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댈러스? 덜레스?” 공항코드 확인안하면 미아돼요

같은 이름 공항 여러 나라에 있기도
도시·공항 구분위해 알파벳 3글자 코드 사용



출장·여행 등 공항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날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외국을 간다는 들뜬 마음에 출발 전 챙겨야 할 것들을 놓치면 크게 후회할 낭패를 맛보기 마련인데, 그 중의 하나가 정확한 목적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전 세계에는 수많은 공항이 있다. ‘월드 에어포트 코드’(www.world-airport-codes.com)라는 홈페이지에만 9495개의 공항 정보가 수록돼 있다. 문제는 이들 공항이 한 도시에 여러 개가 있으며, 전혀 다른 지역에 있는 공항이 같은 이름일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도시명으로 공항 이름 알 수 없어= 항공산업이 가장 많이 발달한 미국의 경우만 봐도 그렇다. 텍사스주 ‘댈러스(Dallas)’ 공항을 가려는 사람이 엉뚱하게도 텍사스와 수천마일 떨어진 워싱턴으로 가게 될지도 모른다. 워싱턴에 있는 공항 이름이 댈러스와 거의 유사한 ‘덜레스(Dulles)’이기 때문이다.

한 국가 내에서만 이런 일이 벌어진다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산호세’ 공항은 미국과 코스트리카에 있으며, ‘산주앙’은 아르헨티나와 푸에르토리코에 동시에 존재하고 있다. 어느 나라 공항으로 가는지 확인하지 않는다면 승객들은 뜻하지 않게 국제 미아가 될 수 있다.

영종도에 인천국제공항이 문을 연 이후 한국도 더 이상 김포국제공항에 서울이라는 이름을 쓰지 않고 있다. 미국, 유럽 각국 등 거대도시가 발달한 나라는 인접 공항이 여러 개 있는 경우가 많아 도시 이름만으로는 목적지를 정확히 알아낼 수 없다.

예를 들어 뉴욕에는 뉴어크(Newark)와 존에프 케네디(JFK), 라구아디아(La Guardia) 등 세 군데에 공항이 있다. 이들 공항들은 국제선 중심, 국내연결 중심 등 각각의 기능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로스엔젤레스·샌프란시스코·런던·파리·도쿄 등 거대도시들은 한 도시 또는 권역 내에 복수의 공항이 건설되는 게 보편적인 추세다.

도시명을 착각해 엉뚱한 도시로 날아가는 불상사를 방지하고자 항공사 예약 접수 직원은 꼼꼼히 목적지를 확인한다. 하지만 항공사 직원도 사람인지라, 업무가 몰리면 착오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승객이 직접 자신의 목적지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도시코드·공항코드·3레터 코드란?= 수많은 도시와 공항을 제대로 식별하기 위해 전 세계 항공사 연합회인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세계 각국의 주요 도시와 공항에 세 글자의 알파벳 코드를 부여해 전 세계 항공사들이 공통으로 사용토록 하고 있다. 이를 ‘도시 코드’, 또는 ‘공항 코드’라고 하며 간혹 ‘3레터 코드(Three Letter Code)’라고 부르기도 한다.

항공권 예매를 위해 인터넷을 검색하다 보면 출발지와 목적지 도시 이름 옆에 알파벳 세 글자로 된 코드, 항공사는 두 글자로 된 코드가 표시돼 있는데 이러한 것들이 3레터 코드다.

3레터 코드로도 중복 문제를 피할 수 없어 유엔(UN) 산하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4자리 공항코드를 쓰고 있지만 통상 IATA의 3자리 코드가 주로 사용된다.

◆취항지별로 구분= 대한항공의 주요 취항지를 중심으로 각 취항지별 공항코드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뉴욕(NYC), 로스엔젤레스(LAX), 샌프란시스코(SFO), 애틀란타(ATL), 댈러스(DFW), 벤쿠버(YVR), 호눌룰루(HNL), 오클랜드(AKL), 시드니(SYD), 브리즈번(BNE), 멜버른(MEL), 마닐라(MNL), 홍콩(HKG), 하노이(HAN), 프랑크푸르트(FRA), 취리히(ZRH), 모스크바(MOW), 프라하(PRG), 비엔나(VIE), 지난(TNA), 쿤밍(KMG), 칭다오(TAO), 선양(SHE), 톈진(TSN), 상하이(SHA), 산야(SYX), 후쿠오카(FUK), 나고야(NGO), 삿포로(SPK) 등은 도시 이름과 공항코드의 알파벳이 유사해 쉽게 연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시와 공항코드는 서로 동일하게 사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도시처럼 그 도시권 내에 공항이 여러 곳이 있을 경우에는 달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워싱턴(WAS)의 경우 이 도시에는 덜레스 공항(IAD·로널드레이건 공항(DCA)·볼티모어 공항(BWI)이 도시와 공항코드를 각각 달리 사용하고 있다.

뉴욕(NYC)의 존 에프 케네디 공항(JFK)과 뉴어크 공항(EWR), 라구아디아 공항(LGA), 도쿄(TYO)의 나리타 공항(NRT)과 하네다 공항(HND), 파리(PAR)의 사를 드골 공항(CDG)과 오를리 공항(ORY), 런던(LON)의 히드로 공항(LHR)과 개트윅 공항(LGW) 등도 마찬가지다.

이 밖에 오사카(OSA)의 간사히 공항(KIX), 토론토(YTO)의 피어슨 공항(YYZ), 시카고의 오헤어 공항(ORD), 베이징(BJS)의 베이징 국제공항(PEK), 로마(ROM)의 레오나르도 다빈치 공항(FCO) 등도 도시와 공항코드를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

◆도시명과 공항명 다르게 사용키도= 3레터 코드는 세 글자만 보고도 그 공항을 떠올릴 수 있도록, 그리고 다른 공항과 겹치지 않으면서 구별될 수 있도록 공항 당국이 스스로 코드를 정해서 IATA 등 국제협회에 통보해 승인을 받게 돼 있다. 반대로 말하자면, 새로 공항이 생겨서 그 공항 당국이 쓰고 싶은 코드가 있더라도 다른 나라 공항이 그 코드를 쓰고 있다면 승인받을 수 없다는 뜻이 된다.

따라서 신설 공항들은 기존 공항과의 차별화를 위해 ‘X’나 ‘Z’와 같은 눈에 띄는 알파벳을 사용해 도시명이나 공항 명과는 완전히 동 떨어진 약자를 쓰는 경우도 많다. 캐나다에 있는 공항들은 벤쿠버(YVR) 처럼 아예 ‘Y’로 시작하는 공항코드를 사용한다.

한국도 공항코드 명칭 때문에 고민을 한 적이 있다. 인천공항이 개항한 2001년 이전까지 우리나라의 관문은 김포공항이었다. 당시 김포공항의 코드는 서울 도시코드와 같은 ‘SEL’이었다. 그런데 인천공항이 생기면서 그동안 SEL이 한국의 관문공항으로 널리 알려진 코드였기 때문에 대표성을 고려해 인천공항도 그냥 SEL을 써야한다, 아니면 공항 위치가 서울이 아닌 인천에 있으니 SEL은 맞지 않는다는 이견이 맞붙었다. 논의 끝에 정부는 SEL은 도시코드로만 사용하고, 김포공항은 'GMP'로, 인천공항은 'ICN'으로 정해 사용하고 있다.

한편 IATA는 도시명이나 공항명에는 3레터코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항공사에는 두글자의 알파벳 코드를 부여해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즉 대한항공은 ‘KE’, 아시아나항공은 ‘OZ’, 제주항공은 ‘7C’, 에어부산은 ‘BX’, 진에어는 ‘LJ’, 이스타항공은 ‘ZE’를 쓰고 있다.<자료 협조: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채명석 기자 orivcms@


채명석 기자 oricms@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5.2815:10
    윤희웅 "남은 기간 여론 변동폭 제한적"
    윤희웅 "남은 기간 여론 변동폭 제한적"

    공직선거법에 따라 5월28일부터 6월3일까지 실시된 여론조사는 공표할 수 없다. 이른바 '깜깜이 기간'이다. 향후 여론 흐름이 어떨지 궁금할 수밖에 없는 기간이다. 지난 27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AK라디오'에 출연한 윤희웅 오피니언즈 대표는 "여론이 변동할 가능성은 있지만, 변동폭은 상당히 제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7일 밤 TV 토론 영향과 관련한 28일 추가 질문에서도 "이미 부동층 비중이 급격히 줄었고, 상

  • 25.05.2506:00
    품질 떨어진다며 한국산 기피하더니…트렁크에 한가득 담아가는 日관광객
    품질 떨어진다며 한국산 기피하더니…트렁크에 한가득 담아가는 日관광객

    일본에서 쌀 파동이 거세게 일고 있다. 선진국 일본에서 쌀 파동 때문에 민심이 폭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에토 다쿠 농림수산성 장관이 "우리 집에 쌀이 남아돈다"는 발언을 했다가 즉시 경질되는 사태가 벌어졌고, 일본 정부는 아시아권 관광객들이 몰려와서 쌀을 많이 먹었기 때문에 쌀이 부족하다는 황당한 해명까지 내놓으며 비판을 받고 있다. 경질된 에토 다쿠 농림수산성 장관은 일본 미야자키현 출신으로 아버지인 에토 다

  • 25.05.2406:00
    매일 오픈런 월마트의 가격인상, 트럼프가 제동 건 이유
    매일 오픈런 월마트의 가격인상, 트럼프가 제동 건 이유

    미국 최대 소매업체인 월마트가 최근 '오픈런' 현상을 겪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 여파로 물가가 계속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이 사재기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월마트는 더 이상 비용 압박을 견디기 어렵다며 소비자 가격 인상을 발표했다. 월마트의 존 데이비드 레이니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15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에서 "대중국 관세가 145%에서 30%로 낮아졌지만, 30%도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

  • 25.05.2310:01
    박지원 "실수 안 하면 승리, 진영대결 되면 50 대 49 될 것"
    박지원 "실수 안 하면 승리, 진영대결 되면 50 대 49 될 것"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공동선대위원장은 "실수만 하지 않으면 이변이 없는 한 승리한다"며 "김문수-이준석 단일화는 없다"고 단언했다. 지난 21일 오후 5시 30분,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와 전화로 인터뷰 한 박 의원은 서울과 호남을 오가며 선거운동에 분주한 모습이었다. 현재 판세를 어떻게 보나.내란수괴가 파면되고 새로운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자는 열망이 이재명 지지로 뭉치고 있다. 실수만 하지 않으면 이변이

  • 25.05.2209:18
    김현철 "국민의힘, 대선 이후 해체돼야"
    김현철 "국민의힘, 대선 이후 해체돼야"

    김현철 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이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인터뷰는 지난 5월 20일 오후 3시, 서울 동작구 상도동에 있는 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에서 진행됐다. 김 이사장은 "국민의힘은 더 이상 보수가 아닌 수구세력의 집합체일 뿐"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하며 "대선 이후 보수 세력의 재구성이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요즘에 어떻게 지내나.바쁘다. 우선 아버지(김영삼 전 대통령·YS) 기념사업에

  • 25.05.2906:50
    ③정책자금만 쳐다보는 VC…유니콘 찾는 '선구안' 부족
    ③정책자금만 쳐다보는 VC…유니콘 찾는 '선구안' 부족

    편집자주한국 벤처 생태계의 대전환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의 벤처캐피털(VC) 업계와 주식시장이 미래의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스타트업)을 품지 못하면서 선순환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들이다. 실제로 국내 스타트업 시장은 2021년을 정점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유니콘이 될 만한 잠재력을 가진 스타트업들이 살길을 찾아 속속 외국으로 떠나고 있는 데 따른 현상이다. 한국의 미래 성

  • 25.05.2906:50
    ②'떡잎부터' 떠날 고민하는 스타트업
    ②'떡잎부터' 떠날 고민하는 스타트업

    편집자주한국 벤처 생태계의 대전환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의 벤처캐피털(VC) 업계와 주식시장이 미래의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스타트업)을 품지 못하면서 선순환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들이다. 실제로 국내 스타트업 시장은 2021년을 정점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유니콘이 될 만한 잠재력을 가진 스타트업들이 살길을 찾아 속속 외국으로 떠나고 있는 데 따른 현상이다. 한국의 미래 성

  • 25.05.2815:26
    12년간 9번 입시 롤러코스터, 불운의 고3 황금돼지띠
    12년간 9번 입시 롤러코스터, 불운의 고3 황금돼지띠

    '7세 고시'로 대표되는 사교육과 공교육 붕괴 현상은 오락가락하는 정부 교육 정책 탓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정확히는 정책이 너무 쉽게, 너무 자주 바뀐다는 게 문제다. 수능으로 대표되는 입시 제도가 바뀔 때마다 학생과 학부모의 학원(사교육) 의존도가 올라가고, 가계의 사교육비 부담이 치솟는 현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입시 정책은 대체 얼마나 자주 바뀌었을까. 이와 관련해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가 올해

  • 25.05.2806:00
    [단독]존중의 실종…의욕 잃은 교사들 "공교육이 붕괴했다" 95%④
    [단독]존중의 실종…의욕 잃은 교사들 "공교육이 붕괴했다" 95%④

    '7세 고시'와 '초등 의대반' 등으로 대표되는 입시 중심 사교육은 공교육 붕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교권 침해도 야기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아시아경제와 초등교사노동조합(초등노조)은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12일까지 전국 초등학교 교사 3098명을 대상으로 '공교육의 위기와 교권 실태' 설문조사를 했다. 조사에 참여한 초등교사의 95%(2942명)는 '공교육이 붕괴했다'고 했다. 초등교사들은 학생, 학부모, 관리

  • 25.05.2806:00
    고3 황금돼지띠가 겪은 입시 롤러코스터③
    고3 황금돼지띠가 겪은 입시 롤러코스터③

    '7세 고시'로 대표되는 사교육과 공교육 붕괴 현상은 오락가락하는 정부 교육 정책 탓이 크다고 전문가들이 지적하고 있다. 정확히는 정책이 너무 쉽게, 너무 자주 바뀐다는 게 문제다. 수능으로 대표되는 입시 제도가 바뀔 때마다 학생과 학부모의 학원(사교육) 의존도가 올라가고, 가계의 사교육비 부담이 치솟는 현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입시 정책은 대체 얼마나 자주 바뀌었을까. 이와 관련해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가 올해

  • 25.05.2815:10
    윤희웅 "남은 기간 여론 변동폭 제한적"
    윤희웅 "남은 기간 여론 변동폭 제한적"

    공직선거법에 따라 5월28일부터 6월3일까지 실시된 여론조사는 공표할 수 없다. 이른바 '깜깜이 기간'이다. 향후 여론 흐름이 어떨지 궁금할 수밖에 없는 기간이다. 지난 27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AK라디오'에 출연한 윤희웅 오피니언즈 대표는 "여론이 변동할 가능성은 있지만, 변동폭은 상당히 제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7일 밤 TV 토론 영향과 관련한 28일 추가 질문에서도 "이미 부동층 비중이 급격히 줄었고, 상

  • 25.05.2506:00
    품질 떨어진다며 한국산 기피하더니…트렁크에 한가득 담아가는 日관광객
    품질 떨어진다며 한국산 기피하더니…트렁크에 한가득 담아가는 日관광객

    일본에서 쌀 파동이 거세게 일고 있다. 선진국 일본에서 쌀 파동 때문에 민심이 폭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에토 다쿠 농림수산성 장관이 "우리 집에 쌀이 남아돈다"는 발언을 했다가 즉시 경질되는 사태가 벌어졌고, 일본 정부는 아시아권 관광객들이 몰려와서 쌀을 많이 먹었기 때문에 쌀이 부족하다는 황당한 해명까지 내놓으며 비판을 받고 있다. 경질된 에토 다쿠 농림수산성 장관은 일본 미야자키현 출신으로 아버지인 에토 다

  • 25.05.2406:00
    매일 오픈런 월마트의 가격인상, 트럼프가 제동 건 이유
    매일 오픈런 월마트의 가격인상, 트럼프가 제동 건 이유

    미국 최대 소매업체인 월마트가 최근 '오픈런' 현상을 겪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 여파로 물가가 계속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이 사재기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월마트는 더 이상 비용 압박을 견디기 어렵다며 소비자 가격 인상을 발표했다. 월마트의 존 데이비드 레이니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15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에서 "대중국 관세가 145%에서 30%로 낮아졌지만, 30%도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

  • 25.05.2310:01
    박지원 "실수 안 하면 승리, 진영대결 되면 50 대 49 될 것"
    박지원 "실수 안 하면 승리, 진영대결 되면 50 대 49 될 것"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공동선대위원장은 "실수만 하지 않으면 이변이 없는 한 승리한다"며 "김문수-이준석 단일화는 없다"고 단언했다. 지난 21일 오후 5시 30분,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와 전화로 인터뷰 한 박 의원은 서울과 호남을 오가며 선거운동에 분주한 모습이었다. 현재 판세를 어떻게 보나.내란수괴가 파면되고 새로운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자는 열망이 이재명 지지로 뭉치고 있다. 실수만 하지 않으면 이변이

  • 25.05.2209:18
    김현철 "국민의힘, 대선 이후 해체돼야"
    김현철 "국민의힘, 대선 이후 해체돼야"

    김현철 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이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인터뷰는 지난 5월 20일 오후 3시, 서울 동작구 상도동에 있는 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에서 진행됐다. 김 이사장은 "국민의힘은 더 이상 보수가 아닌 수구세력의 집합체일 뿐"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하며 "대선 이후 보수 세력의 재구성이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요즘에 어떻게 지내나.바쁘다. 우선 아버지(김영삼 전 대통령·YS) 기념사업에

  • 25.05.2906:50
    ③정책자금만 쳐다보는 VC…유니콘 찾는 '선구안' 부족
    ③정책자금만 쳐다보는 VC…유니콘 찾는 '선구안' 부족

    편집자주한국 벤처 생태계의 대전환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의 벤처캐피털(VC) 업계와 주식시장이 미래의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스타트업)을 품지 못하면서 선순환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들이다. 실제로 국내 스타트업 시장은 2021년을 정점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유니콘이 될 만한 잠재력을 가진 스타트업들이 살길을 찾아 속속 외국으로 떠나고 있는 데 따른 현상이다. 한국의 미래 성

  • 25.05.2906:50
    ②'떡잎부터' 떠날 고민하는 스타트업
    ②'떡잎부터' 떠날 고민하는 스타트업

    편집자주한국 벤처 생태계의 대전환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의 벤처캐피털(VC) 업계와 주식시장이 미래의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스타트업)을 품지 못하면서 선순환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들이다. 실제로 국내 스타트업 시장은 2021년을 정점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유니콘이 될 만한 잠재력을 가진 스타트업들이 살길을 찾아 속속 외국으로 떠나고 있는 데 따른 현상이다. 한국의 미래 성

  • 25.05.2815:26
    12년간 9번 입시 롤러코스터, 불운의 고3 황금돼지띠
    12년간 9번 입시 롤러코스터, 불운의 고3 황금돼지띠

    '7세 고시'로 대표되는 사교육과 공교육 붕괴 현상은 오락가락하는 정부 교육 정책 탓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정확히는 정책이 너무 쉽게, 너무 자주 바뀐다는 게 문제다. 수능으로 대표되는 입시 제도가 바뀔 때마다 학생과 학부모의 학원(사교육) 의존도가 올라가고, 가계의 사교육비 부담이 치솟는 현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입시 정책은 대체 얼마나 자주 바뀌었을까. 이와 관련해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가 올해

  • 25.05.2806:00
    [단독]존중의 실종…의욕 잃은 교사들 "공교육이 붕괴했다" 95%④
    [단독]존중의 실종…의욕 잃은 교사들 "공교육이 붕괴했다" 95%④

    '7세 고시'와 '초등 의대반' 등으로 대표되는 입시 중심 사교육은 공교육 붕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교권 침해도 야기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아시아경제와 초등교사노동조합(초등노조)은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12일까지 전국 초등학교 교사 3098명을 대상으로 '공교육의 위기와 교권 실태' 설문조사를 했다. 조사에 참여한 초등교사의 95%(2942명)는 '공교육이 붕괴했다'고 했다. 초등교사들은 학생, 학부모, 관리

  • 25.05.2806:00
    고3 황금돼지띠가 겪은 입시 롤러코스터③
    고3 황금돼지띠가 겪은 입시 롤러코스터③

    '7세 고시'로 대표되는 사교육과 공교육 붕괴 현상은 오락가락하는 정부 교육 정책 탓이 크다고 전문가들이 지적하고 있다. 정확히는 정책이 너무 쉽게, 너무 자주 바뀐다는 게 문제다. 수능으로 대표되는 입시 제도가 바뀔 때마다 학생과 학부모의 학원(사교육) 의존도가 올라가고, 가계의 사교육비 부담이 치솟는 현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입시 정책은 대체 얼마나 자주 바뀌었을까. 이와 관련해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가 올해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