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벤처성공 ‘대덕이야기’ 시리즈

② 윙쉽테크놀로지

바다를 나는 ‘위그선’ 벤처, 1년 만에 날다
회사설립 1년여 만에 세계 최초 40인승 상용화 눈앞
강창구 대표 “하이업프로그램은 선택 아닌 ‘필수’ 코스”



바다위의 KTX라 불리는 위그선(Wing In Ground Craft)을 만드는 윙쉽테크놀로지(대표이사 강창구).

대전시 유성구 관평동에 둥지를 튼 이 회사는 한국해양연구원 위그선실용화사업단이 지난해 연구소기업 형태로 세운 벤처기업이다. 지금은 100톤급 대형화물 위그선과 중대형 여객, 군용 위그선 개발에 한창이다.

물 위를 떠서 빠른 속도로 달리는 위그선은 비용과 실용성이 뛰어난 최첨단 교통수단이다.

때문에 시장에 갓 뛰어든 벤처기업이 상용화하기엔 모든 면에서 걸림돌이 많다.
윙쉽테크놀로지는 한국해양연구원 위그선실용화사업단 소속 연구원 11명이 2007년 11월 대형 국가연구개발실용화사업을 펼치기 위해 닻을 올렸다.

회사대표인 강창구씨 역시 1979년 한국해양연구원과 인연을 맺은 뒤 30년간 위그선 연구개발에만 몰두해온 엔지니어다.

평생 연구한 것을 사업화하는 과정이어서 ‘연구원(硏究院)’이 아닌 ‘기업’이라 해도 크게 다를 게 없다고 생각했지만 현실의 벽은 아주 높았다. 기업을 어떤 쪽으로, 어떻게 세워 운영해야할 지 모든 게 처음 맞부딪친 문제들이었다.

고민을 거듭하던 강 대표는 2007년 여름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가 벌이는 CFO(최고재무관리자)교육과정에 참여하게 됐다. 또 대덕특구지원본부의 벤처기업 양성프로그램인 ‘하이업’에도 동참했다.

이 회사가 하이업프로그램에 참여한 건 2007년 10월. 회사가 문을 열기 직전이었다.

그는 하이업프로그램을 통해 벤처기업 성장의 가장 큰 원동력이 되는 ‘기업가정신’에서부터 회사설립에 필요한 소소한 절차상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전방위 지원을 받았다.

강 대표는 “하이업을 통해 투자유치방법부터 회사설립과 운영에 필요한 각종 법률자문, 회계·재무컨설팅, 분야별 인적네트워킹에 이르기까지 기업운영에 필요한 거의 모든 사항에 대한 밑그림을 그릴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기업 형태를 갖춰가자 곧바로 성과가 나타났다. 하이업을 통해 인연을 맺은 한 공인회계사는 지금까지 이 회사의 CFO(최고재무책임자)를 맡으며 꾸준히 회사비전을 공유하고 있다.

회사설립 1년만인 지난해 7월엔 대우조선으로부터 30억 원의 투자를 이끌어냈다. 뛰어난 기술력과 미래가치가 있는 회사로서 인정받은 것이다.

회사를 세우던 2007년 11월 당시 14명이었던 직원은 지금 26명으로 늘었다. 매출면에선 지난해 1억8300만원이었던 것이 올해 20억 원으로 뛸 것으로 기대된다. 아직 포함되지 않은 위그선 관련 매출이 내년 쯤부터 보태지면 또 한번 큰 성장을 하게 된다.

제주와 전남도 등 위그선 수요가 있는 지방자치단체와 업무협약도 맺는 등 회사발전에 가속도를 불이고 있다. 한화기술금융(정부매칭펀드)로부터 10억 원의 투자도 받았다.

올부터는 위그선제작을 위한 기술적 완성에 힘을 모으기 위해 40∼50인승 기준 위그선 개념 및 기본설계를 마쳤다. 주문이 떨어지는 대로 곧바로 만들어줄 수 있다는 얘기다.

이렇게 회사규모가 커지면서 위그선을 띄우기 위한 곳을 찾기 위해 해안위주로 6만6115㎡ 규모의 터를 찾고 있다.

윙쉽테크놀로지는 내년 상반기 중 40인승 여객용 위그선 ‘HX-40’를 상용화하기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올해 40인승 위그선 건조작업을 마친 뒤 내년 시험운행을 거쳐 2012년 여수엑스포 때 첫 선을 보일 계획이다. 또 40∼350인승의 대형 여객위그선과 100톤급 화물위그선 등 다양한 제품을 내놓기 위한 연구개발에도 한창이다.

강 대표는 “대덕특구에 둥지를 튼 지 해수론 3년, 실제론 1년쯤밖에 되지 않지만 빨리 회사를 뿌리내리게 해 대덕특구가 주목하는 벤처회사로 거듭나고 있다”면서 “대덕특구를 위그선 산업의 메카로 만들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위그선이란?
배보다 빠르고 비행기보다 요금이 싼 교통수단이다. 미래형 해양운송체로 각광 받을 이동수단이기도 하다. 달리는 속도가 KTX에 버금가 시속 250∼300㎞에 이른다. 1000㎞쯤의 거리라면 뜨고 앉는데 걸리는 시간과 연료가 꽤 드는 비행기보다 적게 들고 친환경적이다.

위그선이 상용화 되면 제주∼인천 간 해상이동시간이 2시간대로 줄어드는 등 물류체계가 크게 바뀌고 새 해양산업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박진형 윙십테크놀로지 안전성연구팀장은 “위그선은 파도의 저항을 받지 않아 승선감이 뛰어나고 기름도 쾌속선의 반쯤밖에 들지 않아 경제성이 뛰어나다”면서 “연안 이동이나 한반도와 중국, 일본 등을 잇는 단거리국제노선에 쓰이면 지금보다 더 빠르게 오갈 수 있다”고 말했다.

노형일 기자 gogonhi@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