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진기자
“강남구민 42.5%는 마약류를 접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관으로 보건소(27.5%)와 구청(15%)을 꼽았습니다. 이건 마약류 문제를 치료적 의제이면서 공공의제로 파악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찰서와 병원이라는 응답은 27%와 18.5%였어요.”(박다미 강남구의원)
강남구민 10명 중 7명은 '우리나라가 과거에는 마약청정국이었지만 지금은 아니다'(71%)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민 10명 중 9명이 '우리나라는 더 이상 마약청정국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강남구의회 의원연구단체인 마약근절대책연구회(대표 박다미 의원)의 구민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더 이상 마약청정국이 아니다’라는 응답은 전체 응답자의 90.5%에 달했다. ‘오래전부터 마약청정국이 아니었다’는 응답은 10%였고, ‘과거에도 아니었고, 현재도 아니다’라는 응답도 9.5%였다. ‘마약청정국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응답은 6.5%에 불과했다.
이 내용은 강남구의회 마약근절대책연구회가 한국정책경영연구원에 의뢰해 지난 8~9월 강남구 관내 주민 600명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다.
구민의 78%는 ‘한국 사회의 마약 문제가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이 중 ‘매우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구민도 16%에 달했다. ‘전혀 심각하지 않다’거나 ‘심각하지 않다’고 답변한 경우는 6% 불과했다.
마약 사건이 많은 강남구에 대해 콕 찝어 물었다. 강남구민 81.5%는 ‘강남구 마약류 오남용 문제가 심각하다'(매우 심각하다 40.5% 포함)고 생각하고 있었다. 강남구 마약류 불법유통과 오남용 증가 원인으로는 ‘다크웹, SNS 등 디지털 유입유통경로의 확산’(50%), ‘느슨한 감시단속 및 솜방망이처벌’(19%), ‘우울증 및 집중력 장애 치료 등 의료용 마약류의 과도한 남용’(18.5%) 등을 꼽았다.
마약류 오남용 예방 교육이 필요한 대상으로는 청소년(29.6%), 대학생(22.9%), 학부모(18.3%) 등을 꼽았고, 오남용 방지를 위해 강남구가 강화해야 할 사업으로는 ‘마약류 감시원 제도 확대 및 강화’(46%), ‘마약류의 약품 유통현황 파악 및 관리 감독 강화’(28%), ‘마약류 취급자 허가(지정) 신청 요건 강화’(13%)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박다미 의원은 “구청과 마약류 수사 경험이 풍부한 경찰 내 전문가들을 인터뷰 한 결과, 코로나19 이후 마약류 오남용 및 확산세가 빨라지고 있고, 비대면 라이프 일상화로 마약류 사범의 연령도 하향되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신설 등으로 예방 교육을 강화하고, 치료와 재활에도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강남구는 유동인구 증가와 유흥업소 밀집, 성형외과 등 병·의원 밀집 등으로 마약류 확산과 향정신성의약품 오남용 사례가 다른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다.