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동반성장 조직 운영 기업 1년 새 80% ↑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전경련 '9.29 동반성장 종합대책 이후 200대 기업의 추진성과' 보고서 공개

[아시아경제 이정일 기자] 지난 9월29일 정부의 동반성장 종합대책이 발표된 이후 동반 성장 전담조직을 설치하고 동반 성장 추진 실적을 인사 평가에 반영하는 대기업이 크게 증가하는 등 동반 성장이 재계의 기업문화로 정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가 16일 발표한 '9.29 동반성장 종합대책 이후 200대 기업의 추진성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0대 기업 중에서 동반성장 전담조직을 운영중인 기업은 84개사(115개 응답업체의 73%)로 전년 46개보다 82.6% 증가했다. 동반성장 추진 실적을 CEO와 임직원의 인사평가에 반영하는 기업도 25개사에서 62개사로 1.5배 이상 늘었다.

CEO의 협력사 현장 방문이나 간담회 개최가 종합 대책 발표 이후 증가했냐는 질문에는 78.3%가 '그렇다'고 답했으며, 동반성장과 하도급 공정거래와 관련된 사내교육이 늘었다는 응답도 65.2%에 달했다.


또한 수탁기업체협의회, 협성회 등 협력사 모임을 운영하는 대기업은 79.1%로 나타났고, 응답 대기업의 94.8%가 협력사와의 ‘소통채널을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협력사 선정과 납품물량 배정 등을 결정하는 협력사 평가시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응답 대기업의 74.8%는 평가기준을 사전에 협력사에 공개하고, 70%는 세부 평가결과를 공개하는 등 협력사에 대한 공정한 평가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응답 대기업 10개 중 8곳은 공정거래위원회의 표준하도급계약서를 사용 중에 있거나 도입예정이라고 밝혔으며, 서면계약서 발부비율이 90% 이상이라고 응답해 하도급 공정거래 문화가 기업활동의 일부로 정착된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국내 200대 기업이 외국의 글로벌 기업에 비해 원자재가격, 환율 변동 등에 따른 납품단가 조정과 납품대금 지급기간이 오히려 양호하다고 밝혔다.


한편, 200대 기업들은 협력사와 동반성장 취지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사의 경쟁력 강화가 가장 중요하다(49.6%)’고 인식한 반면, 정부와 동성위가 ‘협력사의 경쟁력 강화에 주력했다’는 응답은 11.3%에 불과했다.


응답 업체들은 정부와 동성위가 ‘하도급거래 관련제도 개선(47%)’과 ‘협력사 자금지원과 경영개선(35.7%)’에 주력했다는 인식이 높았다.


끝으로 200대 기업들은 동반성장 추진시 주된 애로사항으로 ‘시장경제와 기업현실에 맞지 않는 획일적인 정책추진으로 기업의 경쟁력이 약화된다(53%)’, ‘협력사들이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력보다 자금지원과 경영애로 개선에 관심이 높다(35.7%)’ 순으로 지적했다.


전경련측은 "작년 9월 이후 상당수의 대기업들이 진정성을 갖고 동반성장을 기업문화로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해온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 스스로도 경쟁력을 높여 나가는 방향으로 동반성장 정책이 균형있게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정일 기자 jayle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