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4900억원 투입, U-City 본격 조성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유시티(U-City) 조성과 관련 산업을 개발하기 위해 올해부터 5년간 4900억원이 투입된다. 정부는 이를 통해 제도기반을 완비하고 핵심기술을 조기개발해 실용화할 방침이다.


2일 국무총리실, 국토해양부 등에 따르면 제1회 유비쿼터스도시 위원회가 개최돼 범 정부 차원의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 종합계획(2009~2013)이 확정됐다.

U-City는 건설과 IT의 융복합을 통해 교통, 환경, 에너지 등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도시경쟁력을 높이는 차세대 도시 개념이다.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 종합계획은 이같은 U-City를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정부차원의 추진전략이다.

정부는 이번 계획을 통해 U-City 산업을 한국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 해외 진출을 활성화하고자 마련했다.


계획안은 시민의 삶의 질과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첨단정보도시 구현이라는 비전에 따라 △도시관리 효율화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도시서비스의 선진화 등 3대 목표를 제시했다.


이에 대한 추진전략으로 △제도기반 조기 완비 △핵심기술의 조기개발·실용화 △U-City 산업 육성지원방안 마련 △국민체감 U-City 서비스창출 등 총 4대 추진전략과 함께 22개의 세부 실천과제를 도출했다.


먼저 정부는 U-City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계획·건설·관리운영 등 U-City 전반에 걸친 제도적 기반을 조기에 마련하고 'U-City 활성화 지원대책' 등 관련 규제개선 및 지원방안도 조기 시행한다. 또 U-City 서비스의 표준 정립 및 정보 유통·연계방안, 개인정보 보호 및 재난·재해 침해방지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해선 연구개발사업(R&D) 지원을 통해 U-City 관련 핵심 원천기술의 조기 국산화 및 고도화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테스트 베드(Test-bed) 구축을 통해 개발된 기술의 실증·시험을 지원한다. 또 관련 부처간 기능조정 및 부처별 개발된 기술의 공동활용 등을 통해 기술개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 현재 정부는 삼성 SDS, KT 등 관련기술을 보유한 주요 국내 기업을 R&D에 참여시켜 기술개발의 실효성 및 상승효과 제고할 계획이다.


관련산업 육성을 위해선 U-City 시범도시 지원을 통해 U-City 성공모델 및 해외수출모델을 창출한다. 이어 전문인력 양성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U-City 관련 인적 기반을 확충해 나갈 예정이다.


여기에 한국 주도의 'U-City 세계포럼' 등 국제협력체계를 조기에 구축해 해외 진출을 위한 기반을 선점하고 해외 로드쇼 및 전시회 등 해외 수출 지원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이같은 과정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U-서비스를 창출한다는 게 국토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향후 5년간(2009년~2013년) 국비 약 4900억원을 집중 투자한다. 투자액은 제도기반마련/기술개발에 1400억원, 산업육성지원/U-서비스 창출에 3500억 등에 쓰인다. 정부는 경비의 확보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며 민관합동방식 등 민간분야의 참여도 적극 독려할 방침이다.


또 이같은 민관 협업을 도모하기 위해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민·관의 주요인사가 대거 참여하는 유비쿼터스도시위원회를 조성하고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이에 정부는 핵심 인프라 및 기술개발, 각종 제도·지원방안 마련 및 인력육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민간은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개발 등에 각각 집중할 계획이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