹고 자랐는지에 대한 정보부터 소상히 공개하는 것이 예의다. 자국 소비자단체와 언론, 정치권에서 제기하는 쇠고기 안전성에 대한 문제도 서둘러 해소해야 한다. 한국 정부도 당당하게 관련 자료의 공개를 요구하고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것이 양국 간 교역 증대는 물론 신뢰를 쌓는 데도 도움이 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