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으로 쌓은 둔덕 속 콘크리트 구조물
여객기와 부딪치며 폭발 이어졌단 관측
"무안공항 둔덕 설치는 범죄행위에 가깝다"
"저런 구조물이 거기에 있으면 안돼"
"세계 어디서도 본적 없다"…전문가 지적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추락한 제주항공 여객기가 둔덕과 충돌, 탑승객 178명이 숨진 사고와 관련해 해외 전문가들이 "둔덕이 사고를 키웠다"는 분석을 제기했다. 이들은 "여객기가 외벽에 닿기 전 둔덕에 부딪히며 폭발이 일어났다"며 "특히 둔덕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화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항공기 착륙을 돕기 위한 둔덕은 통상 충돌 시 부서지기 쉬운 구조물로 만들지만, 무안공항은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흙벽을 쌓아 오히려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다.
30일(한국시간) 영국 공군 출신 항공 전문가 데이비드 리어마운트는 영국 스카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무안공항 둔덕 설치는 범죄행위에 가깝다"고 주장했다. 데이비드는 "비행기는 착륙 당시 시속 200마일(321㎞)의 속도를 내고 있었다. 활주로를 미끄러지며 이탈했는데 이때까지도 기체 손상은 거의 없었다. 이 둔덕에 부딪히기 전까지는 말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조종사가 처했던 상황을 고려하면 가능한 한 최상의 착륙을 했다고 본다"며 "착륙 활주가 끝날 무렵 기체엔 큰 손상이 없었고 화재도 발생하지 않았다. 그런데 항공기가 둔덕에 부딪혀 불이 나면서 탑승자들이 목숨을 잃었다"고 주장했다.
데이비드가 언급한 둔덕은 로컬라이저 안테나(항공기 착륙을 유도하는 시설)가 설치된 구조물을 의미한다. 로컬라이저는 보통 활주로와 같은 높이에 설치되지만, 무안공항에선 흙더미 위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됐다. 데이비드는 "저런 구조물이 거기 있어서는 안 된다"며 "로컬라이저 안테나는 원래 있어야 할 위치에 있지만 저렇게 단단한 구조물 안에 박혀 있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둔덕 너머는 평평한 지형이다. 항공기가 조금 더 달려가면서 속도를 줄여 멈출 만한 공간은 충분했고 그렇게만 됐다면 모두 살아남았을 것"이라며 "활주로와 불과 200m 거리에 저런 둔덕이 있다는 건 전 세계 어디에서도 본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 출신 파일럿 데니스 다비도프 역시 이번 참사 원인으로 둔덕을 지적했다. 데니스는 사고 여객기와 같은 기종인 보잉 737을 운행 중이다. 데니스는 29일 유튜브에 올린 영상에서 "로컬라이저가 달린 벽이 보이는데 정말 말도 안 되게 크다. 누가 디자인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너무 과하다. 왜 활주로 끝에 저런 게 필요하냐"고 의아해했다. 그는 항공기가 공항을 이탈, 주변 민가를 덮칠 것을 우려해 둔덕을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다만 공항엔 외벽도 있고, 민가 역시 활주로와 거리가 멀다며 "둔덕을 설치하지 않았어도 항공기는 공항을 이탈하기 전 이미 멈췄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토교통부예규 항공장애물 관리 세부지침 제25조에 따르면 로컬라이저 안테나 등 장애물이 될 수 있는 공항 장비와 설치물의 종류는 항공기가 충돌했을 때 최소한의 손상만을 입히도록 돼 있다. 평시 구조적 통합성과 견고성을 유지하다, 그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항공기에 최소한의 위험만을 가하면서 파손·변형·구부러지게끔 설치해야 한다. 또 이를 지원하는 시설은 부러지기 쉬운 장착대에 장착해야 한다고 적시돼 있다. 로컬라이저는 항공기 착륙을 돕기 위한 역할을 하는 계기착륙시스템 일부로 사용되는 항공 항법 장비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전날 무안공항 사고 브리핑을 통해 "항공기 동체가 로컬라이저에 부딪힌 이후 벽면에 닿아 폭발했다"고 설명했다.
서지영 인턴기자 zo2zo2zo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