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유비쿼터스, IT 내용물 불량하면 ‘독’

새롭고 건강한 미디어 사용, 건전하고 유익한 콘텐츠문화 정착 절실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인터뷰] 서영훈 클린콘텐츠국민운동연합 의장

“신성장동력 융합산업의 중심축인 클린콘텐츠는 선택 아닌 필수”
유익하고 건강한 콘텐츠 만들어 이용하고 권하는 사회 만들어야


“새롭고 건강한 미디어 사용과 건전하고 유익한 콘텐츠문화 정착으로 유비쿼터스시대의 성숙된 시민으로 나아가는 의식과 가치관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클린콘텐츠캠페인을 범국민적으로 펼칠 것이다. 좋은 콘텐츠, 유익한 콘텐츠, 건전하고 건강한 콘텐츠를 만들고 이용하고 권하는 사회를 만들도록 노력하고 그런 세상을 열어야 한다.”

서영훈 클린콘텐츠국민운동연합 의장(89)은 아름답고 깨끗한 이 땅의 미래를 위한 콘텐츠 보급?사용에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의장은 “세상은 급속히 바뀌고 있다. 그 중심엔 미디어가 있다”면서 클린콘텐츠국민운동이 필요한 배경을 설명했다.


초고속 광대역인터넷이 유·무선을 넘나들고 DMB, IPTV처럼 디지털방송과 통신이 융합해 언제, 어디서, 누구와도 지식과 콘텐츠 접근·활용·교환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세상이 돼 클린콘텐츠가 절실하다는 것.


외설과 폭력적 콘텐츠가 넘쳐나고 비윤리적 내용을 담은 콘텐츠가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는 것을 크게 염려했다.


또 익명성을 악용, 언어폭력과 인신공격을 일삼고 거짓과 부정확한 정보 확산으로 합리적 이성과 신뢰를 무너뜨리는 점에 대해서도 걱정스러워했다.


미디어와 콘텐츠는 우리들 가치관과 일상생활에 엄청난 영향력을 미치고 있고 문화, 경제활동,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가 돼 정부가 추진하는 신성장동력 융합산업의 중심축이기도 해 클린콘텐츠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란 시각이다.


“우리 모두가 건전하게 가꿔야할 세상이다. 뭣보다 꿈과 희망을 주고 긍정적 변화를 끌어내는 재미있고 유익한 클린콘텐츠들을 많이 만들어 보급하고 즐기는 문화를 만들어내야 한다. 이게 클린콘텐츠운동을 시작하는 이유요 궁극적 목표다.”


유비쿼터스와 IT(정보통신)란 껍데기만 있고 그것을 채울 내용물이 없거나 불량하면 그건 ‘약’이 아니라 ‘독’이 된다는 게 서 의장 주장이다.


“미디어와 통신혁명은 삶의 방식을 바꿨다. 신문과 지상파TV에서 일방적으로 정보를 얻고 즐기던 시대가 아니다. 쌍방향 개인네트워크에 정보생산자와 소비자 구분도 모호해졌다. 정보 확산도 엄청나게 빨라졌다. 정보주체나 정보대상의 시·공간 제약도 없어져 누구와도 대화할 수 있게 됐다. 인터넷이 새 광장으로 자리 잡아 또 하나의 미디어권력이 됐다.”


서 의장은 “이젠 새 미디어 없이는 살 수 없게 됐다”면서 “매일 밥을 먹듯 우리는 미디어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먹고, 즐기고, 재생산하며 살고 있어 클린콘텐츠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 의장은 ‘우리가 숨 쉬는 공기는 산소, 질소, 광고로 이뤄졌다’고 말한 프랑스 광고학자 겸 사회학자인 로버트 궤링 얘기를 꺼냈다.


“우리가 숨 쉬는 공기는 산소, 질소, 콘텐츠로 이뤄졌다고까지 할 수 있다”면서 “삶에 절대적인 미디어와 콘텐츠가 깨끗하고 신선하지 못하면 어떻게 될까. 정신과 생명은 물론 엄청난 힘과 속도로 빨리 퍼져 이웃과 사회의 생명까지 위협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서 의장은 “아무리 그릇이 훌륭하고 다양하면 무슨 소용 있나. 중요한 건 그 안에 담긴 내용물이고 그걸 이용하는 사람들 태도”라고 지적했다.


가치관에 절대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TV방송, 인터넷으로 대변되는 사이버공간, 새 미디어 융합도 결국은 사람에 의한, 인간사회를 편하고 풍성하고 아름답게 만들기 위한 것이란 지론이다.


1920년 10월20일 평남 덕천군 풍덕면에서 태어난 서 의장은 서울신문대학원(수료), 국제대 교육학과(3년 수료)를 나와 영변 우현학원에서 교사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적십자사 사무총장, 흥사단 이사장, KBS 사장, 시민의 신문 사장 및 회장 등을 거쳤다.


2000년엔 초대 새천년민주당 대표(16대 국회의원)를 거쳐 이듬해부터 2003년 말까지 제22대 대한적십자사 총재를 지냈다.


지금은 신사회공동선운동연합 이사장, 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 이사장, 한국자원봉사협의회 공동대표, 월간 우리길벗 발행인, 세계선린회 이사장 등으로 활동 중이다. 어귀선 여사(76)와의 사이에 자녀 다섯(4남1녀)을 두고 있다.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