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쌍용건설, 건설현장 '탄소총량제' 최초 도입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쌍용건설(회장 김석준)이 업계 최초로 '현장 탄소 총량제'를 상반기 중 시범 운영을 거쳐 오는 7월 부터 국내 전체 현장으로 확대, 시행한다.


이 제도는 건설 현장의 탄소배출량을 통합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쌍용건설은 앞으로 시범 운영 기간동안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인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를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된 각 현장별 ▲전기 ▲물 ▲중장비, 각종 운송수단 유류 사용량 등 탄소발생과 밀접한 원가항목을 분석해 1차적으로 약 10% 절감된 목표를 부여한다는 방침이다.


이후 분기별 평가를 통해 목표보다 절감한 현장은 초과한 현장에 잔여 탄소 배출권을 매도할 수 있도록 하는 '탄소 배출권 거래제'도 시행할 예정이다.

실제로 이 회사가 7개 동 약 330가구 규모의 아파트 현장을 분석한 결과 공사기간 2년 동안 약 8만㎏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했고, 시공 중 발생한 탄소를 모두 흡수하기 위해서는 총 3만 그루의 나무를 심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현장의 탄소배출을 10% 줄이면 연간 1500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가 나고 회사 전체 현장으로 확대하면 연간 20만그루의 소나무를 심는 효과가 난다고 이 회사 관계자는 설명했다.


박윤섭 쌍용건설 이사는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기여함은 물론 현장간 경쟁을 통한 원가 절감, 신기술 개발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면서 "향후 해외 현장에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