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대하이스코, 당진 2냉연공장 착공

당진군 송산면 12만평 부지에 연산 150만t 규모
2013년 5월 완공 후 총 600만t 냉연제품 생산능력 보유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현대하이스코가 총 9220억원을 투자해 추진 중인 연산 150만t 규모의 당진2냉연공장 건설의 첫 삽을 떴다.

현대하이스코는 23일 당진군 송산면 당진2냉연공장 건설부지에서 공장 착공식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김원갑 부회장, 신성재 사장 등 임직원과 건설 관계자 180여명이 참석했다.


현대하이스코는 오는 2013년 5월까지 송산면 일대 12만평 부지에 공장 건설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현대하이스코는 당진공장 200만t, 순천공장 180만t을 합쳐 연산 380만t 규모의 냉연강판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당진2냉연공장이 준공되고 현재 추진 중인 전사적 경영혁신활동이 완료되면 총 600만t의 냉연제품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회사측은 “당진2냉연공장 건설은 품질·원가·생산규모 등 전반적인 측면에서 기업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글로벌 자동차시장의 성장 등 연관산업의 시장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이뤄졌다”고 밝혔다.


한편 이 공장에 설치될 냉연설비는 차량 경량화를 위한 고장력강판 생산을 주목적으로, 6번의 압연과정을 거치는 ‘6스탠즈(6Stands)’ 방식을 채택했다. 냉연강판은 열연강판을 압연과정을 거쳐 생산하게 되는데 압연과정이 많을 수록 더 좋은 품질을 냉연강판을 만들 수 있다. 기존 설비는 주로 5번의 압연과정을 진행하며, 포스코가 5스탠즈 설비를 확장한 6스탠즈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설비의 설계단계부터 6스탠즈 방식을 도입한 것은 당진2냉연공장이 국내에서는 처음이다.


현대하이스코는 “이 같은 설비특성을 통해 더욱 가볍고 튼튼한 자동차용 냉연강판을 양산할 수 있을 것”이라며, “회사의 경쟁력은 물론 자동차·가전 등 수요산업의 품질향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공장건설이 완료되면 현대하이스코는 현대제철의 열연제품 생산 증가와 현대·기아차의 자동차용 강판 수요에 한층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돼 ‘쇳물(현대제철)-자동차용 강판(현대하이스코)-완성차(현대·기아차)’로 이어지는 그룹내 자원순환형 사업구조에 더욱 큰 시너지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아산만에 위치한 기존 현대하이스코 당진공장은 지난 2004년 INI스틸(현 현대제철)과 컨소시엄을 이뤄 한보철강 냉연지구를 인수해 완성시킨 공장이다. 현대하이스코는 인수 당시 폐허에 가깝던 이 공장을 2년 만에 정상화시키는 한편, 올해 5월 공장 가동 5년여 만에 누적생산 1000만t을 실현하는 성과를 일궈내기도 했다.


현대하이스코는 당진2냉연공장 건설 또한 건실한 생산구조를 기반으로 세계시장을 향해 새롭게 도약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채명석 기자 oricms@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채명석 기자 oricms@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