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SOS, 원무과 직원 검토 좀' 의사 심부름…제약사 영업맨 '폭로'

제약사 영업직원 의사집회 동원됐단 주장도 나와
"이 정도면 현대판 노비" 누리꾼 비판도

의사들이 의대 증원 반대 집회에 제약사 직원을 강제로 동원했다는 의혹이 나온 가운데 한 제약사 영업사원이 평소 의사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온갖 심부름을 도맡아 했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5일 자신을 제약회사 영업사원이라고 소개한 글쓴이 A씨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제약회사 영업맨의 일상 알려줄게'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이 글에서 그는 자신과 한 의사가 2018~2019년께 나눴다는 대화라면서 카카오톡 메시지를 캡처해 올렸다. A씨가 공개한 사진을 보면 의사는 A씨에게 "노트북 HDD를 SSD로 교체해달라" "한글(문서 프로그램) 깔아달라" "A4 크기로 액자 2개 제작해달라" 등 갖은 잡무를 부탁했다.

5일 자신을 제약회사 영업사원이라고 소개한 글쓴이 A씨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제약회사 영업맨의 일상 알려줄게'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사진출처=온라인 커뮤니티]

심지어 의사는 "긴급 SOS"라면서 "원무과 직원을 뽑아야 하는데 이력서를 확인해달라"는 부탁까지 했는데, A씨는 모두 거절하지 않았다. 이 글에서 A씨는 "이 원장님은 진짜 착한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다른 원장들의 더한 메시지도 있는데 개인정보도 있어서 못 풀겠다. 요즘 점점 더러운 거 시키는데 언제까지 참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오늘 일정은 오전 8시 원장 집에 가서 아이 어린이집까지 모셔주기, 오전 10시30분 의원 화장실 (변기) 막힌 거 뚫으러 가기, 오후 12시30분 원장 점심 초밥 배달(1만9000원), 오후 3시 어린이집에서 도련님 모셔서 집에 데려다주기, 오후 7시 병원 식구들 저녁 식사 결제해 주러 가기"라고 덧붙였다.

"갑질은 오래되고도 당연한 관행" 폭로 이어져

A씨의 글에는 다른 제약사 영업 사원의 폭로도 이어졌다. 어떤 이는 "거 영업맨이면 기본으로 하는 거 가지고 힘들다 하지 맙시다"라며 자신의 처지를 반어적으로 한탄했다. 또 다른 영업 사원은 "(의사가) '여름에 가족들이랑 하와이 가려고 하는데 일정 좀 알아봐 달라고 해서 정말로 일정만 딱 알아봐 주면 다음달 발주 바로 0으로 찍힌다”고 토로했다.

이를 접한 대다수 누리꾼은 "얼핏 들어서 알고 있었지만 정말 이 정도일 줄 몰랐다" "현대판 노예 아닌가" "사람 위에 사람 있나" "거의 몸종 수준"이라며 놀랍다는 반응을 보였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앞서 의사 집회에 제약사 직원이 동원됐다는 의혹과 관련해 제약사들은 "구체적으로 파악된 것은 없다"면서도 해당 논란이 의사·제약업계 간 리베이트 문제나 갑질 논란, 불매 운동 등 다른 사안으로 번질까 우려하고 있다. 이에 제약업계는 지난 3일 '전국 의사 총궐기 대회'를 앞두고 전날 직장인 익명 게시글 애플리케이션(앱)인 블라인드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일부 의사들이 제약회사 영업사원 등을 대상으로 집회 참석을 강요한다는 글이 여럿 올라왔다. 이에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는 글 작성자를 명예훼손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경찰청은 바로 사실관계 확인에 나서며 불법행위가 확인되면 수사에 착수해 엄정 조치하겠다고 했고, 대통령실도 집회 당일 관련 의혹에 대해 '무관용 원칙 대응' 방침을 밝혔다.

논란이 커지면서 과거 의사·제약사 간 불법 리베이트 문제와 갑질 논란도 다시 부각되고 있다. 실제로 한 제약사 영업직원 B씨는 2017~2018년 강원도 원주에서 세 차례에 걸쳐 의사 대신 예비군 훈련에 참석하고 호텔 숙박비 등을 결제해주다 적발된 사건이 있었다. 당시 B씨는 예비군법과 약사법 위반 등으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을, 의사는 벌금 4000만원을 선고받았다.

이슈&트렌드팀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