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호경기자
미국 정부가 중국 견제를 위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반도체법(Chips Act) 등과 함께 ‘니어쇼어링(Nearshoring)’ 전략을 추진하는 가운데, 멕시코가 사실상 중국의 대(對)미 수출 기지로 기능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니어쇼어링’은 기업들이 본국에서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국가에 있는 생산 시설이나 서비스 업무를 본국과 가까운 국가로 옮기는 전략을 의미한다. 한마디로 근거리 국가(Near shore)에서의 외부조달(Outsourcing·아웃소싱)이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기업들이 중국이나 인도 등 개발도상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한 이유는 값싼 노동력 등을 통한 생산비용 절감에 유리해서다. 하지만 중국이 경제 대국으로 부상하면서, 미국은 중국 견제와 공급망 안정을 위해 니어쇼어링 정책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이달 1일(현지시간)부터 새로 임기를 시작한 클라우디아 셰인바움(62) 멕시코 대통령은 최근 경제적 성과를 바탕으로 중국에 대한 수입 의존도를 줄이고, 국내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단순한 국내 정책 변화를 넘어 미국, 중국 등 글로벌 경제 구도와 지정학적 역학 관계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멕시코는 북미 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 끝에 2022년 발효된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의 최대 수혜자로 꼽힌다. 멕시코는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과 3200㎞의 국경을 공유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북미 및 중남미 시장 진출을 위한 생산 기지이자 교두보로써 운송 측면에서도 장점이 크다.
또 USMCA 발효로 멕시코 내 생산품은 북미 생산분으로 인정받아 관세 절감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지난해 미국 전체 수입액 중 멕시코의 비중은 15.4%로, 중국(13.9%)과 캐나다(13.7%)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2007~2022년까지 17년간 미국의 최대 수입국은 중국이었다. 특히 미국의 전체 수입량이 감소하는 추세에도 멕시코 제품 수입은 상승세를 보였다.
삼성, LG 등 국내 기업도 멕시코에 잇달아 공장을 짓기 시작했다. 한국의 대멕시코 투자 금액은 2020년 1100만달러(약 148억원)에서 2022년 3억9600만달러(약 5345억)로 급증했다.
그런데 중국이 최근 멕시코 투자를 급격히 늘리고 있다. 멕시코 경제부에 따르면, 2023년에 발표된 투자계획을 기준으로 중국의 대멕시코 투자액 비중은 12%이다. 미국(38%)을 뒤이은 제2위 투자국이다. 이에 중국 제품이 멕시코를 우회해 미국으로 수입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대표적인 품목이 철강·알루미늄이다. 미국은 멕시코가 철강·알루미늄을 제3국에서 수입하는 데 투명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다른 품목은 전기자동차다. 중국이 USMCA 원산지 규정의 허점을 파고들어, 멕시코에서 중국산 부품을 사용해 만든 전기자동차가 미국에 수출될 경우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열린 미국 청문회에서는 중국산 제품의 불공정 경쟁 문제가 제기되면서 USMCA를 손질해야 한다는 의견이 쏟아졌다. 지난 8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USMCA 원산지 규정 개정 관련 청문회에서 짐 워런 단조공업협회(FIA) 회장은 “중국 기업이 중국인 노동자를 데려오고, 중국산 공구를 가져와 멕시코에서 물건을 생산한다”며 “이런 뒷구멍을 닫지 않으면 미국 기업이 불공정한 경쟁에 노출될 것”이라고 말했다. USMCA는 오는 2026년 개정을 앞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