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해외出 유통사,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성과 좋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6초

[아시아경제 박지성 기자]해외에 진출한 중소유통기업들의 올해 성적표가 대기업보다 더 나을 것으로 보인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해외에 진출한 국내 유통기업 58개사를 대상으로 '국내 유통기업의 해외경영 실태'를 조사한 결과 올해 흑자경영을 예상하는 중소기업의 비율이 61.9%로 집계됐다. 대기업은 40.0%에 그쳤다.

대한상의는 "작년의 경우 대기업의 흑자경영 비중이 중소기업보다 높았지만 올해는 반대의 상황이 될 것"이라면서 "중소기업은 건강식품, 이·미용 등 상대적으로 글로벌 기업들의 경쟁이 덜 치열한 틈새시장에 진출해 상품·서비스를 차별화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전체적으로는 56.1%의 유통기업이 해외에서 이윤을 남길 것으로 전망했으며, 29.8%는 손익분기점 접근을 14.1%는 적자경영을 예상했다.

사업형태별로는 도매업(55.9%)보다는 소매업(56.5%)이, 진출형태별로는 단독투자(62.5%)가 합작투자(41.2%) 보다 흑자경영 비중이 높았다.


흑자경영의 이유로는 응답기업의 96.0%가 매출증가를 꼽았으며 상품수익성 개선(68.0%)과 변동비 감소(4.0%)가 뒤를 이었다.


해외법인의 매출성장률은 지난 2010년에는 17.2%, 올해는 그보다 2.5%포인트 오른 19.7%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후 3년간 연평균 37.5%의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조사됐다.


해외진출에 성공하기 위한 요소로는 철저한 현지화(48.3%)가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으며 상품 및 서비스 차별화, 브랜드 및 품질관리, 현지 인력관리 등도 중요 요소로 언급됐다.


매장상품을 어디에서 조달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52.2%는 현지조달이라고 답했으며, 국내와 제3국 조달은 각각 38.5%, 9.3%로 조사됐다. 현지조달이라고 응답한 기업들 중 17.2%는 해외에 진출한 국내기업으로부터 조달받는다고 답해 유통분야의 해외진출이 국내 제조업의 해외판로 개척에도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진출 확대 계획에 대한 질문에는 79.3%가 적극(29.3%) 또는 소폭(50.0%) 확대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13.8%는 현상유지할 것이라고 밝혔고 5.2%는 축소, 1.7%는 철수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46.7%)이 중소기업(23.3%)보다 해외진출에 더욱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진출 유망 국가는 중국(51.7%)을 가장 선호했고 이어 베트남(36.2%), 인도(32.8%), 인도네시아(15.5%) 순이었다. 선정 이유는 거대한 소비시장, 높은 GDP 성장률, 현지시장 경쟁력 등을 꼽았다.


현지에서 겪었던 애로사항으로는 ▲현지 인력관리 ▲낮은 인지도 ▲현지 상거래 관행 ▲법적/행정적 규제 ▲진출지역 정보부족 ▲열악한 인프라 등을 지적했다.


김무영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최근 우리나라와 FTA를 체결한 국가가 늘면서 해외시장의 문턱이 낮아지고 있다"면서 "이를 계기로 국내 유통기업들도 운영자금 확보와 해외시장 정보수집 등 해외시장 진출에 적극적인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지성 기자 jiseo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