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위기 1년, 증시로 본 각국 경제 체력은

한국 포함 아시아 신흥국은 선전, 영국 및 유럽 주요국은 충격 여전

글로벌 금융위기의 광풍이 휘몰아치던 지난해 9월 이후 약 1년은 전 세계 주요국의 경제 체력을 측정하는 시험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혈관을 타고 암세포가 온몸으로 퍼지듯 모기지 파생상품에서 시작된 신용위기가 금융시스템과 실물 경기를 순식간에 무너뜨렸고, 각 국 정부는 경제 회생에 사활을 걸었다.


그리고 1년이 지나는 사이 충격 흡수와 위기 대처 측면에서 시험대에 섰던 국가들의 우열이 가려지고 있다.

각국의 경제체력을 측정하는 다양한 잣대 가운데 선행지수인 주가지수가 경제의 복원력과 현재 상태를 진단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꼽힌다. 금융위기 1년 동안 증시를 통해 나타난 OECD 회원국들의 성적을 들여다보았다.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index) 세계지수 벤치마크 수익률은 지난해 8월말부터 1년간 -17.81%를 기록, 벤치마크 수익률을 기반으로 다섯 그룹으로 성적을 나눴다. (2008년 8월말~2009년8월말, 달러화 기준)

◆ 한국 증시 단연 선두


[플러스 수익률]
-터키(16.83%), 한국(7.98%), 멕시코(6.99%), 스웨덴(3.90%)


이 그룹의 국가들은 위기의 순간에 적절한 재정, 금융정책으로 금융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한 나라들이다. 금융위기의 충격이 여전히 가시지 않은 지금 이들 나라들은 금융위기 이전의 주가를 이미 회복하고 경제성장도 플러스로 돌아서고 있다.


이 그룹의 국가들은 강한 경제 펀더멘털을 바탕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터키의 대표지수인 ISE National-100은 올해 8월말 46,551.19를 기록, 1년 전 39,844.48에 비해 16%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증시 역시 아시아에서 가장 빠른 주가회복을 보였다.


◆ 부실한 체력이 문제


[마이너스권 중 MSCI 대비 5%p 이상 상회]
-스페인(-5.54%), 헝가리(-7.70%), 뉴질랜드(-7.73%)


이 그룹의 국가들은 국가경제 체력이 약해 한번 걸린 금융위기 독감이 오래가는 그룹들이다. 타 국가에 비해 피해규모는 크지 않지만 금융위기로 경제전반에 걸쳐 취약점이 드러난 국가들이라고 할 수 있다.


스페인은 최근 경기침체로 관광산업이 고전을 면치 못하면서 4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 중이다. 스페인 IBEX 35 지수는 연초대비로는 24% 이상 상승했지만 지난 해 8월 기준으로는 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유럽 국가 중 헝가리의 선전이 눈에 띄었다. 헝가리BUX지수는 지난 8월말 1만9389를 기록, 1년 전보다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 경제대국들의 굴욕
[MSCI 대비 +-5%p]
-영국(-12.92%), 호주(-14.02%), 프랑스(-18.50%), 일본(-19.74%)


이 그룹에는 주요 선진국들이 대거 포진됐다. 유럽의 금융 중심지로 불리는 영국은 미국과 함께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고 ‘경제대국’의 명성이 크게 흔들렸다. 프랑스 역시 런던에 버금가는 금융 중심지를 꿈꾸던 야심이 이번 금융위기로 많이 훼손된 상태다. 일본의 경우 강한 경제체질에 비해 무기력한 모습이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영국 FTSE100지수는 지난 해 8월말보다 12.91% 하락했으며 연초대비 13.19% 오르는데 그쳤다. 세계에서 2번째로 큰 주식시장을 가지고 있는 일본은 아시아 중심 신흥시장이 금융위기이후 급부상하는 가운데 다소 소외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금융위기 1년 동안 19.74%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닛케이225지수는 연초이후 15% 상승하는데 그쳤으며 최근 다시 1만선을 위협받고 있다.


◆ 열등생이 된 우등생들
[MSCI 대비 -5%~-15%p 하회]
-유럽주요국(이탈리아, 벨기에, 그리스, 핀란드.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항상 우등생으로 분류되던 OECD 유럽주요국들의 증시성적은 그야말로 처참했다. 유럽주요국들은 생산수준이 지난 2003년 수준으로 급락했고 경기회복도 상당히 더디게 일어나고 있다. 이 그룹의 국가들은 대부분 금융위기로 20%가 넘는 주가하락을 경험했으며 연초이후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증시가 40% 넘는 상승률을 기록할 때 대부분 10%~20% 상승에 머물렀다. 오스트리아 ATX지수는 1년간 30% 넘게 하락. 3600선에서 2500선으로 미끄러졌다.


◆ '탐욕의 부메랑' 맞은 불명예의 주역들
[MSCI 대비 -15%p 이상 하회]
슬로바키아(-30.89%), 룩셈부르크(-44.22%), 아이슬란드(-87.43%)


우리나라가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야할 나라들이다. 무절제한 신자유주의 정책 도입으로 최대의 호황을 누리던 이 그룹의 나라들은 금융위기 한번으로 경제가 망가지고 주식시장도 대폭락 했다.


한때 10만 달러를 넘기며 일인당 GDP 세계 1위로 전 세계 국가들의 부러움을 샀던 룩셈부르크의 LUXX General Return지수는 지난 해 8월말 2209였지만 1년간 50% 가까이 폭락했다. 이번 금융위기의 가장 비극적인 주인공은 단연 아이슬란드다. 강력한 신자유주의 정책 도입으로 금융강국의 염원을 이룬 아이슬란드는 2006년 주가가 8000선에 육박하며 '북극의 골드만삭스'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 주가는 90% 폭락한 400선으로 밀려났고, 90%의 시가총액이 허공으로 증발했다.

양재필 기자 ryanfeel@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